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할 말 다 해도 괜찮습니다 - 속 시원하게 말하고도 절대 미움받지 않는 대화법
이토 아키라 지음, 이정환 옮김 / 나무생각 / 2017년 6월
평점 :
절판
만물의 영장이라는 인간이 동물과 구별할 수 있는 특별한 차이점이 있다면, ‘말’ 곧 ‘언어’를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인간 사회에서는 말로 인해 많은 문제점을 야기한다. 말 한마디로 천 냥 빚을 갚는다는 옛말은 그냥 있는 게 아니다. 같은 이야기라도 사람에 따라서 받아들이는 의미가 다르다. 사회생활을 하면서 수없이 많은 경험을 했을 것이다. 개인마다 자라온 환경과 가치관, 경험이 다르기 때문에 수용하는 방법도 제각각 다르다. 이것을 심리학 전문용어로 ‘인지 필터’라고 하는 것을 알았다.
약간 범위를 벗어난 이야기인지 모르겠으나, 배우 K씨는 가만히 있는 남편의 등을 파리채로 때려도 화를 안 낸다는 말을 들은 적이 있다. 얼마나 성인군자면 그럴까, 부러운 생각에 웃었던 적이 있다. 그러나 세상에는 위대한 성직자 말고는 그러한 성격의 소유자는 거의 드물 것이다. 발끈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읽다가, 공감이 가는 부분이 있었다.
‘저는 ~하는 사람이라서’ 라는 자주 쓰이는 말. 이 말처럼 파괴력이 큰 것도 찾아보기 어렵다고 한다. 생각해 보면 자신은 원래 이런 사람이니까 전혀 개선하고 싶지 않다는 의미다. 이기적인 태도다. 이러한 부류의 인물은 주변 사람으로부터 멀어지는 것은 시간문제다.
‘당연하다’는 말은 상황에 따라 다른 의미로 다가온다. 대화 중 상대방의 의견에 동의하거나 긍정의 의미로 쓰이기도 하지만, ‘고마움’을 모르고 ‘당연하게’ 생각하는 마음은 배려심이 결여된 표현이기도 하다. 책 속의 사례에서 사소한 한 마디 말로 인해 파국을 맞는 경우도 있는 걸 보면 말 한 마디의 의미를 가볍게 생각해서는 안 되겠다.
흔히 대다수의 사람들이 자주 하는 표현 중에,
“당신은 늘 그런 식이야.” 라는 말이 있다. 한두 번 정도에 지나지 않는 경우를 대부분 이렇게 말하곤 한다는 것이다. 무심결에 많은 말을 쏟아내고 있지만, 그것을 잘 걸러서 사용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자신의 말이 옳다고 생각되고, 자신은 말을 제대로 잘 하고 있다고 생각하겠지만, 잘 못된 경우인지도 모르고 습관에 젖은 채 살아가고 있는 건 아닌지. 이것은 심리학에서 말하는 ‘과잉 일반화’의 대표적인 예라고 할 수 있다.
상처받을 각오가 발언 능력을 낳는다.
주위에는 다혈질의 성격이거나, 남의 말은 잘 귀담아 들으려 하지 않는 사람이 있기 마련이다. 그런 사람에게는 괜히 한 마디 했다가, 본전도 못 찾는 경우가 많아서 웬만하면 말을 안 하거나, 빙빙 돌려서 말을 하는 경우가 있다. 앞서 이야기한 것처럼 사람마다 ‘인지 필터’가 존재하기 때문이며, 다른 사람의 말을 재료 삼아 상대방을 공격하는 사람이 꼭 있기 마련이라는 것이다. 그러므로 그것이 ‘내 문제’는 아니니까 주눅 들지 말고 ‘상처 받을 각오’로 의견이나 주장을 제시하는 훈련을 하다보면 발언 능력이 향상된다고 말한다.
평소 하는 말을 차분히 살펴 볼 필요가 있다. ‘하지만’, ‘어차피’ 등의 부정적인 말이 입에 붙게 되면 무슨 일을 해도 의욕이 저하될 수 있다. 부정의 말은 금세 전염이 된다. 점점 주변에서 사람들도 멀어져 간다. 이왕이면 긍정의 말, 상대방을 배려하는 말하기로 습관을 들이면 어떨까. ‘화법의 달인’이 되고 싶다면 그 이전에 상대방의 말을 ‘듣는 방법’의 고수가 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하고 싶은 말이 있는데도 참다가 스트레스를 받게 되는 경우가 많다. ‘말 한마디’의 중요성을 다룬 책으로 자신의 화법을 개선하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좋은 지침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