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대 심리학자인 가브리엘레 외팅겐은 25년 넘게 목표 설정과 성공에 대한 연구를 해왔다. 그녀는 한 연구에서 체중 감량을 원하는 여성들을 관찰했는데, ‘감량 목표를 이룰 것이라는 기대가 높은 사람이 실제로도 가장 많이 체중을 감량할까’ 하는 점이 연구의 포인트였다.
결과는 정반대로 나타났다. 긍정적인 결과가 나올 것이라고 기대했던 여성들보다 의심이 많았던 여성들이 훨씬 더 목표에 근접했던 것이다. 왜일까? 후자는 많은 방해 요소가 존재하고 있고, 그로 인해 실패할 가능성도 있다는 점을 분명하게 알고 있었다. 때문에 이들은 훨씬 현실적이었고 체중 감량을 위해 준비한 규칙도 잘 지켰다.
이와 같은 현상은 다른 연구에서도 나타났다.
- 마티아스 뇔케, 「나를 소모하지 않는 현명한 태도에 관하여」, 69~70쪽.
자기의 목표 달성에 대해 자신감이 넘친 사람들이 좋은 결과를 얻지 못하는 이유를 나는 알 것 같다. 자신감이 넘치는 이들은 좋은 결과를 얻는 데 방해가 되는 여러 복잡한 변수들을 간과할 만큼 판단력이 흐리기 때문이다. 반면에 자신감이 없는 이들은 그 변수들을 고려할 만큼 판단력이 뛰어나기 때문이다. 판단력이 뛰어난 사람들이 그렇지 못한 사람들보다 더 좋은 결과를 이루어 낼 듯싶다.
*
아침에 눈을 뜨면 ‘오늘 스케줄은 뭐지?’하고 탁상 달력을 본다. 이때 그날의 날짜에 스케줄이 적혀 있지 않아 외출할 일이 없다는 것을 확인할 때 기분이 좋다. 밖에 나가기 싫어서다. 친정에 가고, 강좌를 들으러 다니고, 스터디 모임에 나가고, 영화토론 모임에 나가고, 발레를 하러 가거나 걷기 운동을 하다 보면 집에만 있는 하루가 그렇게 좋을 수가 없다. 내가 나이가 들어서 움직이는 걸 싫어해서 그런 줄 알았는데 떠올려 보니 학창 시절에도 비활동적이었다. 체육 시간에는 운동장에 나가는 게 달갑지 않았고, 음악 시간에는 음악실로 이동하는 것이 달갑지 않았으니 말이다.
그래도 내가 즐기는 외출이 하나 있긴 하다. 가끔씩 글을 쓰러 노트북을 가지고 집 부근 카페에 가는 일이다. 카페에서 차 한 잔을 시켜 놓고 노트북을 열고 있으면 나만의 한가로움을 맛볼 수 있어 힐링의 시간이 되고, 카페의 시끄러운 소음과 음악이 오히려 글쓰기에 집중하게 만든다. 하고 싶은 일에 집중하는 것은 즐거운 일이다. 며칠 전에도 카페에 가서 글을 썼다. 내가 가는 카페에는 나처럼 노트북을 사용하는 이들이 많다.
카페 방문 인증 숏.(규범 표기는 ‘인증 샷’이 아니라 ‘인증 숏’이다.)
**
방 안에 있던 실내 자전거를 버렸다. 긴 시간 동안 책상 앞에 앉아 있을 때가 많은데 그것이 건강상 좋지 않을 뿐더러 엉덩이가 아프다. 그런데 실내 자전거로 운동을 할 때면 또 앉아 있어야 한다. 그래서 실내 자전거를 없애고 대신에 발레바를 구매했다. 내가 연습하고 싶은 동작이 있어서 발레바가 필요했다. 요즘 발레 동작을 배울 수 있는 유튜브 영상을 쉽게 찾을 수 있으니 발레바가 요긴하게 쓰일 것 같다.
발레바 구매 인증 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