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동남아 - 30개의 주제로 읽는 동남아시아의 역사, 문화, 정치
강희정 외 지음 / 한겨레출판 / 2022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동남아라는 지역에 관해서 우리는 많은 것을 알고 있지 못하다. 우리보다 뒤떨어진 지역, 열대지역이라는 조건으로 열심히 일하지 않고도 먹고 살 수 있을 것 같은 지역으로 생각한다. 나도 그러한 생각을 가지고 이책을 읽었다. 그러나 책장을 덮고 나서야 깨달았다. 동남아는 우리가 배울 것이 많은 지역이라는 시실을....


  그렇다면 우리는 동남아로부터 무엇을 배워야할까? 그것은 외교에 있다. 동남아는 서세동점의 시기에 서구 제국주의 국가의 식민지배를 받았다. 풍족한 자원과 향신료는 동남아에게 축복이기보다는 재앙이었다. 신이 동남아인에게 준 선물은, 그것을 지킬 힘이 없는 자에게는 재앙으로 돌아왔다. '수완나부미(황금의 땅)'을 찾아서 인도인 이슬람인들이 동남아로 왔고, 그 뒤를 이어서 유럽인도 왔다. 그들은 동남아를 식민지로 삼으며 수탈했다. 식민의 아픔을 겪었기에 그들은 깨달았다. 약자가 강자에게 짖밟히지 않기 위해서 그들은 현명한 외교술을 터득했다. 

  약자의 힘은 단결이라고했다. 미국과 소련의 강자에게 휘둘리지 않기 위해서 동남아 국가들이 제3세계 외교에 참여한 것도, ASEAN을 결성해서 미국을 초대한 것도 약자로서 살아 남기 위한 현명한 외교술이었다. 강대국의 외교 논리에 휩쓸려가기 보다는 자신이 원하는 판을 만들어 강대국을 자신의 판으로 초청하는 탁월한 외교술이다. 

  싱가포르의 라자라트남장관은 "태양이 여러개일 때야 말로 작은 행성들은 항해의 자유를 더 확보할 수 있다."(323쪽)고 말다. 혼자만의 힘으로 강대국을 상대할 수 없는 상황에서 ASEAN을 구성하여 자신의 목소리를 내는 것은 마치 가얇픈 개미가 무리를 이루어 강하게 생존하는 모습을 떠올리게한다. 

  특히, 싱가포르는 작지만 강한 나라이다. 경제력만이 강한 나라가 아니다. 외교에서도 강소국 외교를 구사하고 있다. ASEAN을 주도하며, 필요하면 새로운 협력체를 만들고 이슈를 이끌어간다. 이슈를 만들지 못하고 미국과 일본에 끌려다니며 의탁하는 외교 행태를 보여주는 우리 현실과 너무도 대비된다. 

  싱가포르가 강소국 외교의 모범을 보여준다면, 인도네시아는 한나라의 외교가 어떠해야하는지 보여주고 있다. "독립적 행동 외교"(Bebas dan Aktif), 즉 외부 강대국의 압력에 휘둘리지 않고 주체적으로 국제 사회에 적극 참여하겠다는 인도네시아의 외교는 자주 독립 국가의 외교는 어떠해야하는지를 잘 보여준다. 

  우리가 일본과 미국에 일방적으로 의존하는 외교를 펼치고 있는 사이, 문재인 정권시기 드높았던 외교적 위상은 추락했다. 우리는 더 이상 변수가 되지 않는 나라가 되었으며 중국과 러시아를 적으로 돌리며 경제적으로 추락할 뿐만 아니라 한반도의 위기가 더욱 고조되고 있다. 동남아의 싱가포르와 인도네이사가 보여주는 외교력은 우리의 외교가 어떠한 길을 가야하는지 본보기를 보여주고 있다. 

  지구상의 3분의 2의 국가가 식민지가 되었지만, 타이는 독립을 지켰다. 타이의 피분이 친일노선을 걸었기에 패전국의 대우를 받을 수도 있었으나, 타이는 패전국의 대우를 받지 않았다. 쁘리디를 주축으로한 '자유타이(세리티아)'는 OSS를 통해서 군사 훈련을 받고 있었다. 그런데, 일본의 갑작스런 항복으로 전투없이 종전을 맞이했다. 우리나라와 유사한 상황이었다. 우리는 제국주의 일본의 피해자인데도 불구하고 분단을 맞이했다. 부러움에 타이를 바라보았다. 라마4세와 라마5세의 개혁으로 독립을 유지할 수 있었으며, 유능한 국왕들 덕택에 지금도 왕실은 국민의 존경을 받으며 존속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나의 이러한 선입견이 진실일까? 자혜로운 국왕의 통치 밑에서 외세의 침략없이 타이인들은 행복하게 오늘날에 이르렀을까? 아니었다. 1976년 10월 탐마삿대학에 왕실 근위대와 경찰,군대, 우익청년들이 기관총을 난사하며 대학생들일 학살했다. 피흘리는 학생을 나무에 매달아 놓고 의자로 내리치는 장면을 AP 통신 기자 닐 율레비치는 사진에 담았다. 자혜롭고 유능한 국왕의 이미지는 만들어진 것이었다. 민주 공화국을 바라는 학생들에게 국왕은 자혜롭지 않았다. 

