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면서 누구나 지독한 아픔을 경험했거나 앞으로 경험할 거라고 생각한다.
다음 글을 읽고 마음이 아팠다.
지금도 예쁘지만 어릴 적 그 아이의 귀여움엔 비길 데 없는 광채 같은 게 있다. 그 아이는 내가 아들을 잃고 난 후 1년 안에 태어난 외손녀다. 아들을 잃었을 때, 내 여생에 다시는 근심도 기쁨도 없을 줄 알았다. 그러나 장대 같은 아들을 잃은 지옥 같은 고통에 지쳤을 때 겨우 콩꼬투리만한 새 생명이 기적처럼 나에게 왔다. 그 새 생명을 처음 대면했을 때 나는 온몸이 떨리는 듯한 기쁨을 맛보았다. 나에게 기쁨을 느낄 수 있는 감수성이 남아 있으리라고는 예상 못한 일이었다. 다행히 그 애를 낳은 딸네가 가까이 살고 있어서 나는 하루도 빠지지 않고 그 애가 자라는 걸 지켜볼 수 있었다. 비로소 마음 붙일 곳이 생긴 것이다.(174쪽)
근심도 기쁨도 없이 목석처럼 살아낼 수 있으리라고 믿은 건 거짓말이었다. 입으로는 살고 싶지 않다고 하면서도 얼마나 살고 싶었으면 그 작은 생명에게 마음을 붙이고 울고 웃고 하였을까. 그 애의 생명력이 눈부시다면 내 생명력은 또 얼마나 징그러운가. 나는 딴 손자들이 눈치채지 않도록 조심조심 그 애를 얼마나 편애했던가. 그건 손자 사랑이라기보다는 마음 붙일 수 있는 걸 찾아내어 놓치고 싶지 않은 자기애가 아니었을까. (174~175쪽)
⇨ 세상엔 슬픈 일이 많겠으나 자식을 잃은 슬픔보다 큰 슬픔은 없으리라. 자식을 잃고 나서 밥을 먹을 수도, 잠을 잘 수도 없는 마음 상태에서는 지옥이 따로 있는 게 아닐 것이다. 이미 지옥에 있는 거나 마찬가지일 테니.
고통에 신음하며 더 이상 살고 싶지 않은 사람에게 기쁨에 잠겨서 웃는 순간이 온다는 건 얼마나 큰 축복인가.
위로가 절실히 필요한 이들에게 축복이 있기를….
박완서, <모래알만 한 진실이라도>
(‘상품 넣기 검색창’에 내가 구매한 책이 뜨지 않아 에디션으로 출간된 책을 넣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