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시간 : 벌써 2012년 1월로 넘어섰다. 새 달력을 걸었고 나이 한 살 더 먹었다. 가끔 흘러가는 시간이 두렵다. 앞으로 시간이 바퀴가 달린 듯 빠르게 달려가서 어느 새 내가 폭삭 늙어 버릴 것 같아서.
2. 친구 : 그래도 다행이다. 나만 늙는다면 억울할 것을, 같이 늙어갈 친구들이 있어서 다행이다. 그들을 보며 위안 삼는다. 내 늙음의 서글픔을 친구들 말고 누가 알아줄 것인가. 부모님에겐 자식의 도리로써 늙음에 대해 함부로 말할 수 없고, 남편에겐 부질없는 어리광이 될 것 같아 말할 수 없고, 자식들에겐 내 마음을 공감하기 어려울 터이니 말할 수 없고. 결국 친구들에게만 말할 수 있을 것이고 그들은 내 마음을 알아줄 터였다. 그래서 그런 말이 있나 보다. 친구 없는 사람이 가장 외로운 사람이라고. 같은 시대를 같은 나이로 사는 사람들이 있다는 건 고마운 일이다.
3. 올해의 독서 계획 : 어느 서재인님의 서재에 들어갔더니 자신이 일 년 동안 읽은 책의 권수를 적어 놓은 글이 있었다. 그 서재인님은 남들이 일 년 동안 읽을 책을 한 달에 읽는 듯했다. 그만큼 많은 양의 책을 읽고 리뷰를 올린 분이다. 그 성실성에 저절로 존경심이 생겨 댓글을 남기고 왔다.
나도 한때는 다독을 자랑하던 시절이 있었다. 그러나 현재 나는 다독의 즐거움을 포기한 지 오래다. 다독을 하려면 최소한 두 가지 조건이 필요한 것 같다. 첫째, 부지런해야 한다는 것. 책을 많이 읽으려면 일찍 자고 일찍 일어나는 생활을 하며 시간 관리를 잘 해야 한다. 시간이란 관리를 소홀히 하면 그냥 손가락 사이로 스르르 빠져 나가는 모래알과 같기 때문이다. 둘째, 몸이 건강해야 한다는 것. 책을 많이 읽어도 병이 나질 않아야 하므로 몸의 건강은 필수다.
그런데 나는 그 두 가지 조건에서 실격이다. 우선 부지런하지 않다. 아니 부지런하기가 싫다. 일 년 전만 해도 아주 바쁘게 살았는데, 그 바쁜 일들을 정리하고 난 지금의 생활에 이미 익숙해져 버렸다. 이제 그 생활로 되돌아가서 살게 된다면 살지 못할 것 같다. 그렇다고 해서 지금의 생활이 마냥 한가롭기만 한 건 아니다. 지금도 바쁘긴 마찬가지라는 생각마저 든다. 책을 읽으려고 마음먹지 않으면 하루가 그냥 지나가 버릴 정도다. 그리고 몸에 탈이 잘 난다. 어느 날 하루에 책 한 권을 다 읽었더니 병이 났다. 내가 지금 공부하다가 병이 날 나이는 아니다. 고시생도 아니고.
그래서 결심했다. 이젠 한 달에 4권의 책을 읽고 4편의 글을 쓰기로 하고 무리하지 않기로. 건강을 잃으면 다 잃는 것이므로.
4. 기억해 두고 싶은 글 : 애덤 스미스 저, <도덕감정론>에서 좋은 글을 발견하여 그것을 인용해서 쓴 글을 서재에 올린 적이 있다. 바로 이 글을 인용했다.
“도둑놈이 어떤 부잣집의 물건을 훔치는 경우, 그는 부자는 이 물건이 없더라도 별 어려움을 느끼지 않을 것이며, 그리고 비록 도둑을 맞더라도 눈치 채지 못할 것이라고 생각하면서, 자신은 어떤 악(惡)도 행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고 생각한다. 간부(姦夫)가 자기 친구의 처(妻)를 유혹해서 간통을 하려는 경우, 그가 자신의 음모를 감추어 그 남편의 의혹만 사지 않을 수 있다면, 그리고 그 가정의 평화만 깨뜨리지 않는다면, 자신은 어떤 악(惡)도 행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일단 우리가 이처럼 교묘하게 꾸며낸 생각들에 굴복하기 시작하면, 우리가 행하지 못할 정도로 흉악한 범죄행위는 하나도 없게 된다.” - 애덤 스미스 저, <도덕감정론>, 327쪽.
참 탁월한 표현이란 생각이 든다. ‘교묘하게 꾸며낸 생각들’에 굴복하기 시작하면 못할 일이 하나도 없게 된다는 뜻이겠다. 이 글이 좋은 까닭은 이 글을 읽은 사람이라면 누구든 앞으로 자신을 성찰할 시간을 갖게 될 것 같아서다. 예를 들면 친구의 단점에 대해 충고를 할 경우, 충고하는 사람이 자신이 ‘교묘하게 꾸며낸 생각들’에 굴복한 것인지를 성찰하게 될 것 같다. 그래서 ‘내가 너에게 충고를 하는 건 다 너를 위해서야.’하면서 상대방의 단점을 상처 받을 정도로 마구 늘어놓고서, ‘아픈 만큼 성숙해질 테니 나는 친구를 위해 좋은 일을 한 것이고 어떤 악도 행하고 있는 게 아니다’라고 여기는 것을 경계하게 될 것이다.
