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레지스탕스 - 야만의 시대와 맞선 근대 지식인의 비밀결사와 결전
조한성 지음 / 생각정원 / 2013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독립운동사를 제대로 살필 수 있는 대중서적이 적은 상황속에서 이책은 가뭄에 단비와 같은 책이다. 신민회, 대한광복회, 조선공산당 등 우리의 독립운동단체를 보다 자세히, 그것도 재미있게 알 수 있는 책이었기에 너무도 좋은 책이이다.

 

이책은 나에게 몇가지 생각을 하게 해주었다.

첫째, 의열단의 황옥은 과연, 일제 밀정이었는가? '경성을 쏘다.'라는 책에는 황옥을 독립운동가로 그려 넣고 있다. 그런데, 이책에서는 일제의 밀정으로 적고 있으며, 인터넷 백과사전에서는 그가 독립유공자라라 쓰였이다. 친일 인명사전에도 그의 이름은 없다. 그렇다면, 그는 누구인가? 황옥에 대한 분명한 판단을 위해서 인터넷을 뒤졌지만, 그에대한 자세한 정보는 얻지 못했다. 각시탈의 모델이된, 김상옥의사와, 함께 나에게 너무도 흥미로운 인물이 황옥!! 그의 정책게 궁굼하다.

 

둘째, 파벌주의에 휩싸였던 공산주의자들을 어떻게 평가해야할까? 물론, 이것은 공산주의자의 만의 문제는 아니었지만, 끊임없이 파당을 짓고 상대를 배척하고, 심지어는 독립운동가 김좌진을 암살한 공산주의자! 그들에 대한 파벌주의적 행태는 결코 관대한 평가를 줄 수 없다. 보수는 부패로 망하고 진보는 분열로 망한다는 말처럼. 분열에 분열을했던 세력, 일제 식민사관의 당파성론이 싫지만, 공산주의자들을 보면, 마치 당파성론이 맞는 듯 싶다.

 

셋째, 역사는 성공한자의 것이라는 말이있다. 독립운동가는 친일파에게 패배했다. 친일파가 권력을 잡았다. 그렇다면, 우리 레지스탕스의 역사를 어떻게 기술해야할까? 성공한 자의 역사를 기억하도록 강요하는 지금의 세태속에서 우리의 과제를 생각해본다. 슬프다.

 

많은 과제를 나에게 던져준 '한국의 레지스탕스'는 재미있고, 꽤 의미있는 책이다. 부디 한국의 많은 사람들이 이 책을 잃고 오늘을 바로 인식하길 바란다. 이 책을 한사람이라도 더 읽는다면, 희망이 하나 더 생기는 것이니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