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품 해설에 다락방의 미친 여자 언급. 왜 이리 반가운지!

하지만 두 사람이 "다른 것은 모두 이것을 위해서"라고 말할만한 것이 없었다. 아이들은 생활의 중심이자 존재의 이유가 될수 없었다. 아이들이 부모에게 헤아릴 수 없는 기쁨과 재미와 만족을 안겨줄 수는 있지만, 삶의 원천이 될 수는 없는 법이다. 그래서도 안 되고, 수전과 매슈는 이 점을 잘 알고 있었다.
그렇다면 매슈의 일이 ‘이것‘일까? 말도 안 되는 소리였다. 흥미로운 일이긴 해도, 존재의 이유라고 할 수는 없었다. 매슈는 자신의 일솜씨에 자부심을 느꼈지만, 신문 그 자체를 자랑스러워하지 않았다. 그가 자신의 것으로 여기며 애독하는 신문은 그가일하는 곳의 신문이 아니라 다른 신문이었다. - P280

두 사람은 이렇게 자기들의 결혼생활을 시험하고 돌봤다. 심한 폭풍이 치는 바다에서 무기력한 사람들을 가득 태운 작은 배를 돌보듯이. 물론, 그러니까∙∙∙∙∙∙ 세상의 폭풍이 심하기는 했지 - P282

만 위태로울 정도는 아니었다. 두 사람이 이기적으로 굴었다는 뜻은 아니다. 수전과 매슈는 모두 아는 것이 많고 책임감 있는 사람들이었다. 자기 내면에 존재하는 폭풍과 모래 구덩이에 대해서도 잘 알고 있었다. 그러니 아무 문제도 없었다. 모든 것이질서 있게 잘 굴러갔다. 그래, 모든 것이 그들의 손안에 있었다. - P283

정원이 있는 커다란 하얀 집에서 건강한 네 아이를 기르며 행복한 결혼생활을 하려면 많은 대가를 치러야 한다. - P287

"매슈가 말했다. "애들도 이제 학교에 다니니까 당신 손을 떠났잖아."
수전은 속으로 말했다. ‘억지로라도 꼭 말해야 돼. 그 말은 맞지만, 내가 자유를 전혀 느끼지 못한다는 걸 아느냐고. 앞으로 30분뒤, 한 시간 뒤, 두 시간 뒤에 꼭 이러이러한 일을 해야 한다고 매순간 계속 생각하고 있다고.‘
하지만 수전은 이렇게 말했다. "몸이 좋지 않아."
매슈가 말했다. "당신도 휴가가 좀 필요한 것 같네."
수전은 경악했다. "나더러 혼자 가라는 건 아니지?" 수전은 남편 없이 혼자서 어딘가로 떠나는 것을 상상도 할 수 없었다. 하지만 그의 말은 이런 뜻이었다. 수전의 표정을 보고 매슈가 웃음을 터뜨리며 팔을 벌렸다. 수전은 그 품으로 들어가면서 생각했다. ‘그래, 그래, 내가 왜 그 말을 못하는 거지? 그런데 내가 해야하는 말이 도대체 뭐야?‘
수전은 자유롭지 못하다는 말을 남편에게 하려고 시도해보았다. 매슈는 그녀의 말을 들은 뒤 이렇게 말했다. "수전, 도대체 어떤 자유를 원하는 거야? 그런 건 죽기 전에는 불가능해! 나라고 자유로운 줄 알아? 나는 매일 10시까지 반드시 출근해야 돼. 그래, 뭐, 가끔 10시 반에 갈 때도 있지만 어쨌든 나도 이런저런 일들을 반드시 해야 한다고. 그러고 나서 일정한 시간에 집으로 돌아와야 하지. 내 말을 오해하면 안 돼. 알지? 6시까지 집에 돌아 - P298

오지 못할 것 같으면 당신에게 미리 전화하지. 그러니 나 역시 앞으로 여섯 시간 동안 책임져야 할 일이 하나도 없다고 말할 수있는 순간이 있겠어?"
이 말을 듣고 수전은 양심의 가책을 느꼈다. 맞는 말이기 때문이었다. 행복한 결혼생활, 이 집, 아이들을 지탱하는 데에는 이곳에 자발적으로 속박된 매슈가 그녀 자신만큼이나 큰 역할을 하고 있었다. 그런데 그는 왜 갑갑함을 느끼지 않는 걸까? 매슈는왜 초조하게 안달하지 않는 걸까? 이것이야말로 그녀에게 심각한 문제가 있다는 증거였다.
게다가 ‘속박‘이라는 단어…… 수전은 왜 이 단어를 썼을까?
그녀는 결혼생활이나 아이들을 단 한 번도 속박으로 생각한 적이 없었다. 그것은 매슈도 마찬가지였다. 그렇지 않았다면, 12년동안 결혼생활을 한 두 사람이 지금 서로의 품에 안겨 만족스럽게 누워 있지 않았을 것이다.
- 19호실로 가다 - P299

영국에서는 19세기 빅토리아 시대에 중산층이 형성되면서 여성들의 행동범위가 가정에 국한되었다. 이른바 ‘가정 속의 천사‘로 남도록 강요된 것이다. 여성들이 지적인 바깥일을 하거나 - P337

자신의 욕구를 표출할 때에는, 산드라 길버트와 수잔 구바의<다락방의 미친 여자: 19세기 여성 작가의 문학적 상상력》의 ‘다락방의 미친 여자‘라는 표현이 보여주듯이, 이들은 미친 여자로 간주되어 다락방에 갇힐 수도 있었다. 그러나 20세기인 1960년대는 두 번의 세계대전을 겪고 기존 사회규범에 대해 재고하게된 시대로, 특히 인종차별이나 성차별과 관련된 사회적 터부taboo를 타파하는 계기를 제공하였다. 즉, 긍정적으로 보면 혁신 혹은혁명이 범람하는 활기찬 시대였지만, 부정적으로 보면 무책임한과잉, 현란함, 사회질서 붕괴의 시대였다. 이 책의 서문에서 레싱이 냉소적으로 표현했듯, 이 시대는 "성적인 관습의 코미디 같은시기였고 "예의 바른 행동이 무엇인지" "규칙 같은 것도 없던"시대였다. - P338

레싱의 단편소설들은 얼핏 보면 출구가 없는 듯 암울해 보이지만, 실상 레싱은 불안증, 정신분열을 포함한 신경쇠약, 즉 ‘브레이크다운 breakdown‘을 부정적으로만 보지 않는다. 자신의 무의식 속 깊은 곳에 있는 적과 대면한 후에야 자신의 치유에 이를수 있고 이 과정을 겪은 사람은 여기에서 더 나아가 남들까지도치유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즉, 레싱의 소설은 현실의 문제들을 폭로하는 데 그치지 않고, 치유의 씨앗을 품고 있다.
- 작품 해설 민경숙 - P343


댓글(4)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건수하 2023-01-11 00:54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저도 그거 보고 반가웠어요 ㅎㅎ

햇살과함께 2023-01-12 11:40   좋아요 0 | URL
그죠~~ 이 책을 알게되니 자주 눈에 띄는 걸까요? ㅎㅎ 너무 좋네요

다락방 2023-01-11 09:16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페미니즘 이론과 비평> 에서도 다락방의 미친 여자 언급되더라고요. 각주로 나오는데 너무 반갑고 좋았어요. 난 읽었지롱~ 하면서요. 껄껄.

햇살과함께 2023-01-12 11:41   좋아요 0 | URL
저도 지난주 서문만 읽었는데 나와서 너무 반가웠어요~ 심지어 이번주 시사인에서도 발견!!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