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정신과 의사에게 배우는 자존감 대화법
문지현 지음 / 사람과나무사이 / 2017년 8월
평점 :
책장에는 '책요정'이 산다고 한다. 고민이 있고, 걱정꺼리가 있는 사람이 책장 사이를 지나가면, '책요정'이 나타나, 그 사람에게 필요한 책을 보여준다고 한다. 아내와 심하게 다투고 찾아온 두통에 고통스러워하다가 문득 책장 사이를 지나갔다. 나의 두눈에 '자존감 대화법'이라는 책이 나의 눈에 들어왔다. 이 책은 나에게 필요한 해결책을 가지고 있으리라는 믿음이 생겼다. 책장을 넘기며, 현직 정신과 의사가 전해주는 대화법의 비밀을 살펴보았다.
1. 불만에서 시작하다.
저자 문지현의 글을 읽으면서, 강한 반감이 일었다. 그녀가 하는 말은 소위 '공자님 말씀'이었다. '욕하지 말라', '독한 말을 입밖으로 내뱉지 말라'라는 말은 부처님을 비롯한 성인들께서 일찍이 하셨던 말들이다. '그럼, 어떻게 하란 말인가?'라는 의문과 반감이 계속 나의 머릿속을 맴돌았다. 자신의 감정이 폭발할 것 같은데, 억울해서 울분이 터져나오는데, 혼자서 욕하지도 말라니, 말이되는가? 하다못해 담벼락에라도 욕을 해야하지 않는가? 연신 저자의 처방전에 불만이 쌓여갔다.
독설을 하지 말라는 말에 이어서, 저자가 제시한 '좋은 부부관계 유지 비결'은 더더욱 답답했다. 좋은 부부 관계를 유지 하기 위해서는 '자신의 실수를 인정하라'라는 조언을 해주었다. 그런데, 자신의 실술르 인정하지 않는 아내를 어떻게 인정하게 할 것인지, 그 방법은 알려주지 않았다. 나에게 해답을 제시해 주리라 생각하고 읽었던 책에서는 즉효약을 처방해주지 않았다. 초조함과 답답함이 밀려왔다. 혹시, 책의 후반부에는 그 비결을 알려줄지도 모른다는 기대 속에 계속 책을 읽어 내려갔다.
2. 자존감 대화의 첫걸음 - 긍정적 대화!!
자존감 대화를 위해서, 독설을 금지하라 했던 저자는 '긍정적 표현'을 사용할 것을 당부한다. '차량파손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라는 문구보다는 '고객의 소중한 차를 지켜드리고 싶습니다. 안내에 따라 주세요'라는 긍정적 표현이 보다 효과적이란다. TV 뉴스에서 "쓰래기 무단 투기 금지"라는 경고 문구 보다는, "꽃보다 아름다운 당신은 쓰래기를 버리지 않습니다."라는 문구와 화분을 가져다 놓았더니, 쓰래기 투기가 사라졌다는 일화가 떠올랐다. 나그네의 외투를 벗기는데는, 추운 바람보다는 따뜻한 햇살이 효과적이라는 일화가 현실에서도 드러맞고 있다.
저자는 화가 나지만 상대에게 공손하고 부드럽게 이야기하라고 조언한다. 나에게 무례하게 대하는 사람에게 조차 부드럽고 공손하게 대해야하는 이유가 무엇일까? 그에게 당신을 잘 대하도록 기준을 제시하기 위해서 공손하게 대해야한다고 문지현은 말한다. 성경에도 '뿌린데로 거두리라', '대접받고 싶은 대로 대접하라'라는 물이 있지 않은가? 화가 난다고 강한 독설을 퍼붓기 보다는 침착하게 공손하면서도 부드럽게 상대를 대해야한다. 고수는 목소리를 높이는자가 아니라, 공손히 자신의 생각을 차분하게 말하는 자였다.
3. 자존감이 낮은 자일수록 강해보이려한다.
학교에서 가정형편이 좋지 않은 학생들이 명품을 입고 다니는 경우가 많다. '과연 저 아이는 가정이 진실로 어려운 것일까?'라는 의문이 드는 경우가 많다. 이에 궁금증을 해결할 수 있는 설명이 이책에 있다. 명품족일 명품을 구매할 여력이 있는 사람들보다 경제적인 수준에서 약간 아래 단계에 속한느 사람들이 많다고 한다. 그들의 밑바닥에 깔리 열등감이 그들을 '명품'으로 자신을 감추려하는 것이다. 명품을 입고다니는 자들은 사실은 자신의 열등감을 감추고 싶어하는 불쌍한 자들이었다. 문제는 자존감이었다. 자존감이 높은 사람이라면, 당당히 값싼 옷을 입고 다니며 오늘보다 나은 내일을 꿈꾸려 저축하며 살 것이다. 나는 명품을 걸치지 않아도 명품 그이상이기 때문이기다.
