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호찌민인가? - 베트남의 진실이 위기의 한반도에게 묻는다
송필경 지음 / 에녹스 / 2013년 5월
평점 :
절판


지금으로부터 43년 전인 1975년 4월 30일 북베트남은 사이공을 함락시킴으로써 외세를 몰아내고 남북통일을 이룩했다. 1965년 베트남 전에 개입한 미국의 요청으로 대규모의 전투부대를 파병한 대한민국의 박정희 정부는 75년 월남이 해방되자 이를 계기로 반공주의를 강화하고 반독재투쟁을 전개하던 민주인사들을 대대적으로 탄압했다. 이 때문에 대한민국 국민들은 베트남 전쟁을 단순히 “자유민주주의을 수호하기 위해 싸운 전쟁, 경제발전에 기여한 소중한 전쟁 혹은 공산괴뢰 월맹이 자유월남을 적화시키게 된 전쟁”으로 인식했고 군사독재의 끄나풀이었던 대한뉴스는 박정희 전두환 시절 민주화 투쟁하는 학생과 지식인들을 월남패망을 예시로 들며 대중매체를 통해 지속적인 반공반북 선전을 하였다. 박정희 전두환의 반공선전의 여파로 지금까지도 자유한국당과 박사모세력들은 월남패망을 들먹이며 반공선전을 지속적으로 하고 있고 베트남 전쟁을 보다 큰 틀에서 바라보려는 사람들은 종북좌파, 좌경, 용공분자로 몰아붙인다.

사실 수구세력의 이러한 반공선전 때문에 대학교 1학년 때까지 난 베트남 전쟁을 단순히 “자유민주주의를 수호하기 위해 미국이 참전한 전쟁”으로 생각했었다. 그러던 중 다른 자료를 접하고 리영희 선생이 쓴 책과 베트남 전쟁과 호치민 관련한 서적을 여러권 읽으며 나의 생각은 점차 변했고 한평생을 베트남의 독립과 자유를 위해 헌신한 호치민 아저씨를 매우 존경하게 되었다. 그러던 중 “왜 호치민인가” 저자 송필경 선생님을 알게 되었고 이 책을 읽게 되었다.

박정희 전두환의 반공주의로 인하여 대한민국 사람들은 오랜 시간 동안(혹은 지금까지도) 베트남 전쟁과 북베트남의 지도자 호치민을 단순히 이데올로기적인 관점에서 보는 경우가 많을 것이다. 그러나 그러한 관점은 베트남 전쟁의 진실과 본질을 파악하는데 있어서 매우 불필요한 관점이다. 우선 베트남의 역사를 볼 필요가 있다.

