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용헌 goat1356@hanmail.net
"10년을 경영하여 초가삼간 지어 내니 나 한 칸, 달 한 칸에 청풍 한 칸 맡겨두고, 강산은 들일 데 없으니 둘러 두고 보리라." 송순(1493~1582)은 초가삼간(草家三間)을 지어놓고 이렇게 읊었다. 나는 10년을 적금 부어 황토로 지은 토가삼간(土家三間)을 마련하였다. 축령산 자락의 휴휴산방(休休山房)이 그것이다.

아궁이에다가 소나무 장작, 편백나무 장작을 집어넣고 2시간 동안 달구어 놓으면 구들장이 쩔쩔 끓는다. 방문을 열어놓고 이 구들장에 앉아서 멀리 저녁노을에 잠겨 있는 산봉우리들을 바라보노라면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기쁨'을 느낀다. 옛날 고사(高士)들은 이러한 기쁨을 가리켜 '불환삼공지락(不換三公之樂)'이라고 하였다. 자연 속에서 사는 즐거움을 삼공(영의정, 좌의정, 우의정)의 벼슬과도 바꿀 수 없는 즐거움이라고 보았던 것이다.

배가 고프면 산방 뒤의 축령산 자락을 넘어간다. 산을 넘어가면 밥을 줄 사람이 있다. 한 시간 반 정도 걸리는 길인데, 이 길은 50년 동안 조성한 편백나무 숲길이다. 날씨가 흐린 날 아침에 이 길을 걸으면 편백의 향기가 길에 낮게 깔려 있어서 산보자의 온몸을 감싼다. 마침내 세심원(洗心院)에 도착한다. 축령산의 살롱이다. 지인들이 가면 마음씨 후한 집주인은 손수 기른 상추와, 손수 담은 된장에다가, 김이 모락모락 나는 밥 한 그릇을 내놓는다. 50대 중반의 집주인은 군청 공무원 하다가 그만두고 세심원에 들어와 아는 사람들 밥해 주는 것을 낙으로 삼는 인생이다. 물론 돈이 되는 일은 아니다.

보름달이 뜨는 날에는 자동차로 20분 정도 거리에 있는 너브실의 애일당(愛日堂)으로 간다. 대밭으로 둘러싸인 3500평의 고택인 애일당에는 15년째 백수로 살면서 내방객들과의 한담(閑談)을 업으로 삼는 집주인이 살고 있다. 마당에다 장작불을 피워놓고 인근의 방외지사(方外之士)들이 모여 밤과 고구마를 구워 먹는 재미가 쏠쏠하다. 고정수입은 없지만 결코 굶어 죽지는 않는 클럽이 바로 '방사클럽'이다. 비가 오는 날에는 죽설헌(竹雪軒)에 모여, 연잎으로 싼 찰밥을 먹으며 방사(方士)들끼리 우의를 다진다. 월급 안 나온다고 굶어 죽는 것은 아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 조용헌
옛날 서양도사는 성경에 나오는 동방박사였다. 동방박사는 별을 보고 예수의 탄생을 예언했다. 동서양을 막론하고 옛날 도사는 별을 보고 앞일을 예측했다면, 요즘의 서양도사는 돈의 흐름을 보고 세상변화를 예측한다. 옛날 도사는 밤하늘의 별빛을 관찰했지만, 요즘 도사는 모니터 앞에 앉아서 돈의 흐름을 관찰한다. 별에서 돈으로 관찰대상이 바뀐 것이다. 돈의 흐름을 미리 예측해서 세상 인심을 진정시키는가 하면, 인심을 돌릴 수도 있는 사람이 현대의 도사이다.

내가 보기에 미국워런 버핏은 바로 그러한 서양도사의 전형에 해당하는 인물이다. 우선 얼굴 생김새부터 깊고 그윽한 느낌을 준다. 결코 경박한 얼굴이 아니다. 그러면서도 눈빛은 상대방의 심장을 꿰뚫어보는 것 같은 형형함을 지니고 있다. 미국의 월가에 공황태풍이 몰아치고 있는 이때에 버핏은 "지금이 미국주식 사야 할 때"라고 외치고 있다. 공자님도 사판(事判:현실세계의 판단)에서 가장 어려운 일을 시중(時中:가장 적절한 타이밍)을 아는 것이라고 했는데, 버핏은 지금이 바로 그러한 '시중'(時中)이라고 여기는 것 같다.

