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신의 심각한 고민을 털어놓았을 때
이에 대해 대수롭지 않게 여기는
상대의 태도가 든든한 힘이
될 때가 있다.
....................
그 순간 그녀에게 그 어떤 동정보다 효과적이고 그 어떤 연민보다 힘이 되어 준 것은 그녀의 불행을 대수롭지 않게 여기는 에이브럼 신부의 태도였다.
“이런, 이런, 그거 참! 그게 다예요?” 그가 말했다. “나 원참! 난 무슨 심각한 문제라도 있는 줄 알았네요. 그 흠잡을 데 없다는 청년이 진짜 남자라면 아가씨의 집안 같은 건 눈곱만큼도 신경 쓰지 않을 거예요. 자, 로즈 양, 내 말을 믿어요. 그 청년이 사랑하는 건 바로 아가씨 자신이에요. 그러니까 방금 전에 나한테 털어놓은 것처럼 그 청년한테도 솔직하게 털어놓아요. 내 장담하는데 그러면 아마 아가씨 이야기를 들으면서 대수롭지 않게 웃어넘긴 다음 그 때문에 오히려 아가씨를 더 사랑하게 될 거예요.˝
- 오 헨리, <오 헨리 단편선>, 210쪽.
....................
대양을 항해하다 보면 폭풍이 몰아치는 일이 있듯이 한평생을 살다 보면 불행이 닥치는 일이 누구에게나 있다. 만약 불행에 빠졌을 때 ‘이건 전화위복의 계기가 될 수 있어’ 하고 생각을 바꾸어 희망을 갖는다면 어떠한 일도 견딜 수 있는 힘이 생길 것이다. 그렇다면 ‘행복의 비결은 자기 생각을 바꾸는 것’이라고 할 수 있겠다. 하지만 생각을 바꾸는 게 쉽지 않은 게 문제다.
10년 남짓한 기간 동안 약 300편의 단편 소설을 쓴 오 헨리(O. Henry)는 불행한 일이 좋은 계기가 된 작가였다. 오 헨리는 은행에서 공금을 횡령했다는 혐의로 3년 3개월 동안 감옥 생활을 했는데 이때의 체험을 소재로 단편 소설을 써서 훌륭한 작가가 되었기 때문이다. 어느 비평가의 말을 빌리자면 그는 오하이오 교도소에 아마추어 작가로 입소했다가, 3년 후에는 직업 작가인 ‘오 헨리’로 출소한 셈이었다. 삶에는 ‘예측할 수 없는 일’이 있다는 사실이 우리에게 위로를 준다.
(210쪽) 그 순간 그녀에게 그 어떤 동정보다 효과적이고 그 어떤 연민보다 힘이 되어 준 것은 그녀의 불행을 대수롭지 않게 여기는 에이브럼 신부의 태도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