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승을 죽인 제자들
정명섭 지음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15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니체의 말이다. 제자가 계속 제자로 남는다면 스승에 대한 고약한 보답이다.!! 수처작주 입처개진!! 임재스님의 일확 떠오른다. 임재스님이 스승을 찾아가자 뺨을 때렸고 두번째 찾아자가 몽둥이로 때렸다. 세번째 찾아갔을 때, 임재스님은 노스님을 끌어안고 등을 탁탁탁! 때린다. 그러자 그 노스님이 "이제야 제자를 찾았구나!"라고 감탄하신다.

 

참다운 재자는 스승을 뛰어 넘어야한다. 그리고 때로는 스승과 다른 길을 가야만 한다. 알렉산더는 아리스토 텔레스의 제자이다. 그러나 아리스토 텔레스가 이방인을 보면 무시하고 그리스인을 보면 존경해해라는 말에 대해서 알렉산더는 그 모두를 존중할 것이라고 대답했다. 이리스토 텔레스의 시야에 갖혔더라면 알렉산더는 대제국을 만들지 못했을 것이다.

 

이 책에는 스승에게 등을 돌린 제자와 스승의 그림자가 되어 스승 보다 치열하게 살아간 제자, 그리고 스승을 뛰어넘은 제자들의 이야기를 그리고 있다.

 

이 책에서 가장 인상깊은 것은 송익필과 김장생의 이야기 이다. '송시열과 그들의 나라(이덕일)'라는 책을 읽었을 대, 송익필을 처음 알았다. 그리고 예법에 따르면 그는 예학을 연구해서는 안되는 인물이었다. ‘예는 서민들에게까지 내려가지 않고, 형은 대부에게까지 올라가지 않는다(예불하서인 형불상대부).’라는 말을 떠올린다면, 한국 예학의 커다란 태생적 이이러니 일 것이다. 천민 송익필 에서게 시작된 조선예학이 사계 김장생, 김집, 송시열 등을 거쳐서 한국사회에 뿌리내렸다. 그리고 조선사회를 사대부의 나라로 만들었다. 지금 한국사회를 숨막히게하는 예절 문제를 보며, 현재 과연 구시대의 유물인 형식적 예학에서 언제 우리는 벗어날 수 있을지를 생각해 본다.

 

ps.한가지 옥의 티를 지적하겠다. 181쪽 김정희가 1868년 71세로 죽었다고 했는데 1868년은 오페르트도굴 미수사건이있었던 해로 고종이 임금이었다 추사는 1856년에 세상을 떠났다. 이런부분은 빨리 수정했으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