왜 지금이 '시중'인가? 왜 지금이 주식을 사야 할 때인가? 그는 "다른 사람이 탐욕을 낼 때는 두려워해야 하고, 두려워할 때는 욕심을 내야 한다"는 주장을 폈다. 이러한 주장은 음중양(陰中陽), 양중음(陽中陰)의 이치를 그대로 설명한 것이다. 불행 가운데 기회가 있고, 행복 가운데 위험이 있다는 이치는 주역(周易)의 핵심이다. 왜냐하면 하루 24시간이 밤만 계속되는 일은 없고, 낮만 계속되는 일이 절대로 없기 때문이다.

버핏이 지금 내린 판단을 주역의 64괘로 환산하면 24번째 '지뢰복'(地雷復) 괘이다. 위에는 모두 음효(陰爻)가 있는데, 맨 밑바닥에 양효(陽爻)가 하나 있는 모양이다. 밤이 가장 긴 동지(冬至)를 지뢰복 괘로 설명한다. 동지 다음 날부터는 조금씩 낮이 길어지기 시작한다. 지뢰복은 '바닥을 쳤다'는 뜻이다. 그렇다면 지금이 바닥이란 말인가? 과연 버핏이 뽑은 지뢰복 괘는 적중할 것인가? 이는 시간이 지나 보아야 안다. 이번에 지뢰복 괘가 맞는다면 버핏은 금세기의 예언자 반열에 올라갈 것이다.

입력 : 2008.10.21 22:08 / 수정 : 2008.10.23 09:1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산으로 가는 길에는 두 가지 길이 있다. 하나는 등산(登山)이요, 하나는 입산(入山)이다. 등산이 땀 흘리고 운동하는 산길이라면, 입산은 삶의 궁지에 몰렸을 때 해답을 모색하고 구원을 갈구하는 산길이다. '통즉등산(通則登山)'이요, '궁즉입산(窮則入山)'인 것이다. 잘나갈 때는 등산을 하지만, 막다른 골목에 몰렸을 때는 입산을 한다는 말이다. 이집트 왕자인 모세가 온통 바위로만 이루어진 골산(骨山)인 시나이 산으로 간 것은 입산이요, 주말마다 산악회에서 버스 대절하여 산에 가는 것은 등산이다.

오늘날 한국의 중년남자들이 처절하게 생존에 시달리면서도 그나마 목숨을 유지하는 것은 한국에 산이 많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해발 1000m 내외의 산들이 등산하기에는 최적이다. 나무와 약초가 있고, 계곡물이 흐르는 산들이다. 3000m를 넘어가는 산은 춥기만 하고 사람을 압도한다. 3000m 넘어가면서부터는 '죽은 산'이다. 미국의 로키산맥은 너무 웅장하여 사람을 압도한다. 사람이 놀 수 있는 산이 아니다.

한국은 적당히 놀기에 좋은 '살아 있는 산'이 국토의 70%나 된다. 한국은 세계에서 보기 드문 등산 천국의 지리를 갖추었다. 이는 천혜의 축복이다. 한국이 아무리 지지고 볶더라도 망하지(?) 않는 이유는 산에서 에너지를 얻기 때문이 아니겠는가!

보통 바위산을 5~6시간 정도 타고 나면 대략 1주일분의 에너지를 섭취한다. 내가 다녀본 고단백 에너지 코스는 설악산 백담사에서 봉정암까지 올라가는 길이다. 평균 6시간 걸린다. 이 코스의 특징은 계속해서 바위 계곡을 타고 간다는 점이다. 설악산의 단단한 화강암에서 나오는 화기와 계곡물에서 뿜어져 나오는 수기가 이상적으로 버무려져 있는 산길이다. 6시간 정도 올라가다 보면 몸 안의 탁기는 다 나가고, 싱싱한 생기가 충전된다. 그 충전이 한 달은 가는 것 같다.

