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침부터 낑낑대며 썼던 칼럼의 초고가 마음에 들지 않아 커피 두 잔을 연거푸 마셨다.
한 일간지에 정기적으로 글을 쓰게 되었을 때 무조건 기뻤다. 신문에 연재하는 것이 나의 최종 목표였으니 그것이 달성된다는 생각에 마음이 설레기까지 했다. 그런데 4주에 한 번씩 기고하는 일이 이렇게 어려울 줄 몰랐다. 작년 일 년간 6주에 한 번씩 기고하는 것은 부담이 없어 좋았는데 올해부터 4주에 한 번씩 기고하는 걸로 바뀌어서 애를 먹고 있다. 4주가 너무 빨리 돌아온다고 느낀다. 그동안 1년 6개월 동안 기고를 했다. 앞으로 남은 기간은 6개월인데 잘 마칠 수 있을지 걱정이다.
도대체 나의 능력을 알 수가 없다. 어떤 때는 내 능력 이상의 글을 쓰는가 하면 어떤 때는 내 능력 이하의 글을 쓰니 말이다. 오늘 초고만 해도 읽어 보니 형편없는 글이었다. 글 제목은 <‘관리의 죽음’으로 얻은 두 교훈>이다. 독자의 읽는 재미를 위해 안톤 체호프의 단편소설 ‘관리의 죽음’의 줄거리를 넣어 쓴 칼럼이다. 이 칼럼을 처음 구상하고 있을 때는 이 소설을 새로운 시각으로 보고 내가 할 말이 많을 것 같았다. 그런데 막상 초고를 완성하고 보니 시각이 전혀 새롭지 않고 뻔한 내용이었다. 이걸 어떻게 신문사에 보낸다는 말인가. 이 글을 버리고 다른 글감을 찾아야 하는데 떠오르는 게 없다. 큰일 났다.
그동안 내가 쓸 수 있는 글을 다 써 버려서 글감을 찾을 수 없는 걸까? 무엇을 써야 할지 고민하는 게 일이다. 이번에 알베르 카뮈의 <페스트>와 존 윌리엄스의 <스토너>를 완독했던 것도 칼럼 때문이었다. 장편소설을 읽으면 뭔가 좋은 글감이 찾아질 것 같았다. 그런데 여전히 글감을 찾지 못했다. 그래서 <스토너>의 리뷰를 먼저 써서 이것을 칼럼 형식으로 바꾸는 작업을 해야겠다는 생각을 했다. 좋은 생각인지 모르겠다.
머리를 식힐 겸 고민을 털어놓는 글을 썼다. 그래서 조금이라도 속이 후련해지려나.(나 이렇게 솔직해도 되는 건가요? 흉보기 없기, 입니다.)
오늘도 최선을 다해 고독하게 글을 쓰는 모든 이들을 위해 외친다. 힘을 냅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