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제일 답답하게 생각하는 사람들은 이 세상에서 뭔가를 능숙하게잘하려면 그것을 전공하였어야 한다고 믿는 자들이다. 이를테면 사업을하려면 경영학과를 나와야 하는 것으로 안다. 대기업에 ‘들어가려면‘ 그런 식의 생각이 틀린 것은 아니지만, 의사나 약사같이 어떤 면허증이 필요한 특정 전문직을 제외하고는 실제로 일을 수행하는 데 전공은 큰 의미를주지 못하는 경우가 더 많다.
무역을 예로 들어 구체적으로 설명하여 보자. 무역이란 무엇인가. 무엇인가를 해외에서 사오거나 해외로 파는 것이다. 따라서 첫째, 우선은 상품을 보는 눈을 갖추고 시장 상황을 알아야 할 것이다. 이런 것은 전공학과에서 배우는 것이 아니다. 학교는 과거에 일어난 일들을 반추하고 현재와 미래의 변화를 굵게 예측하여 볼 수는 있어도 구체적으로 무엇이 돈이되는지는 가르쳐 주지 못한다.
둘째, 의사소통에 문제가 없어야 한다. 외국어 능력이 탁월하여야 한다는 말이다. 보따리 장사를 하는 것이 아닌 이상, 서류하나에도 오자가 없어야 하며 잘못된 해석이나 영작은 절대 있어서는 안 된다. 외국어는 전공과 상관없이 혼자 배워야 하는 영역이다. - P121
결국 진짜 공부는 사회에서 하게 되는 것이다. 요약을 하여 보자. 1. 학벌과 전공이 좋아서 좋은 회사에 들어가게 되었어도 실전 공부는 새로 해야 한다. 도 사관련 업무에서음 2. 학벌은 안 좋지만 전공이 취업에 유리하다면, 또는 학벌은 좋지만 전공이 돈 버는 것과 거리가 멀다면, 중소기업은 갈 수 있을 것이고 마찬가지로 실전 공부는 새로 해야 한다. 3. 학벌도 전공도 신통치 않지만 취직을 하여야 한다면 당연히 실전공부를 미리 하고 그 증거를 제시하여야 한다. 4. 학벌이고 뭐고 아예 없어서 독립을 하고자 한다면 실전 공부를해야 한다. - P123
EXCEL을 배워야 하는 이유는 돈과 관련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유용한프로그램이기 때문이다. EXCEL과 연동되는 ACCESS도 배워 두면 좋고 궁음극적으로 MOS MASTER 자격을 따면 어디에 가든지 컴퓨터 사용 능력으로용하는 인정받는다. 모든 함수를 외워야 할 필요는 없고 나중에 일을 할 때, 아 이런 걸 처리할 수 있는 함수가 있는데 그게 뭐였더라? 하는 단계에서 그 함수를 찾아서 적용할 수 있는 수준 정도이면 충분하다고 본다. - P125
4. 그다음에는 다른 어떤 외국어보다도 먼저 영어 공부를 하여야 하는데 어중간한 실력이면 실전에서 사용할 기회가 많이 주어지지 않을 것이다. 예를 들어토익 700점 직원과 토익 900점 직원이 있을 때 영어 사용 기회는 900점 직1 원에게 집중적으로 주어지고 그러면서 그 직원의 실력은 계속 증가하게 되지※ 만, 700점 직원의 경우에는 900점 직원이 휴가나 병가 등의 이유로 자리를장시간 비울 때 비로소 기회가 주어지게 되는데 당연히 900점 직원보다는 그능력이 열등하기에 ‘이 직원은 안 되겠어‘라고 찍히기 마련이다. - P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