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차의 세계사, 그림으로 읽다
이소부치 다케시 지음, 강승희 옮김 / 글항아리 / 2010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드는 '오리엔탈리즘'이라는 말을 사용했다. 서양인이 가지고 있는 동앙에 대한 선입견, 신비 등을 기리키는 말이다. 이러한 오리엔탈리즘은 서양인이 예쁜 동양인을, 쌍꺼풀이 지지 않은 얼굴에 서양적이지 않은 얼굴, 즉 요즘의 우리가 좋아하지않는 얼굴을 말한다. 이러한 모습은 홍차에도 녹아있다.

  이책에서 가장 재미있는 것이 홍차의 탄생이다. 중국의 녹차를 가지고 네덜란드 상인이 유럽에 팔때, 때로는 먹을 수 없는 상태로 변했다고 판단했으나 벌릴 수 없어 이것을 팔았고 그것이 홍차라는 것이다. 여기에 한걸음 더 나아가, 정산소종을 대신해 랍상소종을 만든 상인들의 모습과, 정작 차의 생산지인 중국인들은 대부분 녹차를 마시지, 홍차는 대부분 수출한다는 것이다. 동양에 대한 신비! 그러나 동양이라는 서양의 이미지는 왜곡된 이미지였다. 현실에는 존재하지 않으며, 왜곡된 동양의 신비는 상술과 결합하여 더욱 왜곡되어 갔다. 아쌈의 토종차를 홍차를 만드는데 사용하지 않고 중국의 차를 가져와 이식시키려했던 노력이나, 지금도 중국차를 최고의 차로 생각하는 영국인들의 모습에서 아직도 살아있는 동양의 신비! 즉, 오리엔탈리즘을 볼 수 있다.

  이 오리엔탈리즘은 아쌈을 차의 고장으로 만들었으며, 이어 인도 남부로 퍼졌다. 그리고 실론티로 잘알려진, 실론으로 이어졌다. 영국의 노동자들이 차를 싼값에 마실 수 있는 것은 인도, 실론의 차 덕분이다. 그리고 현재는 아프리카에서도 차를 재배하고 수출하며, 이 차는 다른 지역의 차잎과 블랜디되어 싼티백으로 팔린다. 이리는 아프리카의 차를 우리도 모르게 마신다.

  한편, 미국이라는 실용주의 나라에서 차는 티백차로 변화한다. 어느 지역에가느냐에 따라 귤이 회수를 건너면 탱자가 되는가 보다!!

  이제, 대영제국이 쇠퇴하면서 영국의 홍차 수입도 줄어들고 있다. 대영제국!! 해가지지 않는 나라를 상징하는 홍차! 동양의 신비를 담은 홍차! 그리고 지금은 플랜테이션 무역이라는 불공정 무역의 의미를 담은 홍차! 이 홍차의 역사가 앞으로 어떻게 펼쳐질지 자못 궁금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