  태국 정치사를 전공한 저자 현시내는 타이인들이 존경하고 사랑하는 푸미폰 왕에 대해서 다른 평가를 내린다. 


  "결국 이는 30년에 가까운 군부 독재에 대항해 시민들이 피흘려 쟁취한 민주화운동의 승리를 가로체는 일이었다. 푸미폰 왕이 스스로 민주주의의 영웅으로 나선 것이다."(287쪽)


  1973년 10월 대학생들이 민주화를 요구했다. 정부는 이를 받아들여 헌법을 개정하겠다고 약속했다. 그런데, 군경은 탱크와 헬리콥터를 투입해서 해산하던 시위대를 무력으로 진압했다. 77명 사망 800여명 부상이라는 최악의 사태가 벌어졌다. 그런데, 그날 푸미폰 왕이 "군부가 사퇴할 것이며, 새로운 총리를 임명해 의회를 재구성하겠다.'고 전격 선언했다. 이를 통해서 그는 민주주의의 영웅이 되었고, 민주주의는 납치되었다. 이것이 타이에서 민주주의가 정착하지 못한 근원적 이유였다. 자유는 피를 먹고 자란다. 그렇게 자란 자유는 때로는 납치당하기도한다. 타이처럼.....

  그런데, 어찌하여 푸미폰 왕을 타이인들은 존경하고 사랑하는가? 이는 푸미폰 왕의 어머니 상완의 이미지 메이킹 덕분이다. '하늘에서 내려온 어머니(매팔루앙)'라고 불리는 상완은 산간 벽지의 가난한 소수민족을 헬리콥터로 돌아다니며 보살핀다. 소수민족에게 상완은 하늘에거 내려온 어머니로 보였을 것이다. 이러한 이미지 메이킹은 그녀의 아들 푸미폰 왕에게 이어져 자혜롭고 서민적인 국왕으로 이미지 메이킹에 성공했다. 

  아이는 태어나서 부모를 사랑한다. 생존을 위해서 부모가 자신을 사랑하다고 믿는다. 그래야만 부모에게 버림받지 않고 생존할 수 있기 때문이다. 타이의 수많은 사람들에게 푸미폰 왕은 부모와 같은 존재였다. 국왕을 모독하면 최고 15년 동안 감옥에 갖혀 살아야하는 상황 속에서 국왕을 자혜로운 분으로 존경하며 사는 것이 생존에 유리하다. 마치 박정희 독재 정권 시기를 살면서 박정희를 자혜로운 어버이로 생각하는 우리의 7080세대처럼 말이다. 


  동남아는 고통을 통해서 생존의 방법을 찾았다. 강대국에 맹종하기 보다는 자신의 목소리를 내면서 자신에게 유리한 판을 만들고 강대국을 자신이 유리한 판으로 초청하는 방법을 터득했다. 강대국의 틈바구니에서 식민의 아픔을 겪고 분단의 고통을 감내하고 있는 우리가 동남아에게 배워야할 교훈이다. 또한, 피의 댓가 없이 자유를 얻는 것은 불가능하며, 피로 키운 자유는 언제나 납치당할 수 있다는 교훈을 우리는 반드시 기억해야할 것이다. 정의는 반드시 승리하지만은 않는다. 현명한 시민이 깨어있을 때만이 정의는 승리할 수 있다.




ps. 이 책을 읽으며 가장 기분 나쁜 순간은 학자라는 사람들이 '대동아 전쟁'이라는 명칭을 거리낌 없이 사용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즉, 이책의 6쪽과 278쪽에는 '대동아 전쟁'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 '대동아 전쟁'이라는 용어는 일본이 백인 제국주의 국가에 대항해서 대동아시아 공영권을 만드는 전쟁이라고 선전하기 위해서 만든 용어이다. 적어도 학자라면, 대한민국의 학자라면, 황국사관에 젖어있는 어용학자가 아니라면 '대동아 전쟁'이라는 용어는 사용해서는 안된다. 동아시아사 교과서에서 사용하고 있는 '아시아 태평양 전쟁'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길 필자들에게 간곡히 건의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