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유미술관 - 아픔은 어떻게 명화가 되었나?
김소울 지음 / 일리 / 2019년 10월
평점 :
절판


 

"베아트리체 첸치"라는 작품을 소개하며 이 책은 말문을 연다. 그림을 처음 보았을 때는 그져 아름다운 여성이라는 생각밖에 없었다. 그러나, 사진속 첸치는 아버지에게 성폭행당하고 존속치사 혐의로 사형을 당하기 전의 모습이라는 사실을 알게 된 순간, "베아트리체 첸치"라는 작품에서 숭고함이 느껴졌다. 더욱이 엘리자베타 시라니라는 작가는 아버지가 스파르타식 그림 교육을 시키는 등 강압적으로 양육되었다는 사실은 "베아트리체 첸치"를 단순한 작품이 아닌, 위대한 작품으로 느끼게 했다. 단순한 그림 한조각으로 볼 수도 있는 작품에 얽힌 이야기를 알게 되자, 작품은 나에게 말을 걸어왔다. 저자 김소울은 그 이름 처럼 나의 영혼(soul)을 흔드는 작품들을 연이어 소개했다. 저자 김소울의 안내를 받아, 우리의 영혼을 흔드는 작가와 그들의 작품을 만나보자.

 

1. 홀로선 여인과 홀로서지 못한 화가

행복한 결혼 생활을 하기 위해서는 남자와 여자 모두가 홀로 설 수 있어야 한다. 어느 누구에게 의존하는 삶은 결혼 생활을 파국으로 내몰 수도 있다. 치유 미술관에 소개된 여성화가들은 자신의 아픔을 그림으로 승화시켰다. 그림을 통해서 자신의 아픈 마음을 치유 받기도 하고, 때로는 고통 속에서 헤어나지 못한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

아르테미시아 젠틸레스키는 이탈리아의 여성 화가이다. 우울증과 PTSD를 호소하는 여성이다. 그녀는 화가 아버지 덕분에 화실에 다니며 그림을 배울 수 있었다. 그러나, 아버지의 친구인 그림 선생은 젠틸레스키를 성폭행한다. 성폭행의 고통 속에서 젠틸레스키는 더 큰 고통을 받는다. 자신의 말이 거짓이 아님을 증명하기 위해서 손가락이 으스러질 정도의 고문을 참고 견뎌야 했다. 남성 우월주의 시대는 피해자가 고통을 겪어야하는 야만의 시대였다. 결국 그녀는 아버지에 의해서 강제 결혼을 당하고, 아버지와 의절한다. 그녀가 다시 아버지와 화해할 수 있었던 것은 "평화와 예술의 알레고리"를 아버지와 협업으로 완성하면서 부터이다. 미술을 통해서 그녀는 아버지와 화해하고, 진정한 예술가로 우뚝 설 수 있었다.

젠틸레스키의 고통도 보통 사람이 감당하기 너무도 힘든 경우인데, 그녀보다 더 큰 고통을 당한 여성이 있다. 그녀의 이름은 프리다 칼로이다. 6살 때 소아마비를 겪고, 18살에 교통사고로 30차례 수술을 받아야 했고, 세차례 유산과 잦은 남편의 외도로 그녀는 고통을 받았다. "벨벳 드레스를 입은 자화상"이라는 작품 속의 프리다 칼로는 현실에 굴복하지 않는 당당한 눈매를 갖고 있었다. 그러나 그녀에게 연이어서 닥치는 불행은 그녀를 너무도 괴롭게 만들었다. "헨리포드 병원""단지 몇 번 찔렀을 뿐"이라는 작품은 그녀가 얼마나 심한 고통 속에서 몸부림 쳤는지 짐작하게 해준다. 침대에 누워서 생활하면서도 그녀의 의지는 더욱 강해졌다. "희망의 나무, 굳세거라"라는 작품에는 두명의 프리다 칼로의 모습이 보인다. 한명은 수술용 침대에 누워서 칼자국이 보이는 등을 드러내고 있다. 한명은 당당히 앉아서 정면을 응시한다. 현실 속의 나는 침대에 누워 지낼 수 밖에 없지만, 자신의 영혼은 현실에 굴복하지 않겠다는 의지가 살아있는 듯하다. 그녀의 그림은 그녀의 의지와 그녀의 위대성을 더욱 돋보여주었다.