일제강점기의 암울한 시기에 금강산을 찾았던 소태산(少太山·1891~1943)은 '금강현세계(金剛現世界) 조선갱조선(朝鮮更朝鮮)'이라고 예언하였다. 지금은 비록 일제에 나라를 빼앗겼지만, 금강이 세계에 드러나니 머지않아 조선이 거듭나게 된다는 희망적인 예언을 하였던 것이다. 복잡한 상황일수록 산에 자주 가서 있어야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뜨거움 때문이다. 전염성 때문이다. 뜨거운 것은 그 뜨거움을 다른 것에 전달한다. 사랑도, 연애도, 혁명도 뜨겁다. 뜨거울 때 사람은 하나가 된다. 뜨거움과 뜨거움이 만나면 더 큰 뜨거움을 만들고 사람을 모이게 하고 세상을 변화시키는 힘을 만든다.

노신은 이야기했다. 자신이 가야 할 길을 묻는 젊은이들에게. “처음부터 길이란 것은 없었다. 누군가 처음으로 그 길을 갔고 많은 사람들이 그 길을 가게 되자, 그것을 길이라 불렀다”고. 그 처음으로 그 길을 간 사람이 뜨거운 열정이 있는 사람이다. 『나쁜 사마리아인들』의 저자 장하준도 이야기하고 있다. “블로그든 선거든, 각자가 의사를 표시하고 모여야 사회를 개선시킬 수 있다!” 사람이 모이도록 먼저 실천하는 사람, 그 사람이 뜨거운 열정을 가진 사람이다. 버락 오바마도 뜨거운 열정으로 사람을 모으고 백인 중심의 미국 정치사회를 변화시키고 있다.
 
뜨거운 열정이 없다는 것은 개성이 없다는 것과 같다. 뜨거운 열정만이 확연하게 다른 사람들과 나의 차이를 보여줄 수 있는 길이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뜨거운 열정은 어디에서 오는 것일까?
자신의 삶에서 온다. 자신의 내면의 정체성에서 나온다. 그런 열정이야말로 진짜 열정이고, 세상을 조금이라도 변화시킬 수 있는 유일한 힘이 된다. 그러나 그 열정이 돈, 권력, 여자(남자)에게서 오면, 부패한 기업가가 되고, 신념이 없는 정치인이 되고, 플레이보이나 바람난 여자가 된다.

석가, 예수, 공자, 소크라테스, 테레사 등은 모두 뜨거운 열정의 소유자들이다. 그렇기 때문에 그들의 사상은 지금도 식지 않고 다른 사람들에게 전염되고 있다. 아름다운 전염이다. 뜨거운 열정이 없는 사람은 자신의 꿈과 세상을 변화시킬 수 없다. 열정이 없으면 다른 사람들을 전염시킬 수 없기 때문이다. 전염된 사람이 많아질수록 그의 꿈은 현실이 된다.
 
열정은 세상을 움직이고 변화시키는 불변의 법칙이다. 열정은 에너지이기 때문이다. 정신적 에너지가 크고 강한 사람이 그 시대를 지배한다. 왜냐하면 좋은 사상이란 물과 같아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흐르고 그 사상은 바다로 흘러가고, 바다는 모든 물을 품기 때문이다.
뜨거운 열정은 개인의 사상을 만든다. 결국 그 사상이 다른 사람에게 전파되는 것이고 더 큰 열정은 작은 열정을 다 품게 된다. 이것은 하늘의 이치이며 불변의 법칙이다.
 
그래서 나는 젊은이들의 열정은 “간장 종재기만 해서는 안 되고 대접만 해야 된다”고 생각한다. 스스로도 매순간 “‘간장 종재기’가 되지 말고 ‘대접’이 되자”라고 약속하고 반성한다. 그러나 세상에는 ‘간장 종재기’같은 사람이 너무 많다. 그런 사람이 매순간 ‘대접’이 되려고 노력한다면 그 사람 내면에 대접만 한 열정이 쌓일 것이다. 대접만 한 열정이 다른 대접만 한 열정을 가진 사람을 만들 때 더 큰 대접이 될 것이고, 그 큰 대접이 세상의 많은 사람의 마음을 담을 것이다.
우리 모두 큰 대접이 되기 위해 노력해보는 건 어떨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복종 0%
근면 5%
지성 15%
추진력 20%
창의성 25%
열정 35%


