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지도를 펼치면 돈의 흐름이 보인다 - 다가올 기회를 읽는 30개국 세계경제기행
박정호 지음 / 반니 / 2023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박정호 교수는 내가 좋아하는 경제학자이다. 그는 다른 경제학자와는 다른면이 많다. 타경제학자들이 경제학의 이론에 매몰되어 현실을 보지 못하는 반면, 그는 경제를 말하면서 국제 정세와 세계사, 지리학등 다방면으로 세상을 설명한다. 도그마에 갖힌 외눈박이 경제학자들과는 너무도 다른 시야를 지닌 학자이다. 그래서 그의 책을 과감하게 펼쳤다. 


  '세계지도를 펼치면 돈의 흐름이 보인다.'라는 다소 속물적인 제목이 마음에 들지는 않지만, 조근조근 30여개국의 역사와 경제상황, 지리적 위치를 종합하여 쉽게 설명해주는 그의 책에 강한 매력을 느끼며 책장을 넘겼다. 

  그의 책을 읽으며, 정치, 경제, 사회, 문화라는 분야별로 격벽을 쌓고 통섭을하지 못했던 내가 그 격벽을 깨고 세상을 통합적으로 바라볼 수 있었다. 그중 몇가지를 예로 살들어보자. 

  첫째, 네덜란드는 상업국가이다. 세계 최초로 증권 거래소를 개업했던 것이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이다. 하녀도 주식에 투자했던 시기에 우리는 조선의 왕들이 나라를 통치하고 있었다. 세계사는 격벽속의 지식은 통합되지 않고 잠자고 있었다. 현재 세계적 농업국가가 네덜란드라는 사실을 초등학교 시절에 알았음에도 불구하고, 상업국가였던 네덜란드가 어떻게하여 세계적인 농업국가가 되었는지 전혀 의문을 품지 않았다. 사회시간에 배운 지식과 세계사 시간에 배운 네덜란드라는 한나라의 지식은 서로 다른 격벽속에서 잠을자고 있었다. 

  영국과의 연이은 전쟁에서 네덜란드는 패배했다. 그렇지만, 상업의 패권을 빼앗겼지만, 네덜란드가 가지고 있었던 상업국가로서의 DNA는 사그러들지 않았다. 농업에 상업국가 네덜란드의 DNA가 살아 숨셨다. 카카오를 전량 수입해서 11억 kg의 카카오 중에서 4분의 1은 곧바로 제3국에 재판매하고 나머지는 파우더와 버터 등으로 가공해서 다시 해외에 수출한다. 네덜란드는 상인의 농업을 하고 있었다. 상인이하는 농업은 땅을 갈고 씨앗을 뿌리고 가을에 걷어들이는 전통적인 농민의 농업과는 달랐다. 그것이 네덜란드가 농업국가로 우뚝설 수 있는 비결이었다. 

  둘째, 러시아의 숙원사업은 부동항을 찾는 것이다. 세계사 시간에 러시아가 부동항을 찾아서 흑해와 블라디보스토크, 상트페테르부르크로 진출하려한 역사를 배웠다. 그리고 이를 막기 위해서 영국이 부던히도 노력한 역사를 흥미롭게 배웠다. 그러나 이러한 역사는 세계사라는 격벽 속에서 고히 잠들어있었다. 가끔 역사책을 들춰볼 때만이 그 역사는 잠에서 깨어났다. 

  환경뉴스를 보면서 지구온난화로 인해서 북극항로가 열린다는 기사를 자주 접했다. 투발루처럼 지구 온난화가 저지대의 약속국에게는 국토를 포기까지해야하는 위기이지만, 동토의 제국 러시아에게는 새로운 항로를 개척하는 기회의 시기라는 생각을 했다. 그러나 이 지식도 환경이라는 격벽속에서만 살아있었다. 

  러시아에 대한 세계사 격벽속의 지식과 환경이라는 격벽 속의 지식은 서로 만나지 못했다. 그런데, 박정호 교수는 두 지식을 만나게 해주었다. 


  "하지만 러시아의 숙원 사업인 부동항 문제는 최근들어 지구 온난화로 해결될 듯해 보인다. "107쪽


  "부동항 확보 = 지구온난화로 북극항로가 열린다." 이 쉬운 지식의 연결을 나는 이루어내지 못했다. 지식을 연결 시키면 지식의 벽을 허물 수 있다면, 나의 사유의 폭과 깊이는 더없이 깊고 넓어질 수 있다. 박정호 교수를 통해서 맞본 지식 연결의 기쁨은 너무도 컸다. 


  박정호 교수가 찾은 마지막 지역은 인류의 손이 닿지 않은 미지의 영역, 다리엔 갭이다. 파나마의 야비사와 콜롬비아의 투르보 사이에 존재하는, 길이 160km, 폭 50km의 정글과 늪지대로 지구에서 가장 우거진 오지가 다리엔 갭이다. 독충과 악어, 재규어와 아나콘다, 마약조직과 콜롬비아무장혁명군이 장악한 이땅에 목숨을 걸고 밈국으로 향하는 이주자들이 있다. 박정호 교수는 "언젠가 다리엔 갭이 개발되는 시점이 우리 인류가 지금보다 성숙한 단계로 나아가는 시기가 될 것이다."라고 말한다. 그러나, 나는 인류가 다리엔 갭을 개발하지 않고 자연 그대로에 맞겨두는 여유가 있을 때 우리사회가 성숙한 사회로 나아갈 수있다고 믿는다. 세계를 개발과 투자의 시각으로만 보기 보다는 때로는 여유를 갖고 그들을 있는 그대로 놓아둘 수는 없는 것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