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동아시아, 해양과 대륙이 맞서다 - 임진왜란부터 태평양전쟁까지 동아시아 오백년사 ㅣ 메디치 WEA 총서 4
김시덕 지음 / 메디치미디어 / 2015년 4월
평점 :
절판
우리는 한국사라는 일국사의 관점에서 우리역사를 바라보면, 우물안의 개구리라는 느낌을 지울 수 없다. 좁은 틀에서 생각하다보니, 못보는 것들이 너무도 많다. 김시덕이 이책은 동아시아의 역사를 해양세력과 대륙세력의 역학관계속에서 우리역사를 새롭게 바라보고 있다. 물론, 저자는 동아시아의 역사를 해양과 대륙의 역사로 바라보지만, 나는 이를 한국의 역사에 촛점을 맞추어 읽었다.
1. 반도라는 지정학적 위치가 항상 지정학적 요충지로 중요시된 것은 아니다!!
김시덕의 도발적인 주장이 참으로 인상적이었다. 과거 일제 식민사관에 의해서 한반도는 대륙세력과 해양세력의 충돌지점으로 대륙세력이 강할 때는 대륙의 영향을 받고, 해양세력이 강할 때는 해양의 침략지로서 고통을 받는다고 반도적 숙명론을 말하곤 했다. 그런데, 이러한 반도라는 우리의 한반도가 지정학적 요충지로 떠오른 것은 바로 세양세력이 떠오르기 시작한, 임진왜란 이후의 일이라는 사실을 김시덕은 날카롭게 지적하고 있다. 과거 일본인 학자들의 도식적인 역사해석에 얼마나 우리가 갖혀서 생각했는지를 생각하니, 소름이 돋는다.
김시덕은 역기서 한발자국 더 나아간다. 일본에서 시작된 파동이 한반도를 거쳐, 만주대륙에 전해지고 마침내는 중국대륙의 주인을 바꾸고, 타이완에 정성공 세력이 터전을 잡는 것으로 끝났다는 서술은 참으로 신선했다. 이러한 역사를 모르는 것은 아니다. 익히 알고 있었다. 그러나 구슬이 서말이라도 꿰어야 보배라고 했다. 이러한 역사적 사실들을 파편으로 알고 있었던 나에게 이를 하나의 실로 꿰어서 설명을 해준 김시덕의 책은, 내가 새롭게 동아시아사를 바라볼 수 있게 도움을 주었다. 너무도 당여하여 발견하지 못했던 예쁜 꽃을 김시덕의 눈을 통해서 발견한 느낌이다.
2. 새로운 시기를 준비하고 있었어야했던 근세 조선
임진왜란 이후, 교류의 역사는 더욱 역동적으로 전개된다. 일본은 난학이 발전한다. 네덜란드라는 창을 통해서, 일본은 역동적으로 서구의 학문을 받아들였다. 그리고 러시아의 남하에 대비해서 이를 막기 위해서 다양한 준비를 했다. 한편으로는 잔인할 정도로 크리스트교도를 처형하고, 러시아의 남하에 대비해서 영토 탐험과 아이누인 정복을 실시한다. 그런데, 우리는 중국이라는 기존의 강대국에 기대어, 안락함에 취해있었다. 전쟁이 임진왜란, 병자호란을 제외하고는 일어나지 않았다. 이러한 편안한 시기에 일본은 외부의 충격에 대비해서 부단히 새로운 준비를 하고 있었으나, 조선은 그러하지 못했다. 결국, 이것은 그 이후에 전개되는 서양제국주의 국가들의 침략에 제대로 대비할 수 없게 만들었다. 조선의 운명은 바로 안락함에 취해서 새로운 시대를 준비하지 못한 것이 있었다. 위기가 온다고 내부로 움츠려든다면, 이는 패망밖에 없다. 새로운 도전을 적극적으로 맞서서 운명을 개척할 때에만이 새로운 시대는 열린다.
3. 슬픈 한국의 역사의 시작
서구의 충돌에 대해서 일본은 온건한 개방을 주장하는 막부가 망하고, 막부타도를 주장한 신정부가 등장했다. 그런데, 이 신정부의 핵심인 사쓰마번과 죠슈번은 이미 서양제국주의 전쟁에서 패배했다. 그러자 그들은 태도를 180도 돌려, 서구화로 전략을 수정한다. 반면, 조선의 흥선대원군은, 병인양요와 신미양요를 통해서 프랑스와 미국에 승리를 거두었다. 그리고 깊은 은둔의 길로 빠져든다. 이 책에 '잘 진 것은 잘못 이긴 것보다 낫다'라는 명문장이 숨어있었다. 그래 우리는 잘못이긴 것이고, 일본은 잘진 것이다. 그 결과 한쪽은 잘못된 선택의 나락으로 빠져들과 다른 한나라는 서구화라는 선택을 통해서 근대국가를 건설한다.
잘못 이긴 쪽과 잘진 쪽의 역사는 잘진 쪽이 잘못 이긴 쪽을 식민지로 만든는 것으로 이어진다. 중국에게 기대어 나라를 유지하려하는 사대주의적 생각은 서양의 강대국 즉, 미국과 러시아를 비롯한 주변국에 기대어 독립을 유지하려는 생각으로 이어진다. 강대국들 사이의 줄타기로 자신의 이익을 취하려는 외교절략도 자국의 강력한 국력을 바탕으로 하지 않는다면 소용이 없다. 결국 그러한 외교전략은 실패로 끝난다.
이 책은 한국사를 바라보는 눈을 동아시아전체로 확장시켜주었다. 우리가 역사를 배우는 여러가지 이유중에 하나가 '교훈'을 얻기 위해서이다. 과연 지금의 위정자들은 과거 역사에서 무엇을 배우고 있는가? 역사를 알려고는 하는가? 반문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