베트남은 2천년 전부터 중국의 침략에 저항해온 역사다. 수많은 중국의 침략에 저항했고 13세기 칭기스칸의 몽고군대가 아시아 대륙을 정벌할 때 베트남은 몽골의 지속적인 침략을 막아냈다. 명나라와 청나라의 침략에도 굴복하지 않았던 나라가 베트남이다. 그러던 중 산업혁명으로 자본주의 제국이 된 프랑스가 19세기 중반 베트남을 침략하였고 베트남을 3등분(북부는 통킹, 중부는 안남, 남부는 코친차이나)하여 식민지화 하였다. 이와 같은 프랑스의 지배 하에서 베트남의 위대한 영웅 호치민이 1890년 베트남의 시골마을 킴리엔에서 태어났다. 프랑스의 식민지 통치를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베트남 민중은 프랑스 제국주의에 저항해왔다. 호치민도 20대 때부터 독립운동을 해왔다. 1940년 나치독일이 프랑스를 점령하자 히틀러의 동맹국 일본은 인도차이나 반도를 점령했다. 호치민을 비롯한 베트남의 애국자들은 베트남 독립 동맹(베트민)을 창설하여 일본에 저항해왔고 1945년 9월 2일 미주리호에서 있을 일본의 공식항복 서명식에 맞추어 호치민은 독립을 선포하였다. 그러나 강대국들은 이를 무시했고 프랑스는 베트남을 다시 식민지화 하려다 1954년 디엔비엔푸 전투에서 패배하였고 결국 베트남에서 물러났다. 프랑스가 떠난 뒤 베트남은 남북으로 분단되었고 원래는 2년 이내에 통일을 위한 선거를 해야 했지만 미국은 민중성이라고는 1%도 없는 민족반역자 반공정권을 지속적으로 지원하며 분단을 구축했다. 그러던 중 1964년 통킹만 사건을 구실로 미국은 베트남 전쟁을 일으켰고 북베트남에 대규모 폭격을 감행하였다. 1965년부터 미국의 지상부대가 상륙하였고 1967년에는 54만9천명의 미군이 남베트남에 주둔하였다. 그리고 프랑스를 대신하여 싸우게 된 미국은 수많은 전쟁 범죄와 학살 그리고 폭력을 자행하였다. 1968년 1월 31일 북베트남군과 베트콩은 구정공세를 감행하여 “베트남 전쟁에서 이기고 있다.”는 미국의 선전이 거짓이라는 사실을 전세계에 알렸고 미국 내에서는 반전운동이 일어났다. 결국 미국은 1969년부터 군대를 철수하기 시작했고 1972년 크리스마스에는 대규모의 융단폭격을 가한 뒤 1973년 1월 파리평화협정을 체결하고 나서 베트남에서 철수 했다. 미국의 대대적인 지원에도 부정부패와 비리를 일삼던 남베트남 정권은 결국 1975년 4월 30일 사이공이 함락당하면서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이처럼 베트남의 역사는 2천 년간 중국의 침략에 맞서 저항해왔고 몽고군의 침략도 막아냈으며 프랑스와 일본 그리고 미국의 침략까지 막아냈다. 즉 베트남 전쟁에서 북베트남이 미국을 몰아내고 통일을 이룩할 수 있었던 것도 이와 같은 위대한 역사가 있었기 때문이다. 북베트남의 지도자 호치민은 1969년 9월 2일 심장병으로 죽었지만 호치민이 베트남 인민들에게 보여준 친 민중성과 따뜻함 그리고 베트남의 자유와 독립을 위한 열정은 베트남 인민들을 자발적으로 침략자들의 야만적인 행위에 저항하게 만들었고 미국을 몰아내고 베트남의 통일을 이룩할 수 있는 원동력이 되었다.

이와 같은 역사적 사실을 무시한 채 베트남 전쟁과 호치민을 단순히 이데올로기적인 관점에서 해석하는 것은 매우 어리석은 짓이다. 베트남의 위대한 지도자 호치민 그는 비록 잘살지 못하는 나라의 지도자였지만 그가 민중에게 보여준 진심과 따뜻함 마음 그리고 베트남의 자유와 독립을 향한 열정은 분명 우리가 배워야 할 점이 있다. 그리고 미국의 용병으로 베트남 전에 참전하여 온갖 범죄와 민간인 학살을 일삼았던 우리의 과거도 분명 반성해야 할 것이다. 이 책은 저자 송필경 선생이 베트남 평화 기행을 배경으로 한 기행문에 가깝지만 대한민국의 반공주의자들이나 수구세력들이 베트남 전쟁과 호치민에 대해 얼마나 잘못알고 있는지를 아주 잘 알려주는 좋은 책이다. 무엇보다 한국인이 쓴 책 중에 호치민을 주제로 한 몇 안 되는 매우 좋은 책이다. 이 책을 읽으면서 반공주의에 입각하여 틈만 나면 월남패망과 보트피플 같은 얘기만 외치는 대한민국의 수구적폐세력들의 논리와 지식이 얼마나 흠이 많은지 다시 한 번 생각해보는 계기가 되었고 책의 저자 송필경 선생님처럼 베트남 평화기행에 꼭 동참하고 싶어졌다.

무튼 이 책은 베트남 전쟁의 본질과 호치민을 아주 정확히 잘 파악하고 있는 매우 좋은 책이다. 비록 절판되었다는 점이 아쉽긴 하지만 베트남 전쟁과 호치민을 알고 싶은 사람이라면 꼭 읽어봐야 할 책이라고 본다. 이처럼 좋은 책을 써주신 저자 송필경 선생님에게 감사할 따름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