옆으로 읽는 동아시아 삼국지 1 - 한중일 동아시아史를 한 바늘로 꿰어낸 신개념 역사서 옆으로 읽는 동아시아 삼국지 1
이희진 지음 / 동아시아 / 2013년 9월
평점 :
절판


전영관의 30분 책읽기에서 이희진이 자신의 책을 소개한 것이 인상적이어서 책을 읽게되었다.

 

이덕일의 책처럼 재미있게 술술읽히고 이해하기 쉬운 책을 기대하면 책을 펼처 들었다.

우선, 삼국의 역사를 한사람이 정리한다는 것이 대단하다는 생각이 책을 읽으며 들었다. 또한, 일본사나, 중국사를 읽으면서 이해가지 않았던 부분이 이책을 통해서 많이 해소되었다. 친절한 설명과 사람냄새나는 서술은 이책을 재미있게 읽을 수 있게했다.

 

신라의 삼국 통일이 토번과 당과의 전쟁이 많은 영향을 미쳤다는 것과, 일본이 신라를 정벌하려는 계획을 세우고 발해에 협공을 요청하였으나, 발해가 이를 거절한 것이, 역사스페셜에서 설명하였듯이, 단순히 발해와 신라가 민족의식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이라는 피상적 설명이 아닌, 당나라에서 안사의 난이 일어나 발해가 여기에 관심을 쏟았기 때문에 협공에 참여하지 않았다는 설명은 압권이었다. 우리의 역사를 동아시아적 관점에서 바라보았을 때, 그 안목이 넓어진다는 것을 새삼 깨닫았다.

 

그러나, 5호 16국 시대를읽으면서 아쉬웠던 점이 많았다. 물론, 이희진은 재미있게 5호 16국 시대의 사건을 설명하였다. 그러나, 그가 아무리 쉽게 설명하고 재미있게 설명한다 하더라도 워낙 많은 인물과 나라가 흥망을 거듭하였기에 머릿속에서 쉽게 정리되지 않았다. 5호 16국 시대의 흐름을 파악할 수 있는 도표나, 각나라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지도를 삽입하는 배려를 하지 않은 저자가 원망스러웠다.

 

책을 읽으며, 이덕일의 책과 자꾸 비교가 되는 것은 왜일까? 이덕일에게 되지지 않는 탁월한 글쓰기 실력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덕일의 책에서 자주보이는 사진이 전혀보이지 않았고, 이는 영상세대들에게는 당시의 시대를 시각화하여 상상하는데 어려움을 느끼게 했다.

 

책을 다 읽고 중세편이 기다려 졌다. 그리고, 부디 중세편은 이해를 돕기 위한 사진과 지도가 첨부되길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