젠틸레스키와 프리다 칼로와 대비되는 여성이 있다. 그녀의 이름은 조현병과 망상장애를 호소하고 있는 카미유 클로델이다. 그녀의 불행은 잘못된 사랑에서 시작되었다. "사쿤탈라"라는 작품에서 보이듯이, 그녀는 로뎅의 사랑을 절실히 바랬다. 그러나, 로뎅은 그녀를 육체적으로 탐닉했을 뿐, 그녀의 영혼을 사랑하지 않았다. 로뎅이 떠난 이후, 그녀는 드뷔시와 새로운 사랑을 한다. "왈츠"라는 작품에서 보이듯이, 그녀는 행복의 순간을 만끽한다. 그러나, 그녀는 남성들의 사랑을 받아야만 행복해질 수 있는 여성이었다. 홀로서기를 할 수 없는 카미유 클로델은 드뷔쉬가 동거녀에게 가버리자, 다시 추락하였다. 정신질환으로 고생하다가 쓸쓸히 세상을 떠난다. 홀로설 수 없는 그녀는 누군가에게 의지해야만 행복한 삶을 살아갈 수 있었다. 행복은 남이 주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만들어가는 것이라는 사실을 그녀는 깨닫지 못했다.

젠틸레스키와 프리다 칼로가 그림에게 힘을 얻어 홀로서기를 했다면, 카미유 클로델은 남성의 사랑에 의지해서 자신의 소망을 작품으로 표현했다. 젠틸레스키와 프리다 칼로는 그림을 통해서 힘을 얻었지만, 카미유 클로델은 예술 작품은 자신의 감정을 표출하는 도구일뿐, 작품을 통해서 힘을 얻지 못했다. 같은 예술작품도 홀로서기가 가능한 자에게만 무한한 힘을 주는가 보다.

 

2. 고통을 예술로 승화시킨 화가

고통이 예술을 탄생시키는 것일까? 수 많은 작품들 중에서 화가의 애절한 삶이 작품을 더욱 숭고하게 만드는 경우가 있다. 빈센트 반 고흐, 에드바르트 뭉크, 폴 세잔, 에드가 드가가 바로 그러한 경우이다. 그들의 삶의 무게가 어떻게 그들을 짖눌렀을까? 그리고 명작은 어떻게 잉태된 것일까?

치유 미술관을 읽으며, 가장 기대를 했었던 작가는 빈센트 반 고흐이다. 그는 너무도 유명하기에 그의 삶을 대부분 기억하고 있다. 창녀를 사랑하고 조현병과 알콜중독에 시달리다 권총 자살을 한 고흐. 그의 삶을 짖눌렀던 마음속 고통은 무엇이었을까? 저자 김소울은 "태어나기 전에 죽은 형의 이름을 물려받음"이라고 진단하고 있다. 죽은 형의 삶을 대신 살아가는 고흐의 가슴 속에는 울고 있는 내면 아이가 있었다. 관심과 사랑이 필요했기에 그는 사랑에 매달렸다. 그럴수록 그는 저 많은 고독에 내몰릴 수밖에 없었다. "감자 먹는 사람들""구두 한 켤레"라는 작품에서 보이는 사회에서 소외된 사람들에 대한 연민은 사실 상처받은 내면 아이에 대한 자기애일지도 모른다. 고흐의 대표적 명작 "별이 빛나는 밤에"는 죽음을 상징하는 사이프레스 나무가 저 하늘의 별과 만날 수 있을 것 처럼 크고 높게 그려져 있다. 그는 죽음을 통해서 영원한 이상과 만나길 바랬던 것은 아닐까? 재미있는 사실은 빈센트 반 고흐의 동생 태호는 자신의 아들 이름을 형의 이름인 빈센트 반 고흐라고 지었다는 것이다. 태호의 아들은 미술관을 만들어 삼촌의 작품을 모두에게 선물해주었다. 태호의 아들 빈센트 반 고흐의 내면 아이는 울지 않고 인류에게 무한한 감동을 선물해주었다.

