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전쟁 - 잊혀진 전쟁, 반쪽의 기억
박태균 지음 / 한겨레출판 / 2015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불교에 '연기'라는 말이 있다. 이말을 쉬운말로 표현하자면, 우리는 인연이라는 그물로 연결되었다라고 설명할 수 있다. 박태균 교수의 '베트남 전쟁'이라는 책을 읽기 시작한 것도 역사라는 그물에 베트남 전쟁은 어떻게 포획되었는지를 알고 싶었기 때문이다. 지나간 전쟁, 잊혀진 전쟁으로 기억하기에는 베트남 전쟁은 우리에게 많은 영향을 미쳤다. 역사는 기록하는 민족의 것이며, 기억하는 자의 것이라는 말이 있다 . 베트남 전쟁은 우리에게, 동아시아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을까?


1. 6.25전쟁과 베트남 전쟁

 나비의 날개짓이 지구 반대편에 가서는 태풍을 일으킬 수 있다. 아무런 관련이 없어 보이는 사건들이 사실들이 인연의 끈으로 연결되어 있는 사실을 종종 발견한다. 우리의 비극인 6.25전쟁의 날개짓은 바다건너 베트남에 커다란 폭풍을 일으켰다. 

  6.25전쟁의 전쟁 전개 양상은 베트남 전쟁의 전개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우리는 흔히, 베트남 전쟁을 북베트남과 남베트남이 전선을 형성하여 밀고 밀리는 치열한 공방전을 전개했을 것으로 상상한다. 6.25전쟁에 대한 교육을 받은 우리로서는 '전쟁'이란 당연히 전선이 있을 것으로 믿는다. 그러나, 베트남 전쟁에는 전선이 없다. 보이지 않는 적과 전쟁을 치뤄야하는 기이한 전쟁이 베트남 전쟁이다. 베트남 전쟁이 전선이 없는 기이한 양상을 띄었던 이유는 무엇일까? 그것은 6.25전쟁의 날개짓 때문이었다. 미군이 38선을 돌파해 북진하자, 중국군이 참전하여 전세는 역전되었다. 이후 전개되는 지루한 공방전의 아픈 기억을 미군을 가지고 있었다. 이는 중국군도 가지고 있는 기억이었다. 북위 17도선을 돌파하면 중국군이 베트남전쟁에 참전할 것을 미국은 두려워했다. 중국도 미군이 북위 17도선을 돌파하지 않기를 바랫을 것이다. 결국, 북위 17도선을 유지한채, 남베트남의 베트콩과 전투개 전개되었다. 밀림 속에서, 구찌터널에서 출몰하는 베트공은 미군을 괴롭혔다. 

  뗏대공세와 펜타곤 페이퍼가 공개되면서 베트남 전쟁의 추악한 민낯이 보여지자, 반전운동이 들불처럼 일이났다. 전쟁을 지속하기 위해서는 전쟁비용이 필요하다. 그러나 미국의 곳간은 비어있었다. 결국 닉슨은 북베트남에 평화협상을 제안한다. 이는 6.25전쟁에서도 보았던 모습이다. 남북의 전쟁에 중국군과 소련군, 미군을 비롯한 UN군이 개입하면서 6.25는 국제전쟁화하였다. 휴전협상에 남북한이 마주앉지 않고, 북한군과 중국군 VS 미군이 마주앉았다. 강대국들의 휴전협상이 이뤄지면서도 전투는 계속되었다. 무수한 소모전 속에서 알토랑 같은 젊은이들이 생명을 잃었다. 무수한 화력을 쏟아부어 협상을 유리하게 이끌겠다는 얇팍한 생각은 베트남 전쟁에서도 계속되었다. 6.25전쟁의 휴전협상 시기에 쏟아진 화력이 협상을 유리하게 이끌었다고 판단한 미국이 선택한 협상전략이었다. 이시기 우리의 한국군의 젊은이들도 많이 생명을 잃었다. 

  이렇듯, 6.25 전쟁은 베트남 전쟁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평화'라는 6.25전쟁의 교훈을 배우기 보다는, 전쟁을 이길 수 있는 얕은 방법만을 그들은 배우려했다. 진정한 교훈을 역사를 통해서 배우지 못한 댓가는 이길 수없는 전쟁에 수많은 젊은이들을 밀어 넣었다. 그리고 그들이 귀국했을 때, 특히 미국에서는 전쟁범죄자 취급을 받도록했다. 전쟁에서 배울 수 있는 최고의 교훈은 '평화'라는 가치란 사실을 깨달아야할 것이다. 


2. 전쟁에서 배워야할 것.

 스베틀라나 알렉시예비치의 '전쟁은 여자의 얼굴을 하지 않았다.'라는 책에 어느 여군의 회고담이 있다. 끔찍한 전쟁이 끝나자, 그 여군은 이제 사람들이 서로 사랑하며, 서로를 아끼며 살것이라 기대했다. 그러나 사람들은 자녀에게 장난감 무기를 안겨주었고, 사람들은 다시 서로를 미워했다. 스베틀라나 알렉시예비치의 책에 나오는 소련 여군의 느꼈던 아이러니를 역사에서 흔하게 목격한다. 끔찍한 전쟁을 겪었음에도 불구하고 인간은 교훈을 얻지 못했다. 과연 베트남 전쟁을 통해서 우리는 어떠한 교훈을 얻어야할까? 

