필자가 초등학생과 중학교 1학년 당시 즐겨보던 다큐멘터리 하나가 있었다. 그 다큐멘터리의 이름은 바다 괴물들(Sea Monsters)였는데, 동물학자(이자 고생물 학자)인 나이젤 마빈이 고생대와 중생대 그리고 신생대를 돌아다니며 위험한 바다 동물들을 만난다는 내용이었다. 주인공 나이젤 마빈이 마지막으로 간 곳은 지금으로부터 약 7500만년 전인 백악기 후기였다.
백악기 후기 바닷가에 도착한 주인공은 주인공보다 조금 더 큰 새들의 무리 속에 있었다. 그 새의 이름이 바로 헤스페로르니스(Hesperornis)였다. 다큐멘터리에 따르면 이들은 날지못하는 새였는데, 이 대목에서 필자는 현존하는 생물인 펭귄을 떠올렸다. 물론 외형상 펭귄하고는 엄연한 차이가 있었지만, 날지 못하는 것과 바다에서 주로 생활하는 모습은 펭귄을 떠올릴만한 대목이었다. 생각해보니 필자 또한 지난 미국 여행에서 워싱턴 DC에 있는 스미소니언 자연사 박물관을 방문했을 때, 헤스페로르니스를 보았던 것 같다. 그래서 그런지 뭔가 흥미가 생긴 것일지도 모르겠다.
헤스페르로니스는 중생대 백악기 후기 북아메리카와 유라시아 일대에 서식한 원시 조류로써 미국 중서부의 켄자스 주에서 처음으로 발견되었다. 1871년 미국 켄자스 주 서부 일대에서 백악기 당시 서식하던 익룡인 프테라노돈을 발굴하던 중 우연히 발견되었고, 발견한 학자들은 이 동물이 펭귄과 같이 날지 못하며 수중 생활에 익숙한 새일 것이라는 사실을 밝혀냈다. 흥미로운 사실은 이 녀석에겐 이빨이 달려있었다는 것인데, 이 때문에 조류가 파충류와 뿌리를 공유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생물학적 증거라는 학계의 평가도 있었다. 현재 이 녀석은 백악기 후기에 살았던 일군의 반수생 조류들을 아우르는 분류군인 헤스페로르니스류의 대표격으로 여겨지고 있으며, 당초 레스토르니스(Lestornis)라는 별도의 속명을 부여받고 모식종과 함께 학계에 소개된 크라시페스종(H. crassipes)을 비롯해 산하에 거느린 종의 수가 대략 10여 종에 이른다.
1990년대까지만 해도 화석 자료를 토대로 이들의 서식 범위는 북아메리카 일대에 국한되어 있었지만 러시아 볼고그라드 주(한때는 차리첸 혹은 스탈린그라드라 불렸던 곳)와 스웨덴 스코네 주에서 같은 종의 화석이 발굴된 덕분에 지금은 서식 범위가 유라시아 일대라고 고생물 학자들은 결론내리고 있다.
헤스페로르니스는 주로 해안가에 살면서 물고기나 오징어 등의 해양 생물들을 잡아먹으며 살았을 것이고, 상어나 모사사우루스 그리고 크시팍티누스(몸길이가 대략 5m 되는 물고기다)와 같은 것들이 아마 헤스페로르니스의 천적이었을 것이다. 현존하는 바다생태계에 적용해보자면 아마도 범고래나 북금곰 혹은 상어의 먹잇감인 펭귄하고 비슷하다. 이들은 백악기 후기까지 서식하다 6500만 년 전 대멸종 시기에 멸종된 듯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