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두로 만나는 서양철학 - 지금 우리에게 서양철학은 무엇일까?
박병기.강수정 지음 / 인간사랑 / 202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 화두로 만나는 서양철학은 부제 지금 우리에게 서양철학은 무엇일까?’라는 물음으로 8일간의 여정으로 행복, 환상, 운명, 쾌락, 자기보존, 감정, 실존적 삶, 일상 속 철학함에 대해 묻고 철학자가 답하는 형식으로 이야기를 풀어가고 있다. 이 여덟 가지 주제는 우리의 삶에서 항상 고민하며 누리고자 하는 인간의 기본적인 주제인 만큼 다시 한번 진지하게 생각해 볼 수 있는 시간이 되었다. 이 중 몇 가지 소개해 보겠다.

 



1일 행복에 대해 묻다


인간은 누구나 문득 던져진 존재라고 한다. 세상에 태어나 자라고 성장하면서 많이 듣고 말하는 단어가 행복이라는 단어가 아닐까. 어떤 것에서 행복을 느끼는지는 사람마다 다를 것이지만 행복을 느끼는 감정은 어느 정도 비슷할 것이다. 저자는 행복에 대해 묻는 이야기를 헤세의 작품과 소크라테스 지혜를 언급하면서 이야기한다. 수레바퀴 밑에서의 한스가 자아를 찾지 못하고 비극적인 결말을 맞이했지만 나르치스와 골드문트에서 골드문트는 정처 없는 방랑생활 중에 아름다운 조각품을 본 후 예술가가 되기로 결심하고 예술가로서 진정한 자아를 발견하고 자신의 탁월성을 발견하고 꽃을 피웠다는 얘기다. 이 두 가지의 이야기를 접하고 보면 행복이란 물질적으로 풍요로운 삶을 넘어 자기 자신에게 스스로 만족하고 자랑스러워할 수 있는 정신적인 측면이 오히려 더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물론 이것도 어느 정도 물질적인 풍요가 뒷받침되어야 누릴 수 있는 혜택일지도 모르지만.

 



소크라테스의 지혜에 대한 언급에서는 먼저 자신을 아는 일부터 시작해야 한다고 말한다. 성찰하지 않는 삶은 살 가치가 없고, 육신의 쾌락과 풍요로움에 취해 영혼이 시들어가게 방치하는 사람은 불행한 사람이 된다는 것이다. 참된 진리를 알기 위해서는 자신이 모른다는 사실부터 깨달아야 하는데 이것을 무지의 자각이라고 말한다. 소크라테스가 말하는 참된 진리는 다름 아닌 도덕적 지식이다. 어느 것이 선인지 악인지 판별할 수 있을 때 덕이 있는 사람이 될 수 있고 덕은 곧 지식이라는 주장을 한다.

 



두 번째 이야기는 호랑 애벌레의 화두를 언급하며 행복한 삶은 어떤 삶인지 이야기한다. 맹목적으로 애벌레 기둥을 오르지만 맨 위에는 아무것도 없음을 알게 되는 허탈함은 우리 인간 사회의 경쟁적인 삶에서 맛보는 허무를 엿볼 수 있다. 이 내용은 트리나 폴러스(Trina Faulus)의 책 꽃들에게 희망을에 나오는 주인공 호랑 애벌레의 이야기다. 행복을 찾아가는 세 가지 모습을 보여주는데, 사랑하는 노랑 애벌레와 풀밭에서 먹고 사랑하며 살아가는 삶, 치열한 경쟁과 속도의 덩어리인 애벌레 기둥을 올라가기 위해 애쓰는 삶, 그리고 자신의 전 존재를 걸고 잠재된 참모습을 끌어내 나비가 되는 삶이다. 우리는 어떤 삶을 살고 있으며 진정한 행복이란 어떤 것일까. 이에 대한 답으로 아리스토텔레스는 지혜에 대한 사랑인 관조적 삶을 최고의 행복으로 여겼다는 것을 언급한다. 호랑 애벌레가 자신에게 잠재된 탁월함으로 호랑나비가 되듯이 자신 안에 있는 가장 탁월한 무언가를 실현함으로써 진정한 행복에 이를 수 있다는 것이다. 탁월성은 지적인 탁월성과 성격적 탁월성을 완성하여 좋은 인간이 될 수 있고, 이 바탕에는 실천적 지혜가 있고 이를 통해 품성적인 덕인 중용의 덕이 완성된다고 보았다.

