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 역사 - 세계의 문명 이야기
아서 코터렐 지음, 김수림 옮김 / 지와사랑 / 2013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는 아시아에 살지만, 아시아의 역사를 제대로 알지 못한다. 한국사로 제대로 알지 못하는데, 아시아를 어떻게 아느냐는 반문을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우리를 제대로 알기 위해서라도 아시아를 이해할 필요가 있다. 우리나라 사람에 의해서 씌여진, 아시아 역사 책이 없는 상황에서 영국 출신 역사학자 아서 코터렐이 쓴 '아시아 역사'를 집어들었다. 아시아의 역사를 제대로 알고 싶었지만, 잔인한 제국주의 국가 영국 출신의 백인 학자가 바라본 아시아는 어떤 모습인지 궁금했다. 아서 코터렐은 아시아를 균형감 있게 조감하고 있을까?


  아서 코터렐은 탁월한 시야를 가지고 아시아를 지역별로 나눠서 고대부터 현대까지 서술하였다. 그의 폭넓은 연구는 박수를 보낼만하다. 방대한 역사서술이기에 그도 인정했듯이 개략적인 내용을 서술할 수밖에 없었지만, 유려한 필치로 가독성 높은 글을 써서 우리를 기쁘게했다. 

  그러나, 그 기쁨도 잠시, 제국주의 국가 영국 출신의 백인이 바라본 아시아 역사의 한계가 보이기 시작했다. 

  첫째, 영국이 저지른 죄악에 대해서 변호하는 듯한 서술이 눈에 띈다. "셰익스피어를 인도와 바꾸자고해도 바꿀 수 없다."라는 말이 있다. 이 표현은 셰익스피어를 높이는 표현이자, 인도를 멸시하는 표현이다. 인도를 200년 동안 식민지배하면서 고혈을 빨아먹으며 해가지지 않는 제국으로 우뚝선 영국이 자신의 죄악에 대해서는 사회를 해야한다. 영국인이 역사를 서술한다면 이에 대한 반성의 표현은 반드시 해야한다. 그러나, 아서 코터렐의 책에는 깊은 사과의 표현보다는 영국을 변호하고 지지하는 글들이 많다. 

  대표적인 표현이 세포이 항쟁을 '반란'으로 서술한 것이다. 그리고 세포이항쟁의 근본원인을 인도인의 문화를 이해하지 못한 영국 동인도회사의 무지한 정책에서 찾지 않고 "(세포이 항쟁은) 사실 탄약통에 발라진 윤활유가 무엇이냐하는 문제와는 상관 없는 것이었다."라는 무지한 표현을 서슴없이 서술하였다. 아서 코터렐이 세포이 항쟁의 원인으로 제시한 "지배계급과 피지배계급 간의 격차"로 사건의 원인을 단순화하기 보다는 동인도 회사의 인도식민지배라는 모순 자체를 비판했어야했다. 

  더욱 놀라운 것은, 아서 코터렐이 "1786년 영국 장교의 혼혈 자녀들이 부친이 사망했을 경우 영국에 갈 수 없도록 하는 법안"을 제정한 것을 "인종차별이나 적대감 때문은 아니었다."고 변명한 것이다. 지극이 영국중심의 인종차별적 정책을 인종차별이나 적대감 때문이 아니라는 주장에 분노가 끌어오른다. 아서 코터렐은 이 법을 제정한 이유를 혼혈 사회가 수익성 좋은 고용에 접근하는 것을 방지하고, 인도 공무에 발언권을 가진 현지 이익 단체의 출현을 우려했기 때문이라 변명한다. 그러나, 혼현인을 영국인으로 보았다면 이러한 법안 자체를 만들 수 없었다. 바로 이것이 아서 코터렐의 아시아 인식의 큰 문제이다. 

  인도가 분리 독립하는 과정에 대한 서술을 하면서도, 인도가 분리 독립할 수 밖에 없는 근본적인 이유를 제대로 제시하지 못했다. 700,000명의 사상자와 1000만명이 종교에 다라 국경을 넘어야하는 근본 원인이 바로 영국에게 있다는 사실을 그는 직시하지 못했다. 영국의 벵골분할령을 비롯한 영국의 분할 통치 정책이 힌두교도와 이슬람교도 사이의 갈등을 격과시켰고, 결국 파키스탄과 인도로 분리독립하는 결과를 가져왔음을 영국은 인정해야한다. 

  영국은 중국을 상대로 '아편 전쟁'이라는 야만적인 전쟁을 했다. 그 무엇으로도 정당화 될 수 없는 전쟁을 '신사의 나라'라고 주장하는 영국이 중국을 상대로 일으켰다. 중국은 임칙서를 광둥에 파견하여 아편을 단속했다. 이를 두고 아서 코터렐은 "아편제고를 어떤 보상 없이 폐기"했다고 서술했다. 분명 임칙서는 그들에게 보상을 해주었는데도 이를 제대로 서술하고 있지 않으며, 영국의 입장을 변호하기에 급급한 서술을 하고 있다. 

  둘째, 아시아에 대한 편견이 느껴지는 서술이 있다. 서구 백인들은 이슬람 포비아를 가지고 있다. 이 책에서도 이슬람에 대한 편견이 드러난다. "유일신 문제에서 만큼은 유독 빡빡하게 구는 이슬람교도"라는 서술이나, "벽창호 같은 칼리프에게"라는 표현은 객관적인 역사서술을 해야하는 학자라면 사용하지 않았을 것이다. 교리상 이슬람이 우상숭배에 대해서 크리스트교보다 명확한 입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 비판의 대상이 될 수는 없다. 

  베트남이 프랑스의 식민지가 되는 과정을 서술하면서 "이베트남 통치가에게서 프랑스의 침략에 항거할 의지라고는 찾아볼 수 없다."라는 감정적 표현을 아서 코터렐인 사용하고 있다. 지극히 서구 백인 우월주의가 느껴지는 표현이다. '너희들은 미개해, 그래서 식민지배를 받아야해'라는 인상을 주는 표현이다. 서양인이 쓴 역사책에 서양인의 편견이 너무도 심하게 묻어 있다. 


  학부시절 교수님이 "영국에서는 아시아인에게 학위는 주어도 아시아인이 영국의 역사를 영국인에게 가르치게 하지는 않는다."라는 말씀하신적이 있다. 왜? 그들은 그들의 역사를 아시아인이 가르치지 못하게 할까? 아시아의 관점에서 영국을 바라본다면, 영국의 역사는 도덕적으로 떳떳한 역사로 그려질 수 없다. 그들은 이 사실을 알고 있었다. 반면, 우리는 한국사를 우리가 연구해서 우리가 우리에게 가르치고 있지만, 세계사 만큼은 외국의 번역서적에 의존해서 가르치는 경우가 많다. 세계사에 대한 우리의 학문수준이 깊지 않은 것이 근본 원인이겠지만, 그로 인한 부작용은 제법 크다고 할 수 있다. 우리의 눈으로 세계를 바라보지 못하고, 우리의 눈으로 아시아를 바라보지 못하고 서구 백인의 입장에서 세계를 바라보고 아시아를 바라보고 있다. 이제는 세계사를 우리의 눈으로 바라볼 시기가 되지 않았을까? 창밖으로 지나가는 자동차를 바라보며 상념에 잠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