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의 딸, 총을 들다 - 대갓집 마님에서 신여성까지, 일제와 맞서 싸운 24인의 여성 독립운동가 이야기
정운현 지음 / 인문서원 / 2016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는 여성 독립운동가들을 얼마나 알고 있었는가? 라는 질문에 다섯 손가락을 꼽고 나면 더이상의 여성 독립운동가의 이름이 떠오르지 않는다. 이러던 차에 '조선의 딸, 총을 들다'라는 책을 보게 되었다. 내가 미처 알지 못했던 독립운동가의 삶을 확인하고 싶었다.

 

1. 다양한 분야의 여성 독립운동가들을 만나다.

  이 책에 소개된 여성 운동가들의 활동모습은 너무도 다양했다. 여성 독립운동가들이 활동은 나의 상상 이상이었다. 유관순처럼 옥중에서도 만세를 부른 동풍신, 안중근 처럼 왜놈을 총으로 쏘려했던 남자현, 고문으로 두 눈 먼 '대갓집 안주인'김락, 심지어는 33살 임산부의 몸으로 일제의 품에 폭탄을 안긴 안경신까지 조선의 독립을 위해서 활약한 여성 독립운동가들의 활약은 너무도 눈부셨다. 여자이기에 남자 보다 빛나는 활약을 하지는 못했을 것이라는 선입견을 깨고 그녀들이 할 수 있는 최대한의 활동을 보여주었다.

 

2. 가지수는 많지만, 맛만본 음식.

  이 책의 장점은 그동안 알려지지 않았던 다양한 여성 독립운동가들을 발굴하여 대중에게 알렸다는 점이다. 이것이 이책의 장점이다. 그러나, 이 책에도 아쉬운 점이 있다. 24명의 여성 독립운동가를 선별하고 이들을 280여 페이지에 담다보니, 한인물의 삶을 구체적으로 알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대갓집 안주인 김락을 읽었을 때의 느낌은 좀 허무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더이상 김락의 사람냄새가 느껴지지 않았다.김락의 인간적인 풍모, 일화, 글 등을 통해서 그녀에 대해서 더 알고 싶었지만, 가지수는 많지만, 배부르게 먹을 수는 없는 마트의 간식코너를 돌아본 느낌이었다. 이정도의 인물을 한권의 책으로 묶으려면 적어도 400페이지는 되어야 한 인물에 대해서 사람냄새 나는 책이되지 않았을까?하는 아쉬움이 든다.

 

  친일의 역사를 기록하던 정운현 작가가 드디어 독립운동가의 역사를 정리하였다. 그 결실이 이 책이다. 이 책에서 내가 느낀 아쉬움은 다른 평전들을 통해서 해소해야겠다는 생각을 한다. 이땅의 여성 운동가들의 삶은 가벼운 마음으로 살펴보기를 원하는 독자에게 일독을 권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