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이장군의 큰 꿈 - 위대한 충무공
이민식 엮음 / 극동대학교 / 2013년 1월
평점 :
품절


남이장군!

남이 섬에 갔을 때, 남이 장군의 묘를 발견했다. 남이섬과 남이장군, 그 무덤이 허묘임을 그후 알게되었다. 억울하게 유자광의 모함으로 꿈을 이루지 못하고 죽은 그를 허묘이지만 남이섬에서 만난 것은 나에게 남이장군에 대해서 알고 싶은 욕망을 안겨주었다. 그리고 장군에 관한 책을 찾았다. 극동대학교에서 만든 이 책은 표지부터가 웅대했다. 김기창 화백의 '이만주 정벌도'는 남이장군의 웅대한 모습과 호쾌하게 말달리며 우리의 땅을 되찾으려는 장군의 웅지가 나를 매료시켰다. 그리고 장군의 이야기 속으로 나를 빨려들게했다.

 

 역사는 승자의 기록이라했던가! 남이장군은 역사의 패배자이다. 그는 자신의 꿈을 이루기도 전에 너무도 억울하게 죽었다. 그러하기에 조선왕조 실록은 승자인 한명회와 유자광의 편에서 역사를 서술하고 있다. 조선왕조 실록이 승자의 기록이라면, 민간에 떠도는 야사는 민중의 역사이다. 그들은 억울하게 죽은 그들의 영웅을 승자들이 날조하도록 허락하지 않았다. 그리고 그들만의 역사를 서술했다. 이 책은 바로 이러한 민중의 역사! 야사를 비롯하여, 남이장군의 흔적을 찾을 수 있는 실록의 기록까지를 충실히 반영하여 저술되었다. 남이장군의 탄생과 결혼과 관련된 이야기, 그리고 죽음에 이르는 이야기는 너무도 다이나믹했다.

 

  그리고 이 책의 하이라이트는 바로, 남이 장군의 '북정가'였다.

" 백두산 돌은 칼 갈아 다없애고,

두만강 물은 말먹여 다 없앨 것이네,

대장부 나이 이십에 천하를 평정하지 못한다면,

후세에 누가 그를 사내대장부라하리오."

남아의 기상이 흘러넘치는 너무도 호쾌한 시이다. 이시애의 난을 평정하고 이만주를 정벌하고 백두산에 올라가 저 넓은 만주를 평정하고 싶어하는 장군의 웅대한 포부가 묻어나는 시이다. 그리고 장군은 세조에게 20만의 군대를 준다면 만주를 평정하겠다고 당당히 말했다. 그러나 세조의 남이장군의 그 포부를 담을 수 있는 그릇이 아니었다. 부당한 권력을 유지하는데는 명석했으나, 잃어버린 땅! 만주를 되찾으려는 웅대한 포부는 없었다. 결국, "경의말이 너무 지나치다"라는 세조의 한마디 말로 그의 주장은 받아들여지지 않는다.

 

  남이의 웅대한 포부를 펼치기도 전에, 세조는 죽었다. 어리석은 예종이 등극하고 사태는 심각하게 전개된다. 신공신 남이세력을, 구공신세력의 영수 한명회는 그냥두지 않았다. 그리고 여기에 서얼출신의 기회주의자 유자광이 끼어들어 남이를 옭아 매기 시작했다. '북정가'의 '미평국'을 '미득국'으로 고쳐 남이가 반역을 꽤했다고 날조하자, 충신과 간신을 구분할줄 모르는 어리석은 군주 예종은 남이를 죽였다. 사지를 찢어죽였고 그의 시신은 그의 부하들에 의해서 몰래 다른 곳으로 옮겨졌다.

 

책을 덮고 남이장군을 생각해본다. 남이장군이 죽자, 더이상 오랑캐를 무찌를 수 있는 장수는 없었으며, 이후에 조선은 여진족에게 대체로 밀리는 형국이었다. 천하를 떠받칠 영웅을 너무도 허망하게 죽였다. 천리마가 있으면 무엇하리. 천리마를 알아보는 사람이없는데.... 남이장군을 생각하며 남이장군의 웅대한 포부를 담아낼 그릇이 없는 조선왕조를 생각하면 긴 한탄을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