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내가 할 수 있다는 믿음을 가지세요. 저도 온갖 상념이엄습할 때마다 나에게 책을 써볼 기회가 생겼다면 두려워도도망치지 말고 해보는 게 지금의 최선이라는 생각으로 임했습니다. ‘일단 막 쓰자, 대충 쓰자‘라며 스스로 달래고 긴장을 풀어주면서 썼어요. 완벽한 사람이 쓰는 게 아니라 쓰는 사람이완벽해지려는 노력도 할 수 있다는 이야기를 건네봅니다. - P50

또 한 가지, 글쓰기는 해방입니다. 나를 풀어줘야 합니다.
스무 명이 배우는 글쓰기 수업에 와서눈치보고, 자기 검열하고, 자기 생각을 말이나 글로 표현하지 못한다면 나중에 불특정 독자를 대상으로 하는 책을 어떻게 낼 수 있을까요?  - P55

나보다 잘 쓴 사람에게 기가 죽는 마음, 편의상 질투심이나경쟁심으로 표현할 수 있을 텐데요. 저는 이런 감정의 발생을무척 자연스럽게 받아들입니다. 질투심, 경쟁심 그 자체는 나쁘지도 좋지도 않다고 생각해요. 그런 감정으로 나에게 혹은남에게 해를 끼치면 그땐 문제겠죠. 자신의 글보다 잘 쓴 글을보고 기가 죽어도, 좋은 자극이자 분발의 계기가 된다면 문제될 것이 없겠고요. 쓰는 존재로 살아가며 느끼는 어떤 감정도절필의 이유가 아니라 건필의 계기로 만드는 게 우리 글 쓰는사람의 임무라고 생각합니다. - P58

나이 든 작가는 젊은 작가에게 어떤 충고를 해야 할까? 그는 자기가 몇 년 전 들었더라면 좋았겠다고 생각할 만한 것들만 이야기해줄 수 있을 뿐이다. 기죽지 마라! 곁눈질을 하거나 당신을 다른 동

료들과 비교하지 마라! 글쓰기는 경주가 아니다. 아무도 진짜로 이기지 못한다. 만족은 노력에서 나오고, 그 결과 보상이 따른다 해도 그런 보상은 아주 드물게 오는 법이다. 다시 한번 말하지만, 당신 가슴 속에 있는 것을 써라 - P62

 한 명 없어도 포기하지 않고 다음 날 문을 여는 옷 가게 주인처럼 글이 안 써져도 또 책상 앞에 앉는 거죠. 특히 개점 초기 1년은 매일 문을 열 듯이, 글쓰기를 시작했다면 적어도 1년은 산책하며 사유하고 앉아서 쓰는 습관을 들이길 권해드리고싶습니다.
오늘의 질문, "글은 엉덩이로 쓰는 거라는데, 맞나요?"에 대해 저는 니체의 명언으로 답변해보겠습니다.


모든 생각은 걷는 자의 발끝에서 나온다. - P72

《글쓰기의 최전선》에도 썼지만 제게 글쓰기란 ‘고통의글쓰기예요. 글쓰기로 고통을 씻겨내고 극복하는 게 아니라,
내 고통을 글로 공유함으로써 타인의 고통과 연결된다는 점에서 성장과 치유가 됩니다. 고통을 글로 풀어내는 일이 간단치않지만 시간을 낭비할 용기를 갖고 책상 앞에 앉아보시길 바랍니다. - P82

마음속에는 누구나 글감을 품고 있으며 고상한 글감, 시시한 글감이 따로 있지 않습니다. 뭐라도 좋아요. 글감에 위계를 두지 않고 내가 경험하고 느낀 것을 쓰면 그것이 좋은 글감입니다. 내가 내 삶을 풀어가는데 도움을 준 글이라면 다른 사람의 삶의 문제를 풀어가는 데도 도움이 되겠지요. 사소한 것은 사소하지 않습니다.
- P94

이렇게 말해볼까요. "첫 문장은 신의 선물인 게 아니라, 나의선택이다." 내가 쓴 첫 문장을 나중에 수정할 수 있다고 생각하면 부담을 좀 덜 수 있죠. 실제로 저도 글을 다 쓴 뒤 어색하거나빈약하게 느껴지는 첫 문장을 바꿉니다. 그러니 빈 문서 앞에서겁먹지 마시고요. 인용하기, 상황을 묘사하기, 주제를 함축하기등 첫 문장 쓰는 방법을 하나씩 적용해보세요. 그렇게 어서 첫문장을 타고 글쓰기의 세계로 들어가시길 바랍니다. - P109


댓글(4)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23-08-01 09:53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3-08-03 22:37   URL
비밀 댓글입니다.

페크pek0501 2023-08-03 13:21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글 쓰는 작가들의 공통점 하나가 산책을 즐겼다는 점이에요. 산책은 저도 즐기는데 글은 안 써진다는...

모나리자 2023-08-03 22:3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네, 맞아요. 저도 산책하다가 글감이나 쓰고 있던 원고 내용이 떠올라서 도움을 받았던 적이
있어서 많이 공감했습니다. 글이 항상 잘 써지는 건 아니니까요.ㅎ
페크님의 글쓰기 응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