애덤 스미스가 참 좋은 글을 썼다. 꼭 기억해 두고 싶은 글이다.
5. 나쁜 댓글 : 나도 악성 댓글을 받아 봤다. 이런 댓글은 방문자 수가 많은, 인기 있는 파워블로거만 받는 걸로 알았다. 악성 댓글이 달렸다는 건 곧 그 글쓴이가 사람들로부터 주목 받고 있음을 말하는 게 아니던가. 그런데 방문자 수가 많지 않은, 별로 인기도 없는 내 서재에서 악성 댓글이 출현한 것은 좀 어이없었다. 당황스러웠다. 그 분에 대한 예의상 그 댓글을 그대로 옮길 수는 없겠고, 내 글이 말이 안 된다는 내용의 댓글이었다고만 밝히겠다. 그런데 나는 그 댓글에서 그가 말하지 않은 메시지까지 읽을 수 있었다. 그가 말하지 않았지만 내게 전달된 메시지는 이런 내용이었다.
‘나는 당신의 글로 인해 스트레스를 받았다. 다음부턴 이런 글 따위는 쓰지 않았으면 좋겠다.’
상대가 비밀 댓글로 썼으므로 나도 비밀 댓글로 이런 답글을 달았다.
‘말이 안 된다고 생각하셨군요. 잘 알겠습니다. 제 글에 관심을 가져 주셔서 감사합니다.’
그런데 처음에 내가 쓰고 싶은 답글은 이런 게 아니었다. 사실은 요렇게 쓰고 싶은 충동을 잠시 느꼈다.
‘제 글이 못마땅하신 모양인데, 저 같으면 그런 글이 있는 서재에 다시는 들어가지 않을 것 같아요. 웬 관심이십니까?’
요렇게 썼다는 게 절대 아니다. 충동을 느꼈을 뿐이다.
그런데 나중에 생각해 보니 그 정도의 댓글은 악성 댓글이라 할 수 없을 것 같았다. 악성의 정도가 약하고 또 예의를 갖추고 쓴 글로 여겨졌기 때문이다. 내 기분을 상하게 할 목적이 아니고 진심으로 내가 잘못 쓴 부분을 지적해서 내가 앞으로 신중하게 글을 쓰길 바라는 목적으로 썼을 것이라고 느껴지기까지 했다. 만약 그렇다면 감사해야 할 일이다. 또 하나 감사할 일은 그 댓글을 공개하지 않고 비밀 댓글로 남긴 점이다. 나를 악의로 공격하고 싶었다면 비밀 댓글로 쓰지 않았을 것이다.
그동안 여러 서재를 다니면서 악의적인 악성 댓글을 몇 번이나 본 적이 있다. 예의가 없을 뿐만 아니라 글쓴이가 불쾌감과 모욕감을 느낄 만한 글이었다. 이럴 때 나는 궁금하다. 악성 댓글을 쓰는 사람이 그런 글을 쓰는 자신을 사랑할 수 있는지, 또 자신을 사랑하지 않는다면, 그러고도 어떻게 삶을 살 수 있는지.
6. 좋은 댓글 : 내 글에 가장 찬사를 보내 준 댓글이 있다.
‘역시 보통 분이 아니다 싶었는데, 이런 대단한 글을 써 주시네요. 어느 정도 내공이 되면 이런 글을 쓸 수 있을까요?’라고 쓴 아무개님의 비밀 댓글이다.
이에 대해 나는 이렇게 답글을 쓰고 싶었다. 물론 장난삼아서다.
‘역시 탁월한 분은 탁월한 글을 알아보시네요.’라고.
그런데 이렇게 쓰면 얼마나 재수 없고 밥맛 떨어지겠는가. 그래서 다음과 같이 답글을 썼다.
‘과찬이십니다. 고맙습니다.’라고.
7. 언젠가는 알게 된다 : 인간이 어떤 존재인지를 한마디로 말한다면 어리석은 존재라고 말하겠다. 자기 자신에 대해서조차 무지해서 착각을 잘 하는 존재가 인간이라고 본다.
하지만 사람은 언젠가는 자신에 대해 제대로 알게 된다고 믿는다. 그 당시엔 알지 못하지만 시간이 지나고 나면 언젠가는 자신이 무얼 잘못했는지 알게 된다. 또 그 당시엔 알지 못하지만 시간이 지나고 나면 언젠가는 자신이 어느 정도로 못났는지도 알게 된다. 내가 경험함으로써 안 것이다. 사람은 자신의 경험을 통해 인간에 대해 조금씩 알아가는 것 같다.
그래서 나는 누군가가 어떤 착각을 한다고 해도 안심해도 된다고 생각하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