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군과 제왕 1 - 대륙의 별, 장군 고선지
이덕일 지음 / 웅진지식하우스 / 2005년 11월
평점 :
절판


  '이덕일'이라는 이름을 떠올리면 '탁월한 필력'이 떠오른다. 그를 싫어하는 사람들 조차도 그의 탁월한 글재주는 인정한다. 기자들이 이덕일과 인터뷰를하면서도 이덕일에게 좋은 글을 쓰는 비결을 묻기도 한다. 그만큼 이덕일의 탁월한 글재주는 역사의 대중화에 상당한 기여를 했다. 새우깡에 소주를 먹을 돈만 있어도 행복하다고 생각하며 역사를 공부했다는 이덕일은 일약 스타 역사 작가가 되었다. 나도 그의 글재주를 배우고 싶다. 내가 이덕일에 비해서 못한 것이 무엇일까? 역사에 대한 열정? 역사에 대한 지식? 여러가지를 떠올릴 수 있겠지만, 나에게는 이덕일이 가지고 있는 탁월한 글재주가 부족하다는 점을 절감한다. 그의 책을 20여권을 탐독하며 그의 글재주를 배우기 위해서 노력했다. 이덕일! 그의 글 속으로 들어가 보자.

 

1. 탁월한 구성력이 돋보이는 책!

  '장군과 제왕'이라는 제목을 보면서, 별로 쌕시해보이지 않는 제목이라는 생각을 했다. '칼날위의 역사'와 같은 제목 도발적인 제목에 비해서 대중을 끌어당기는 힘이 약하다는 생각을 했다. 그러나 이러한 생각은 프롤로그를 읽으며 뒤집혀 버렸다. 포롤로그에서 고선지 장군은 당제국의 장군으로 삶을 마칠지, 당을 버리고 제왕이 되어, 잃어버린 고구려부흥운동의 길을 떠나는 제왕의 길을 갈지를 선택해야하는 상황이 벌어진다. 그리고 프롤로그는 마무리되고 '1장 당현종의 고구려인 동지 왕모중'이야기로 넘어간다. 얼마나 극적 구성인가! 이 프롤로그 하나로 왜? 제목이 '장군과 제왕'이어야하는지! 왜? 고선지 장군과 이정기 장군의 이야기가 한데 묶여 두권으로 출간되었는지를 알게 된다. 프롤로그에서 느껴지는 생생하고 현장감 넘치는 문체와 현지를 답사하고 관련 사진을 첨부하여 현장감을 높였다. 이 책의 가장 강렬한 문장들로 프롤로그가 꽉채워져 있다. 이덕일은 영화를 만들듯이 역사책을 구성하고 글을 쓰고 있다.

  이덕일의 탁월한 필력은 책 구석구석에서 돋보였다. 적절히 사료를 제시하여 역사적 사실성을 높이고, 적절한 역사적 상상력을 덧입혔다. 역사적 상상력과 사료 제시의 균형을 절묘하게 잡았다. 덕욱이 탄탄한 현장 답사를 통해서 생동감 있게 사건을 묘사했다. 특히 고선지 장군이 사막의 모래 돌풍을 뚫고 진군하는 모습을 마치 당시 현장을 직접 보는듯했다. 이덕일이 역사적 상상력을 동원해서 책을 서술하면서 그의 서술에 커다른 사실성을 느낄 수 있는 이유는, 이덕일이 역사적 인물의 행동이유, 당시적 정치적 역학구도 파악이 탁월하다는 점도 있다. 측천무후, 당현종, 왕모중, 양국충, 이림보 등의 인물들의 역학구도를 내밀하게 분석하고 이를 책에 녹여낸 이덕일의 필력은 과히 역사가가 가질 수 있는 통찰력에 극치를 보는 듯했다.

  이덕일은 한장의 호흡이 끝나기 전에 반드시 다음장에 전개될 이야기를 암시하여, 독자로 하여금 궁금증을 갖도록한다. 나도 그 궁금증을 이기지 못하고 책장을 넘기게 된다.

