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선비와 일본 사무라이 표정있는 역사 7
호사카 유지 지음 / 김영사 / 2007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가깝지만 너무도 먼 이웃 일본! 조선을 움직인 선비와 막부를 움직인 사무라이! 그들이 만든 선비문화와 사무라이 문화는 너무도 다른 한국과 일본을 만들었다? 한국과 일본의 참모습을 알고 싶었다. 그러기 위해서는 한국과 일본에 대해사 잘 아는 저자가 집필한 책이 필요했다. 일본출신으로 한국에 귀화한 호사카 유지의 책이 제격이었다. 호사카 휴지의 책속으로 들어가 보자!

1. 칼의 문화와 붓의 문화
선비가 만들어낸 붓의 문화와 사무라이가 만든 칼의 문화는 너무도 다른다. 한국에서 여성은 어머니로 기억 되지만 일본에서는 부인으로 기억 된다. 한국에서 무식하다는 말은 엄청난 모욕감을 주지만 일본에서는 그런 욕이 없다.
한일간에는 엄청난 문화적 차이가 존재한다. 붓으로 싸우는 조선의 선비와 칼로 싸우는 일본의 사무라이는 너무도 다른 문화를 만들었다. 이것이 순종적이면서도 잔인한 일본을 만들었고, 깨어 있는 시민들이 움직이는 대한민국을 만들었다.
그런데 재미있게도 일본의 거친 사무라이를 길들인 것은 조선의 선비문화였다.

2. 조선 선비, 일본을 가르치다.
니토베 이나조의 ˝무사도˝라는 책은 미국의 시어도어 루즈벨트 대통령이 읽었을 정도로 서양인들에게 일본의 사무라이 정신을 소개한 대표적인 책이다. 호사카 유지교수는 무사도를 분석하면 놀라운 사실을 밝혀낸다. 무사도에 소개된 사무라이의 규범 대부분이 조선 선비의 모습이라는 사실이다. 사무라이와 선비는 너무도 다른데, 그 규범은 왜이리도 비슷할까?
임진왜란을 우리는 일본에 철저히 유린당한 사건이라 기억한다. 그런데 군사적으로 일본이 조선을 유린했지만 조선 선비의 문화는 일본 사무라이의 정신을 장악한다. 일본군에게 잡혀 아들과 딸을 잃어버리고 포로로 끌려간 강항은 후지와라 세이카에게 조선 성리학을 가르처 준다. 후지와라 세이카는 제자를 길러 일본에 성리학이 뿌리 내리게한다. 호사카 유지교수는 조선 성리학이 에도막부가 200여년 동안 평화를 누린 비결 중에 하나라고 지적한다.
한국과 일본의 문화가 다르면서도 비슷한점이 있는 이유는 임진왜란 시기 일본에 전해진 조선 성리학이 사무라이의 야생의 기질을 길들였기 때문이다.


귤이 회수를 건너면 탱자가 된다고 했던가! 조선 성리학이 대한해협을 건너니 사사도가 되었다. 사무라이를 길들였으나 그 야만적인 본성을 없애지는 못했다. 사무라이의 침략 본성이 동아시아를 피로 물들게 했다. 호사카 유지 교수는 일본이 조선 성리학을 받아들이면서도 조선 성리학의 중심이 된 심성론을 깊이 있게 받아들이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주장한다. 일본 사무라이가 조성 성리학의 심성론의 중요성을 깨달아 동아시아의 평화에 기여할 수 있을까? 지금의 일본 정치인과 순종적인 일본시민을 보면 깊은 한숨이 나올 뿐이다. 일본 시민이 깨어 있는, 옳은 일을 행동하는 시민으로 거듭나는 그날이 오기를 고대해본다.

p.s. 재미있는 사료가 있어 적어둔다
아시카가 요시미쓰에 이르러서는 명나라에 무릎을 꿇고 신이라 칭했다. 외부에도 신을 칭함은 인신의 도리가 아니다. (중략) 몸은 천하의 실권을 쥐면서 신임을 이방에 칭하여, 이방으로 하여급 천조를 번신처럼 보게 만들었다. 그리고 고쿠다이(국처) 를 손상시켰다. -신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