합계 100%
 
 
위에서 제시하고 있는 내용은『경영의 미래』(세종서적)에서 세계적인 경영전략가로 손꼽히는 게리 해멀이 기업의 성공에 공헌하는 인간의 능력을 분석한 내용이다. 게리 해멀이 제시한 부분과 나의 견해를 덧붙여 좀 더 자세히 분석해 보자.
기업의 성공에 공헌하는 인간의 능력 중 가장 아래 단계에 있는 것이 복종이다. 이 능력은 상부에서 하달하는 방향성을 따르고 규칙에 맞게 행동하는 것을 말한다. 이제 복종의 능력은 군대나 경찰, 혹은 아주 긴박한 일을 다루는 조직이나 단체에서 필요한 덕목인지 현재 기업에서는 필요치 않은 구시대의 능력이 되었다.
다음 단계는 근면함이다. 근면함은 성실하게 일한다는 것이다. 성실하게 일한다는 것을 요즈음 사람들은 너무 경시하거나 쉽게 말하지만 이 능력을 갖추는 것도 결코 쉽지 않다. 왜냐하면 근면한 직원은 확실한 책임감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손쉬운 방법이나 지름길을 찾지 않고 양심적이며 체계적으로 일을 한다. 당신은 당신의 일을 얼마나 체계적으로 그리고 확실한 책임감을 가지고 일하는가?
다음은 지식과 지성이다. 대부분의 회사는 선천적으로 타고난 지능을 가진 직원을 채용하기위해 부단히 노력한다. 좋은 명문 대학이나 보다 심도 있게 공부한 사람들을 선호하는 이유는 지식과 지성은 학습이라는 훈련의 힘으로 길러지기 때문이다. 이 훈련을 받은 사람은 쉽게 기술을 향상시키고 다른 이로부터 최고의 습관을 배우고 소화하는 능력이 뛰어나다.
 
이 앞 3단계는 비교적 쉬운 단계이다. 누구나 열심히 노력하면 오를 수 있다. 4단계는 지성 위에 있는 추진력이다. 추진력을 지닌 사람은 남에게 요청을 받거나 명령을 받을 필요가 없다. 그들은 늘 새로운 도전을 찾고 가치를 창출하기 위해 새로운 방법을 모색한다. 앞의 3단계의 능력을 똑같이 가진 열 사람에게 어려운 비즈니스 미션을 주고 그걸 해결하라고 하면 추진력이 강한 사람이 승리하게 되어 있다. 왜냐하면 추진력의 밑바탕에는 도전과 용기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도전과 용기 앞에서는 지식과 지성도 한낱 관념 덩어리에 지나지 않는다.
좀 더 높은 곳에 5단계 창의성이 있다. 창의적인 사람은 창조적인 사고를 많이 하는 사람들이다. 늘 호기심이 많고 억압할 수 없는 사람이다. 그러나 보통 사람들은 창조라는 것을 매우 어렵게 생각한다. 원래 새로운 창조란 없다. 모든 것은 ‘모방 +α’의 원리를 가지고 있다. 전혀 새로운 창조는 신의 영역이다. 하나님이 세상을 창조하고 “하나님 보시기에 좋았더라”라고 말씀하셨는데 바로 여기에 모든 창조의 비밀이 있다. 창조적인 사람들은 주저하지 않고 주로 “이렇게 하면 멋지지 않을까?”라는 말로 얘기를 시작한다. 그리고 “하나님 보시기에 좋았더라”라고 말하듯이 “고객이 보시기에 좋았더라?”로 끝맺기를 좋아한다. 기업에게 고객은 곧 하나님이기 때문이다. 기업이 생존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도, 미션을 추구할 수 있게 만드는 것도, 사장과 직원들의 월급을 주는 것도 고객이기 때문이다. 고객의 영혼과 하나가 되는 사람에게 창조성의 비밀은 열린다. 결코 어렵지 않다.
 
그리고 마지막 최정상에 열정이 있다. 왜 열정이 그토록 중요한 것이며, 세상을 변화시키는 것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