 



이밖에도 환상에 대해서는 영화 <매트릭스>를 언급하며 우리는 가상 세계에서 살고 있는지 묻는다. 또 나머지 주제인 운명, 쾌락, 자기보존, 감정에 대한 물음을 문학, 영화, 드라마 속 이야기를 화두로 마치 철학자와 대화를 하듯이 철학이 우리의 삶에 어떻게 녹아들고 있는지 보여준다.

 



7일 실존적 삶에 대해 묻다


헤세의 <황야의 이리>에 나오는 주인공 하리 할러 이야기를 하며 니체가 말하는 철학으로 답한다. 인간의 왜소화, 평균화가 우리에게 최대의 위험이라고. 모든 인간은 평등하다는 평등주의가 보다 높은 인간의 출현을 막고 인간을 평균화하고 범속하게 만든다고 말했다. 헤세와 니체의 공통점은 금발의 야수가 되기를 꿈꾸는 황야의 이리였다.

 



8일 일상 속 철학함에 대해 묻다는 세 가지 화두가 나오는데 그중 카프카의 작품 변신의 화두를 철학자 하버마스의 답이 흥미롭고 무척 공감할 수 있었다. 카프카의 그 작품을 여러 번 읽었음에도 그 내용을 다시 접할때마다 먹먹한 감동은 여전하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자기 성장을 위해 극심한 경쟁 사회를 살아가는 일은 너나없이 버거운 일이다. 어느 날, 벌레로 변한 그레고르를 보고 동정심보다는 자신들의 생계를 걱정한다. 가족 모두 그에게 의지하며 살았지만, 생계를 유지할 수 있게 되자 그레고르을 짐스럽게 여긴다. 하버마스(Jürgen Habermas)는 우리가 살고 있는 사회가 체계와 생활세계로 분화되어 왔다고 말하면서 이처럼 경제체계와 행정 체계가 생활세계를 침범하는 현상을 생활세계의 식민화라고 표현했다고 한다. 배움의 광장인 학교는 직업 세계를 위한 준비과정으로 전락한 지 오래고 가족도 이러한 자본주의 질서에서 자유롭지 못하다는 것이다. 카프카의 변신은 본연의 가족 공동체의 의미가 변모하여 물화 현상의 상징적인 작품이라 하겠다.

 



 

여덟 가지 삶의 주제와 철학적 대답 이야기 속에서 만난 영화 문학 이야기는 잘 알고 있는 이야기도 있었지만 접하지 못한 것도 있었다. 특히 헤세를 좋아하면서도 읽지 못한 작품이 아직도 많구나 싶었다. 앞으로 한 작품씩 만나야겠다. 인문학 바람이 불면서 동서양 철학을 다룬 책이 많이 나오고 있다. 우리는 삶에 대한 고민에 부딪힐 때 철학을 만나게 된다. 저자는 서양철학자의 이름을 모른다고 해서 부끄러워할 일도 아니라고 한다. ‘서양철학은 철학의 한 특수한 영역이자 부분일 뿐이다라는 생각으로 잘 활용해서 내 삶에 도움을 받을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해 보자고 제안하고 있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3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새파랑 2023-01-15 17:12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헤세의 책이 좀 철학적이어서 그런지 헤세 책 이야기가 많네요? ㅋ
행복이 1번으로 나오는걸보니 역시 행복이 최고 입니다~!!

모나리자 2023-01-15 18:53   좋아요 1 | URL
맞아요. 헤세의 책이 쉽게 읽히는 책은 아니고 다소 철학적인 부분이 많지요.
역시 그렇죠? 행복의 추구는 만인의 소망이겠지요!
편안한 주말 저녁 보내세요. 새파랑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