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더는 하루에 백 번 싸운다 - 정답이 없는 혼돈의 시대를 돌파하기 위한 한비자의 내공 수업
조우성 지음 / 인플루엔셜(주) / 2019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조우성의 인생내공'이라는 팟캐스트를 처음 들었을 때, 감탄이 절로 나왔다. 돈과 법에만 밝을 것 같은 변호사가 고전을 말한다. 고전을 현실과 접목시켜 현대인들에게 인생의 내공을 쌓게해준다. 조우성 변호사의 팟캐스트를 들으며 인생의 내공을 쌓아갔다. 그런데, 그 내용을 책으로 묶어 냈다. '리더는 하루에 백번 싸운다.'라는 책이 바로 그 책이다. 책속의 내용들은 팟캐스트에서 대부분 조우성 변호사의 욱성으로 들었던 내용이다. 세월이 흘렀음에도 불구하고 책장을 넘기면 조우성 변호사의 욱성이 다시 내 귓가를 맴돈다. 

 책을 읽으며 여러 인간 군상들을 떠올렸다. 첫번째로 떠오른 사람은 고종이다. 고종은 을미사변으로 자신의 부인이 일본 낭인들에 의해서 죽는 모습을 지켜봐야만했다. 고종은 대한제국을 선포하고 자신의 신변을 지키기 위한 특단의 조치를 취한다. 퇴역한 외국인 용병을 상하이에서 모아서 자신의 신변을 지키려했다. 한나라의 황제가 자신의 병사를 믿지 못해서 퇴역한 외국인 용병에게 자신의 안위를 맡기려하는 못난 모습을 보였다. 한비자는 '나라 밖에서만 인재를 구하려하면 나라가 망한다.'라고 했다. 자국의 군대를 강병으로 만들어 자신의 신변을 지키려하지 않고, 퇴역한 외국 용병을 고용하려하는 못난 모습의 고종을 떠올리면서 씁쓸함을 감추지 못했다. 고종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는 학자도 있다. 그러나, 한비자의 눈으로 고종을 바라본다면, 그에게 패망의 책임이 없다고 할 수 없을 것이다. 

  두번째로 전두환과 이명박이라는 인물이 떠올랐다. 두사람은 보수를 대표하는 이 나라의 대통령이다. 전두환에게는 장세동이 있었다. 장세동은 전두환을 주군을 모시듯이 충성을 다해 모셨다. 그러나 이명박에게는 장세동과 같은 충신이 없었다. 왜? 이러한 차이가 발생했을까? 한비자는 은혜를 베푸는 것도 통치술이라했다. 이 책에 '크게 베풀면 직원은 충성으로 보답한다.'라고 적혀있다. 이명박을 지근거리에서 보필했던 어느 정치인이 이명박 전 대통령은 돈을 신처럼 모신다고 지적했던 기억이 난다. 이명박은 사람의 마음을 얻는 것을 돈을 대하듯이하지 않았나보다.

  마지막으로 굥 통이 생각났다. 철저히 자신의 어리석은 치부를 여과없이 방영하는 언론을 탄압하고 국민을 호도한다. 자신의 밑에 있는 참모들은 예쓰맨들로만 가득채웠다. 한비자는 '간신은 반대의견을 없애다.'라고 말했다. 국민을 섬겨야할자가 간신이되어 간신들로 나라를 채우고 있다. '반대 의견을 듣지 못하는 군주는 그 절반을 잃는 것이다.'라는 한비자의 고언을 굥은 귀담아 들을 수 있을까?

  많은 사람들이 고전을 읽으라말한다. 그러나, 고전을 고전만으로 기억할 뿐 이를 현실에 제대로 적용하지 못하는 것이 우리의 현실이다. '리더는 하루에 백번 싸운다'라는 책은 '한비자'라는 고전을 현대 리더들을 위해서 현실에 접목시켰다. 고전을 통해 현실의 지혜를 얻고자하는 독자에게 일독을 권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