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조지 소로스 ㅣ 에버그린 문고 71
이시우 지음 / 김&정 / 2009년 4월
평점 :
절판
조지 소로스?! 그의 이름을 처음 알게된 것은 IMF외환위기 시기였다. 유동성투자 자금이 동아시아 외환위기를 초래한 주범이라는 인식을 가지고 있있기에 그에 대한 인상이 좋지 않았다. 타인의 불행을 이용해서 돈을 버는 악마의 상인의 이미지가 강했다. 그후 놀라운 소식을 들었다. 조지 소로스가 기부핵 순위 3위일 정도로 엄청난 자선 사업을 하고 있다! 믿기지 않았다. 돈밖에 모르는 악마의 상인이 자선활동을 하다니! 인지부조화를 겪으며 그의 본심을 알고 싶었다.
지지 소로스는 헝가리에서 죽음의 고비를 넘기며 영국에 왔다. 밑바닥 인생을 살면서 살아남기 위해서 투쟁했다. 철학자가 되고 싶어했고 그가 돈을 버는 목적은 자신이 좋아하는 철학을 하기 위해서였다. 이 사실을 알고는 연민의 정이 생겼다. 나도 역사 학자가 되고 싶어했고 교사가 된 것은 역사를 가르칠 수있기 때문이다. 고학을 해야했고 경제적 사정으로 투자가가 되어야했다. 그런데 그의 능력은 철학보다 돈을 버는데있었다. 짐 로져스와 함께 퀀텀 펀드에서 기록적 수익을 얻는다. 부와 명성을 얻은 그는 철학자를 초대해서 토론을 한다. 비즈니스석 티켓을 제공하며 철학자와 토론하고 철학책을 저술하지만 세상은 그의 투자에 관심이 있을뿐 그의 철학에는 관심이 없다. 잘하는 것을 해야할까? 하고 싶은 일을 해야할까? 소로스가 철학자가 되었다면 그는 행복했을까? 가난한 철학자 소로스는 부유한 투자자 소로스를 부러워하지 않았을까? 모를 일이다. 소로스는 돈이 인생의 목적이 아니었으니 말이다.
개처럼 벌어서 정승처럼 써라는 속담이 있다. 소로스는 이 속담처럼 살았다. 자선재단을 만들어 그가 태어난 헝가리의 자유를 위해 엄청난 돈을 썼다. 체첸과 중국의 자유를 위해서도 돈을 썼다. 자신은 검수한 삶을 살아가며 인류의 자유를 위해서 자신의 돈을 사용했다.
우리사회도 돈에 중독되어있다. 매값으로 2천만원을 주면 쇠파이프로 맞을 수있다는 학생의 주장을 접했을 때 소로스를 떠올렸다. 돈은 수단일뿐 목적이 되어서는 안된다. 소로스의 삶은 그 교훈을 전해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