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적 시 읽기의 즐거움 - 우리 시에 비친 현대 철학의 풍경
강신주 지음 / 동녘 / 2010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난 유독 시를 이해하기 힘들어했다. 물론 성우가 낭독해주는 시는 나의 가슴을 울렸던 적이 많았지만, 내가 직접 시를 읽고 이를 풀어내지는 못했다. 난해한 파편 조각을 어디서부터 맞추어야할지 길을 잃어버리기를 수차례.... 철학도 마찬가지이다. 대학에서 철학 개론 수업을 들으며 내가 배운 것은 철학은 어렵다는 사실이다. 마치 수학을 배우며 수학이 어렵고 지겹다는 사실을 깨달은 것 처럼... 그런데 이 책은 그 난해한 시를 어려운 철학으로 쉽게 풀어내려 도전하고 있다. 물론 강신주이기에 믿고 책을 꺼내들었다. 무모해보이는 이 도전을 강신주는 어떻게 즐겁게 풀어냈을까?

 

1. 철학하는 시인 시를 읽는 철학자!

  과거! 나는 시인들은 그저 문학서적만을 읽고, 사회과학서적이나 철학서적을 읽지 않는 것으로 오해했다. 추상화를 그리듯이 난해한 시를 써내려가는 시인들을 이해하려들지도 않았다. 그러나 시인들은 온몸으로 사회를 느끼고, 니체를 비롯한 철학서적을 읽으며 사회를 바라보는 눈을 스스로 넓히고 있는 사람들도 많다는 사실을 뒤늦게 알았다. 특히 이 책에 소개된 시들은 서양의 많은 철학자들의 이론을 동원하여 풀이해 볼 때, 보다 그 심도 깊은 의미를 이해할 수 있는 것들이다. 첫장의 시를 읽고는 이해가 되지 않았다. 강신주가 설명해주는 철학자의 이론을 음미하고는 다시 첫장으로 돌아가 시를 읽어보았다. 이제서야 시속에 담긴 철학이 이해되었으며, 철학을 통해서 시를 이해할 수 있었다. 하나의 시에 이렇게 깊은 철학이 숨어있었을 줄이야.....

 

2. 한국 사유의 논리

  강신주의 철학강의를 많이 듣다보면, 강신주는 장자로 박사학위를 받았지만, 서양의 철학에 더 많은 관심이 있다는 생각을 하곤했다. 단지 박사학위를 받기 위해서 장자를 읽었을 뿐인가?라는 생각을 여러번했다.

  도올 김용옥 선생의 말도 생각난다. 우리의 철학자들이 서양의 철학자의 이론을 소개할 뿐 자신의 철학이 없다는 뉘앙스의 말을 했을 때, 지식수입상 수준에서 벗어나, 우리 사회의 고민을 우리의 담론으로 풀어내는 철학자가 나와주기를 기대했다.

  강신주는 마지막 21번째 시를 김준태의 '길'로 택했다. 마치 우리 한국철학의 길을 찾는 듯이... 이를 풀어내는 철학자는 유일하게 한국의 철학자 '박동환'이다. 동양의 장자도, 서양의 니체도 아닌, 한국의 박동환을 통해서 한국적 사유의 길을 찾으려 시도해본 것이다. 지식의 수입국에서 지식의 창조국으로서의 길을 우리가 찾을 수 있다는 희망을 강신주는 마지막 21번째 장에서 찾고 있다.

 

  시를 읽는 방법이 어디 철학이라는 길을 통해서만이겠는가? 보다 다양한 방법으로 시를 읽을 수도 있으리라! 이 책은 철학을 통해서 시라는 세계로 침잠해갈 수 있도록 나를 도왔다. 그래서 철학적 시읽기의 즐거움인가 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