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수 열린책들 창립 30주년 기념 대표 작가 12인 세트
파트리크 쥐스킨트 지음, 강명순 옮김 / 열린책들 / 2016년 9월
평점 :
품절



2016년 가을, 나에게 선물한 열린책들 30주년 기념판 중 한 권을 이제야 읽었다. 파트리크 쥐스킨트는 어린 시절 친구에게 자기 자신을 평생 먹여 살릴 수 있는 책 한 권 쓸 생각이라는 전설적인 이야기를 했다는데, 과연 이 책으로 그 꿈을 이룬 것 같다. 1985년 출간된 후 49개 언어로 번역, 전 세계적으로 2천만 부 이상 팔렸다는 베스트셀러다. 부제로 어느 살인자의 이야기가 붙어있다. 향수 이야기에 전혀 어울릴 것 같지 않은 제목이지 않은가. 작품의 배경은 18세기 프랑스를 무대로 벌어지는 이야기다. 예전에 어떤 책에서 향수가 생긴 유래는 악취를 감추기 위해서라는 얘길 들었다. 이 책에서도 마찬가지다. 파리의 궁전은 물론 악취로 진동했던 구석구석의 모습이 세세하게 묘사되어 있다. 그 시대에는 혐오스러운 천재들이 꽤 있었다고 하는데 장바티스트 그루이야말로 가장 혐오스러운 후각의 천재였다.

 



장바티스트는 악취가 풍기는 시장의 생선 좌판에서 태어난 사생아다. 다섯 번째로 그르누이를 낳은 엄마는 경찰에 체포되어 수차례에 걸친 영아 살인죄 판결을 받아 참수된다. 여러 유모의 손을 전전하며 자랐고 죽을 고비를 몇 번이나 넘기면서도 끈질긴 생명력 덕분인지 살아남았다. 무두장이 그리말의 조수가 되어 일하는 중에 향수의 장인 발디니의 집에 심부름을 갔다가 그곳은 자신이 있어야 할 곳이라는 걸 깨닫는다. 그르누이의 천재적 재능은 다시 발디니에게 커다란 부를 안겨주고 유럽에까지 명성을 떨치게 되는 등 이례적인 성공을 거둔다. 그르누이의 냄새에 대한 천부적인 재능 덕분이었음에도 그르누이 자신은 그것을 드러내지 않는다. 오히려 영악할 정도로 무지막지하게 일을 하면서 다른 사람들의 시샘이나 의심을 사지 않도록 안심시키는데 소질이 있었다. 어쩌면 후각 덕분에 생긴 삶의 처세인지도 모른다. 살아남기 위해 무엇이 중요한지, 언제 어디로 떠나야 할지 본능적으로 알고 있는 것 같았다.

 



그토록 예민한 후각을 가졌다니 한순간 부러운 마음도 들었다. 어릴 때는 유모가 잃어버린 돈을 찾아주기도 한다. 보통 사람들보다 몇십 배나 후각이 발달했기 때문이었다. 다른 사람의 체취는 물론이고 인간의 악취가 싫어서 그것을 피해 동굴 속에서 7년을 살았고 살아남았다. 그런데 신체 기관 중 냄새를 맡는 코만 발달했다. 사람과의 관계, 언어, 감정 표현 등 공감 능력은 전혀 없었다. 더구나 그르누이는 체취가 없었다. 그로 인해 사람들은 그를 무서워하고 섬뜩한 기분을 느꼈다. 그냥 보통의 후각으로 살아가는 편이 행복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좋은 향기를 소유하려고 궁리하다가 살인을 저질렀다. 아직 피어나지도 않은 소녀들을 스물다섯 명이나 죽였다. 날아가면 그만인 향기를 붙잡으려고 했다니.

 



아름다운 향기를 맡을 때만 살아있음을 느낀 그르누이, 그에게는 향기가 삶의 전부였다. 그것에 집착하고 향기를 채취하기 위하여 꼭 살인을 저질러야만 했을까. 기이할 정도로 예민하게 발달한 후각을 좋은 일에 썼다면 그르누이의 인생은 어떻게 되었을까. 재미로만 읽고 그치기에는 여러 생각이 스치고 지나갔다. 그르누이가 붙잡을 수 없는 향기에 집착했듯이 우리는 영원히 소유할 수 없는 것을 뒤쫓느라 중요한 것을 놓치며 살고 있지 않은지. 비현실적인 이야기지만 작가의 뛰어난 상상력에 감탄하지 않을 수 없었다. 역사학을 전공한 그의 풍부한 지식을 바탕으로 묘사하고 있기에 18세기의 풍경이 눈앞에 선했다. 독일 소설은 어렵다는 편견을 갖고 있었는데 이 작품을 읽으며 고정관념이 깨졌다. 쥐스킨트의 다른 작품은 어떨까. 벌써 기대감으로 부풀어 오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