  6.25 전쟁에서 무수한 민간인들이 학살당했듯이, 베트남에서도 미군과 한국군에 의해서 민간인 학생이 이뤄졌다. 문재인 대통령을 비롯한 민주정권의 대통령이 베트남에 사과를 했다. 그러나, 미국을 상대로 승리한 베트남 정부는 한국의 사과를 요구하지 않는다. 베트남 정부의 입장은 미국의 용병으로 온 너희들이 무슨 잘못이 있겠느냐는 이야기다. 그러나, 베트남 전쟁의 피해자들은 우리에게 사과를 요구하고 있다. 저자 박태균이 지적했듯이, 우리가 일본에 일본군 '위안부'문제의 해결을 요구하면, 미군에 노근리 학살의 사과를 요구하면, 그들은 베트남에서 한국군의 민간인 학살과 한국군이 베트남에서 위안소를 운영했다며 반박한다. 한국도 그러한 전쟁범죄를 저질렀으니, 우리에게 반성을 요구할 수 없다는 논리이다. 

  나의 눈에 있는 대들보는 보지 못하고 남의 허물만 탓할 수는 없다. 우리가 일본에게 일본군'위안부' 문제에 대한 반성과 사과를 요구하듯이, 미국에 '노근리 학살' 사건에 대한 사과를 요구하듯이, 베트남전에서 벌어진 민간인 학살에 대해서는 용기있게 사과해야할 것이다. 잘못이 있다면 이를 인정하고 사과해야 우리는 내일로 나아갈 수 있다. 자신의 잘못을 직시하는 것이 얼마나 고통스러운지 우리는 잘 알고 있다. 그 고통과 직면해야만 우리는 과거의 고통에서 치유될 수 있다. 

  저자 박태균이 생각하는 베트남 전쟁의 교훈은 무엇일까? 박태균은 "국민이 지키고 싶은 정부가 되어야한다. 그것이 곧 암보다."라고 규정한다. 그렇다. 세계 초강대국 미국이 지지한 정권이 허무하게 무너진 역사를 우리는 무수히도 보았다. 장제스의 국민당 정부가 미국의 지지를 받으면서도 앞도적인 화력의 우위속에서도 마오쩌둥의 공산당에게 쫓겨 났다. 한국과 태국, 필리핀까지 끌어들이면서 천문학적 전쟁비용을 쏟아부어서 남베트남정부를 지원했지만, 미국은 베트남 전쟁에서 패했다. 미군없는 남베트남정부는 너무도 허무하게 북베트남에 무너졌다. 국민이 지키고 싶지 않은 정부는 아무리 강한 세력이 유지시키고 싶더라도 유지될 수 없다는 교훈을 우리는 깨달아야한다. 저자 박태균은 여기에서 한발자국 더 나아간다. 베트남 전쟁에 알토랑같은 젊은이들을 밀어 넣은 박정희 정권도 결국 남베트남정권이 무너지고 나서 몇년후에 붕괴된다. "대통령인 내가 발포명령하는데 누가 날 죽이겠나!"라던 그도 김재규의 총탄에 허무하게 저세상으로 갔다. 어리석은자들은 역사에서 자신이 보고 싶은 것만 보고 배운다. 진정으로 현명한 자라면 역사에서 참된 교훈을 얻어야한다. 위정자들은 "국민이 지키고 싶은 정부"를 만들어야한다. 이것이 베트남 전쟁의 참된 교훈이다. 

  베트남 전쟁은 우리에게 반성할 수 있는 용기를 가지도록 요구하고 있다. 우리가 우리의 잘못을 반성하지 않는다면 그 누구에게도 반성과 사과를 요구할 수 없다. 그러한 용기가 모여 이 사회를 움직인다면, "국민이 지키고 싶은 정부"를 만드는데 밑거름이 될 것이다. 



 한신대학교에서 1급 정교사 연수를 받을 때, 박태균 교수를 처음 만났다. 젊고 실력있는 교수라는 느낌을 강렬하게 받았다. 역시나, 그의 책 '베트남 전쟁'은 쉬우면서도 수많은 생각할 꺼리를 우리에게 던져주었다. 하수는 쉬운말을 어렵게 설명하고, 고수는 어려운말을 쉽게 표현한다는 말이있다. 학문적 내공이 상당한 박태균 교수는 어렵고 복잡한 베트남 전쟁을 쉽게 설명하고 있다. 우리가 베트남과 어떠한 관계를 모색해야할지를 고민하려면 먼저 이 책을 읽어보라 권하고 싶다. 


ps. 한홍구 교수의 책 '유신'에는 박정희 정권이 베트남 전쟁에 위안부를 보내려했으나, 다행히도 보내지 않았다고 씌여있다. 과연 베트남에 한국군이 관리하는 위안소가 있었는지 실증적인 연구가 필요해보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