잘 알려진 빈센트 반 고흐에 비해서, 에드가 드가의 삶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그의 작품 "자두""카페-콩세르에서:개의 노래" 속의 여성은 우스광스럽게 그려져 있다. 드가가 여성 혐오증을 가질 수밖에 없었던 이유는 그의 어머니 때문이다. 드가의 어머니가 삼촌과 육체적 관계를 하고 있을 때, 13세의 드가가 그 광경을 목격한다. 모든 여성은 드가의 어머니의 복사판으로 보였다. 드가에게 여성은 부정한 여성일 뿐이었다. 일평생을 독신으로 살 수밖에 없었던 것도 그의 어머니가 만들어 놓은 그림자 때문이다. 말년에 들어서서 어머니의 죽음을 맞이한다. 그후, "회복기 환자"라는 작품에서 알 수 있듯이, 어머니의 그림자는 점점 사라진다. 여성의 얼굴을 제대로 그릴 수 있게 된 것이다. 그러나, 그 상처가 완벽히 치유된 것은 아니다. 평생을 혼자 살았던 것에서 그의 상처가 얼마나 컸는지 짐작할 수 있다.

에드가 드가가 어머니에게 상처를 받았다면, 폴 세잔은 아버지에게 상처를 받았다. 부유한 은행가의 사생아로 태어나서 아버지에게 무시를 당하며 살았다. 그 상처는 세잔의 가슴을 후벼팠다. 결국, 그는 아내와 친구 모두에게 가슴을 닫아 버렸다. 아내와 정식 결혼을 하지 못한 것도, 친구들의 말을 왜곡해서 이해하는 것도 아버지가 남긴 상처였다. 그의 대표작 "생 빅투아르산"이 탄생한 것도 타인과 교류없이 산만을 마주한 결과였다. 아버지가 남긴 상처는 "생 빅투아르산"이라는 대작을 탄생시켰다. 그러나, 에드가 드가의 삶은 철저히 파괴되었다.

에드가 드가와 폴 세잔이 어머니와 아버지가 남긴 상처로 고통받았다면, 에드바르트 뭉크는 가족의 죽음이라는 상처로 고통받았다. 5살에 어머니가 사망했고, 13살에 누나 소피가 사망했다. 32살에 남동생 안드레아가 사망했다. 그의 대표작 "절규"는 죽음의 공포 속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고통받는 내면을 드러낸 듯하다. "죽은 어머니", "병실에서의 죽음"이라는 작품은 가족의 죽음이 얼마나 뭉크에게 큰 고통이었는지 짐작하게 한다. 그림이 가족을 상실한 그에게 치유의 힘을 주었다. "태양"이라는 작품은 죽음의 공포를 밝은 태양이 몰아내는 듯한 인상을 준다. 80세까지 살면서 죽음의 공포를 극복하고 편안히 눈을 감을 수 있었다.

상처받은 조개가 진주를 잉태하듯이, 상처받은 작가는 위대한 작품을 탄생시켰다. 그들에게 상처는 명작을 탄생시키는 원동력이었다. 그렇다면, 상처가 없었다면, 그들은 위대한 작품을 남기지 못했을까? 상처받은 그들이 작품을 통해서 인류에게 무한한 감동을 선사한다면, 그들이 고통에 괴로운 것인 인류에게는 행운일까?

 

 

"치유미술관"은 예술 작품의 기교에 눈길을 돌리기 보다는 명작에 녹아있는 화가의 고통에 주목한다. 이를 통해서 명화에 공감하며 명화와 대화를 할 수 있게 한다. 소설가 스탕달이 산타크로체성당에서 "베아트리체 첸치"를 보고 무릎에 힘이 빠지면서 황홀경에 빠졌다. 이를 '스탕달 신드롬'이라고 한다. 이 책을 읽는 내내 책속에 소개된 작품을 보면서 '스탕달 신드롬'에 빠져있었다. 명화를 통해서 감동의 물결을 느낄 수 있는 것은 치유 미술관이 선사한 아주 커다란 선물이다. 그림을 사랑하는 모든 사람들에게 이 책을 추천하고 싶다.

 

ps. 물론, 이책에도 아쉬움은 있다. 나폴레옹에 대항하는 스페인 독립전쟁을 그린, 프란시스코 고야의 대표작 '180853'을 소개하지 않은 것과 베르트 모리조가 조현병과 알콜 중독을 겪은 이유에 대한 설명이 없는 것은 아쉬움으로 남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