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몽골제국의 후예들 - 티무르제국부터 러시아까지, 몽골제국 이후의 중앙유라시아사
이주엽 지음 / 책과함께 / 2020년 4월
평점 :
'몽골제국의 후예들'이라는 제목은 박진감 너치는 영웅들의 활약을 기대하게한다. 티무르를 비롯한 몽골제국의 후예들이 펼치는 영웅담을 기대며 이 책을 펼쳤다. 그러나, 책의 내용은 쉽지 않았다. 처음 들어보는 제국의 이름과 너무도 많은 인물들이 스치고 지나갔다. 얇은 책에 넓은 이야기를 담으려니 수박 겉핥기 식의 서술이 될 수 밖에 없었다. 나의 기대와는 다른 책이었다.
이 책을 읽으며 얻은 가장 큰 수확은 13세기 유라시아 대제국을 건설한 몽골제국이 어느 순간 사라진 것이 아니라, 칭기즈칸의 후예들이 그 이후에도 줄기차게 역사의 족적을 남겼다는 사실이다. 세계사에서 티무르제국과 무굴제국 정도만 기억하던 나에게 모굴 칸국을 비롯해서 우주벡 칸국까지 여러 몽골제국 계승국가를 알게 되었다. 역사는 단절되기 보다는 하나의 거대한 흐름으로 앞시기의 역사가 뒷시기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다시한번 확인했다.
물론, 저자 이주엽의 주장에 동의하지 않는 부분도 있다. 칭기즈칸의 피가 섞였다고 해서 그 왕국을 몽골제국 계승국가로 여길 수 있느냐는 문제이다. 이주엽은 10장 청제국 : 몽골인의 협력으로 건설된 만주인의 제국을 저술했다. '청제국'을 독립된 장으로 저술한 것 자체가 이해가 되지 않는다. 청제국은 엄연한 만주인의 제국인데 '4부 동내륙아시아의 몽골제국 후예들'이라는 제목으로 10장 청제국과 11장 북원을 하나로 묶어 편성한 것은 지나친 논리적 비약으로 보인다. 또한 맘룩 제국의 지도자 중에서 몽골인의 피가 섞인 자들을 골라내어 강조한 것도 논리적 비약으로 보인다.
광대한 스케일을 자랑하던 몽골제국이 멸망했다. 그후, 수많은 계승국가들이 출현했다. 이들의 역사를 하나의 책으로 정리한다는 것 자체가 무척이나 힘든작업이다. 이 작업을 해낸 이주엽의 학문적 성취는 마땅히 인정해야한다. 이책을 덮으며 저자 이주엽의 집념과 노력에 경의를 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