TV에서 부모를 때리고 도망치는 패륜 아들의 뉴스가 나왔다. 그 부모는 피묻은 옷을 입고 나가는 아들에게 '아들아, 옷 갈아입고 가라'라고 말했다한다. 죽어가면서도 아들에 대한 사랑을 표현하는 부모의 사랑에 가슴이 미어졌다. 부모를 때리는 패륜아들의 대부분은 '성격장애'일 것으로 보인다. 이 책에 '성격장애자'에 대한 설명이 있다.
'가족을 무시하고 마구 대하는 사람들은 자기 자신을 대하는 것과 비슷하게 다른 가족들을 대할 가능성이 큽니다. 그러므로 가족들에게 하는 막말은 자기 자신에게 하는 막말과 같습니다.'
겉으로 강해보이는 사람들이 사실은 너무도 허약한 사람들이 경우가 많다. 타인에게 강하게 막말을 하는 사람들일 수록, 가족에게 막말을 하는 사람일 수록, 그들은 자존감이 낮은 불쌍한 사람들이었다. 그렇다면, 자존감이 낮아, 이를 숨기려 막말을 해대는 사람들은 어떻게 대해야할까?
4. 사막을 건너는 방법
나에게 함부로 대하는 사람을 상대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그와 만나지 않는 것이다. 그런데, 나에게 함부로하는 '폭군'과 얼굴을 맞대고 살아야할 때, 나는 어떻게 나를 보호해야할까? 이 책에는 놀랍게도 그 대처법을 알려주고 있다.
"방금 뭐라고 하신거죠"
"진심으로 하는 이야기가 맞으세요?"
"제가 잘못들은건 아니겠죠? 다시한번 말씀해 주시겠어요?"
상대와 대면을 회피하기 보다는 당당히 그와 맞서도록 주문한다. 그렇다. 내가 그를 두려워한다면, 그는 나에게 '폭군'으로 군림할 것이다. 내가 그를 두려워하지 않는다면, 그는 나에게 폭군으로 군림할 수 없다. 그럼, 그와 피틔기면서 싸워야할까? 문지연은 니체의 말을 인용한다.
"괴물과 싸우는 사람은 그 싸움 속에서 자기자신이 괴물이 되지 않도록 조심해야한다."-니체
니체의 통찰은 정신과 의사의 관점에서도 타당했다. 내가 '폭군'과 싸우면서 '폭군'이 된다면, 얼마나 불행한 일인가? '폭군'과 싸우면서도 내가 '폭군'이 되지 않도록 노력해야한다. 니체의 탁월한 해안은 심리학에서도 빛을 발산한다.
5. 신이 아이들을 보낸 이유
저자는 아이들에게 좋은 말로 강화를 해줄 것을 당부하면서, 영국 작가 메리 보탐 호위트의 시를 소개한다.
"신이 우리에게 아이들을 보낸 까닭은
시합에서 일등을 만들라고 보내는 것이 아니다.
우리의 마음을 더 열게 하고
우리를 덜 이기적이게 하고
더 많은 친절과 사랑으로
우리 존재를 채우기 위해서이다.
(중략)
신이 우리에게 아이들을 보낸 까닭은
신이 아직 포기하지 않았다는 뜻이다."
이 시는 나의 마음을 울렸다. "신이 우리에게 아이들을 보낸 까닭은 시합에서 일등을 만들라고 보내는 것이 아니다."라는 시귀는 너무도 아름답다. 그리고 한국의 많은 부모에게 해주고 싶은 말이기도 하다. 많은 부모들이 자신의 자녀들의 성적에 따라서 일희 일비한다. 마치 자녀가 자신을 기쁘게 해주기 위해서 성적을 높이 받으려 태어나기라도 하는 듯이, 자녀를 자신의 아바타로 여기고 있다. 아이들은 "더 많은 친절과 사랑으로 우리 존재를 채우기 위해서"이 땅에 왔다. 그런데, 사랑이라는 족쇄로 자녀들을 자신의 아바타로 만들고 있다.
그 다음 시귀는 더더욱 충격적이다. "신이 우리에게 아이들을 보낸 까닭은 신이 아직 포기하지 않았다는 뜻이다." 그렇다면, 저출산이 심각한 문제가 되는 지금의 대한민국은 '신이 아직 포기하지 않았다'는 희망을 가지면 안된다는 말인가? 아이가 태어나지 않는 사회는 암울하다. 신이 아이를 보내지 않는다는 말은, 신이 우리를 우리를 포기했다는 뜻이다. 민심은 천심이기에 우리 자신이 우리를 포기하고 있다는 말이기도하다.
이 책은 말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따뜻한 말, 진실된 말로 대화하라고 외친다. 우리 부부의 부부싸움의 해결책도 '진실된 말'과 '따뜻한 말'에서 그 해결책을 찾아야할 것이다. 넘어지지 않는 것보다, 넘어졌을 때, 스스로 일어서는 것이 중요하듯이, 부부싸움을 않하는 것보다, 부부싸움을 하고 나서 어떻게 화해할 것이지가 더 중요하다. 이 책은 그 힌트를 제시한다. 솔직히 직면하고, 먼저 말하기 보다는 먼저 들어주고, 진실된 마음과 따뜻한 말로 함께하라고... 이제 실천이 많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