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국의 미래 - 총.달러 그 이후... 제국은 무엇으로 세계를 지배하는가?
에이미 추아 지음, 이순희 옮김 / 비아북 / 2008년 5월
평점 :
품절


  '제국의 매래' 얼마나 웅장한 제목인가? 에이미 추아는 이민 2세대로 성공한 중국계 미국인이다. 그녀가 미국에게 묻고 있다. 초강대국으로서의 미국은 지속될 수 있닌가? 그녀는 고대의 아케메네스 페르시아에서부터 로마, 당나라와 몽골, 근대 유럽의 여러 강대국을 거쳐서 미국에 이르기까지 다앙한 제국들이 초강대국으로 발전할 수 있었던 비결을 '전략적 관용'이라는 관점에서 서술하고 있다. 폴 케네디의 '강대국의 흥망'이 국방비와 군사력, 경제력을 중심으로 강대국의 흥망을 설명했다면, 그녀는 '관용'이라는 주제를 중심으로 강대국의 요건을 살펴보고 있다.

 

1. 받으려면 먼저 주어라,

  도덕경에 나와 있는 말이다. 그릇은 비움으로써 그 가치가 있다. 받으려면 먼저 주어라! 어쩌면 너무도 감상적인 말이라고 주장할 수도 있다. 그러나 저자는 세계사의 다양한 초강대국의 역사를 통해서 '전략적인 관용'을 택했던 나라들은 번영했고, 그 번영을 구가하던 나라들이 관용을 포기할 때, 그 강대국은 삽시간에 사라졌다고 갈파하고 있다. 그러면서 미국에게 필요한 것은 '전략적 관용'을 포기하지 않고 이를 지속하는 것이라 주장한다. '만일 미국이 건국 이후 성공에 성공을 거듭할 수 있었던 비결을 재발견하고 제국을 건설하려는 유혹을 뿌리칠 수 있다면, 몇 년이 지난 후에도 세계의 (중략)

기회, 역동성, 도덕성을 갖춘 초강대국으로 남을 것이다.'라고 갈파하고 있다. 트럼프가 집권한 지금 미국은 과연 과거 미국이 성공에 성공을 거듭할 수 있었던 비결을 재발견하고 있는가? 트럼프를 당선시키고, 나치깃발을 들고 거리에 나오는 네오나치들을 보면서 미국의 어두운 미래가 깃들지는 않을까? 불안함이 엄습해온다.

 

2. 강한 접착제가 필요하다.

에이미 추아는 관용만으로 초강대국이 될 수 있다고 말하지 않는다. 관용은 필요조건이지 충분조건을 아니다. 또한 관용만으로는 제국의 해체를 막을 수 없다. 알렉산드로서의 침공으로 삽시간에 망했던 아케메내스조 페르시아를 예로들면서 제국을 묶을 수 있는 강한 접착제가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보통, 작은 민족국가는 민족주의가 접착제가 되어주지만, 다양한 민족이 뒤섞여있는 미국은 무엇이 강한 접착제가 되어 줄 수 있을까? 기독교와 앵글로 색슨은 접착제가 될 수 없다. 민주주의 가치가 그것이 되어줄 수 있을까? 이것은 미국이 풀어야할 숙제이다.

  중국은 어떠한다. 재레드 다이아몬드 교수가 '문명의 붕괴'에서 중국의 환경파괴를 위협요소로 지적하며, 중국이 과연 계속 발전할 수 있는지 의문을 제기했다. 에이미 추아는 중국의 한족이라는 개념이 중국 내의 다양한 종족을 통합하는 구실을 하고 있다고 지적한다. 그러나 이는 양날의 칼이다. 동남아시아의 비한족들이 중국인이 된다거나, 백인이 중국인이 되는 것에는 중국인들은 긍정적 대답을 하지 않는다. 중화제국주의를 추구하며 팽창하는 중국은 민주주의라는 가치를 가지지 않았으며, 대외적으로 전략적 관용을 실천할 수 있는 상황도 아니다. 그것이 중국의 한계이다.

 

  오랜만에 너무도 좋은 책을 읽었다. 그리고 거시적 관점에서 역사를 바라볼 수 있는 눈이 띄인것 같다. 지금까지 읽었던 거시사의 책들이 디딤돌이 되고, 에이미 추아의 '제국의 미래'가 대들보가 되어 나의 시야를 넓혀주었다. 거시적 안목에서 세상을 바라보고 싶어하는 사람들에게 이 책을 추천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