 

2. 고선지 없는 고선지 평전

  이 책의 주인공은 고선지 장군이다. 이책을 고선지 평전이라고 해도 무리가 없을 것이다. 고선지 장군의 이야기가 가장 많이 나온 부분은 프롤로그와 4장 '고선지시대가 열리다.',  6장 '장군 고선지의 길'이다. 시작과 끝부분을 제외하고는 고선지 장군 보다는 당나라의 역사가 상세히 펼쳐져 있다. 당나라의 역사를 드라마틱한 소재를 중심으로 엮으며 고선지가 활약하던 시기 이전과 당시대의 중국과 비단길 주변의 광대한 나라에 대한 소개로 대부분을 채우고 있다. 고선지 평전이 아니라, 당나라 현종의 역사라 해도 별 무리가 없는 책이다. 닭튀김에 닭살은 없고, 밀가루만 듬뿍 입혀 튀긴 '닭튀김' 같았다. 고선지의 등장을 갈망하면서 이책을 읽으며 지루함을 여러차례 느꼈다.

 

3. 3천 궁녀는 중국에 있었다.!!

  3천 궁녀!! 라면 누가 떠오르는가? 당연히 '백제 의자왕'이 떠오를 것이다. 그러나 삼국사기와 삼국유사를 아무리 찾아봐도 3천 궁녀라는 단어는 나오지 않는다. 백제 멸망의 원인을 마지막왕인 의자왕에게 떠넘겨, 후세왕들에게 교훈을 주려는 의도에서 만들어진 이야기들이다. 그런데, 중국에는 3천 궁녀가 있었다. 당현종은 황후 외에 귀비, 숙비, 덕비, 협비의 4부인을 둘 수 있었고, 소의, 소용, 소원, 수의 등 9명의 빈이 있엇다. 여기에 첩여, 미인, 재인이 각각 9명, 그 아래 보림, 어녀, 채녀가 각각 27명이었다. 이렇게 법적으로 규정된 121명의 후궁이외에, 통칭 3천명이라 불리던 궁녀들이 있엇다. 그리고 30황자와 29명의 공주를 생산했으며, 당황제 30명 중에서 가장 많은 생산력을 자랑했다. 역시 중국은 스케일이 크다. 우리의 기준으로 분다면, 왕조가 항상 망해야하지만, 중국이라는 거대한 대륙은 그정도는 애교였다.

  딸같은 어머니를 보았는가? 중국에는 딸같은 어머니를 둔 경우가 존재한다. 안녹산은 양귀비를 어머니로 모셨다. 양귀비가 29살, 안녹산이 45살!! 딸 같은 어머니를 둔 것이다. 심지어는 양귀비가 아이(안녹산)을 목욕시키는 놀이를 했으며, 당현종은 이를 보고 선물을 보내기도 했다. 권력을 위해서는 자신의 자존심도 버리는 모습을 보며 권력이란 것이 그리도 좋은가?라는 반문을 해본다. 그렇게 안녹산이 지키려했던 권력도 양국충에 의해서 허물어져 버리고, 그는 반란을 일으킨다. 권력은 손으로 움켜쥔 바닷물과 같은 것이다. 쥐려할 수록, 손가락 사이를 빠져나가며, 더 큰 권력을 쥐려할 수록 더 깊은 바다 속으로 빠져들게 된다. 그리고 자신의 생명조차 잃어버린다.

 

  이덕일의 여타 책에 비해서 그의 문장력이 돋보이는 책이다. 그러나 고선지 없는 고선지 평전의 한계가 너무도 켰기에 이 책에서 느껴지는 실망감도 너무도 켰다. 고선지 장군에 관한 사료가 너무도 적었기에 어쩔 수 없는 일이라고 이해해보려하지만, 밀려드는 실망감은 어쩔수 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