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0412/pimg_7179641833377510.jpg)
정보라 작가의 단편집 <저주토끼> 중 표제작인 ‘저주토끼’를 오디오 북으로 두 번 들었다. 섬뜩한 무서움이 느껴지지만 두 번 들을 만큼 흥미로운 작품이다. 49분이 소요된다.
정보라의 호러/SF/판타지 소설집 <저주토끼>가 2022 부커상 1차후보로 지명되었다. 우리 독자에겐 한강의 <채식주의자>가 2016년 수상하며 더욱 각별해진 그 상이다. 정보라의 소설을 번역한 안톤 허는 와우북페스티벌에서 이 책을 발견하고 "한 문장을 읽는 순간 인상적이어서" 번역해 소개하고 싶었다고 한다. 한 문장에 독자를 사로잡는 소설, <저주토끼>의 첫 문장은 이것이다. "저주에 쓰이는 물건일수록 예쁘게 만들어야 하는 법이다." - 알라딘 홈피에서 옮김.
몇 년 전부터 오디오 북을 애용하고 있다. 아마 단편까지 합하면 백 권 이상을 구매했을 것이다. 종이책과 달라서 오디오 북은 구매하는 대로 바로 듣게 되어 쉽게 완독할 수 있는 게 장점이다. 내가 구매한 오디오 북의 90프로 이상을 완독한 것 같으니 말이다. 또 하나의 장점은 반복해 들을 수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안톤 체호프의 <사랑에 관하여>라는 단편집 중 내가 좋아하는 몇 편의 단편은 수십 번 들은 것 같다.
나는 오디오 북을 구매할 때 다음 사항을 중요시한다.
1) 책 내용도 중요하지만 책을 읽어 주는 사람의 목소리도 중요하다. 귀에 쏙쏙 들어오며 듣기 좋은 목소리로 읽어 주는 오디오 북을 선호한다.
2) 책 내용 사이사이에 음악이 잠깐 나오는 건 괜찮지만 책 내용을 읽어 줄 때 음악이 함께 나오는 오디오 북은 선호하지 않는다. 음악에 신경이 쓰여 집중력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3) 목소리나 음악 소리가 갑자기 커지거나 작아지는 건 질색이다. 소리가 커지면 깜짝 놀라게 되고 작아지면 잘 들리지 않아 불편하다. 동일한 음량이 유지되는 오디오 북을 좋아한다.
내가 구매한 오디오 북 중에서 골라 소개한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0412/pimg_7179641833377539.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0412/pimg_7179641833377548.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0412/pimg_7179641833377530.jpg)
(내 휴대 전화에 저장되어 있는 오디오 북이다.)
오디오 북으로 들어서 좋았던 것은 종이책으로도 갖고 싶어서 종이책을 구매할 때가 많다. 구매한 종이책을 펼쳐서 기억하고 싶은 글에 밑줄을 그어 놓는 습관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