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딜레마 :
예전에 알고 지내던 문우가 했던 말에 충격을 받은 적이 있다. 매일 아침 일어나면 제일 먼저 하는 일이 컴퓨터를 켜 놓는 일이라고 한다. 글을 쓰기 위해서다. 세수를 하고 글을 쓰고, 아침을 먹고 글을 쓰고, 외출을 하고 돌아와 글을 쓰고, 집안일을 하고 글을 쓰기 위해 컴퓨터를 잠시도 꺼 놓지 않는단다. 전기세가 아까워서라도 글을 쓰게 만들기 위해 일부러 컴퓨터를 하루 종일 켜 놓는다는 그 정신 자세에 충격을 받았다.
그때 난 글쓰기를 가벼운 산책쯤으로 생각했는데 그렇게 죽기 살기로 뛰어야 하는 사람이 있다는 게 신기했다. 글 쓰는 일이 그렇게 단단한 각오로 해야 하는 일인가 하는 의문이 들었다.
언제부터인가 난 그를 이해하게 되었다. 글쓰기가 좋은 취미가 되려면 글 쓰는 능력이 조금씩이라도 향상되어야 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기 때문이다. 글쓰기 수준이 향상되지 않고 매일 그 타령이면 흥미를 잃고 싫증이 나기 십상이므로 열심히 하려는 자세는 필수임을 알았다. 취미가 이러한데 더군다나 글을 쓰는 직업을 가지려는 사람이라면 더할 것이다.
종종 난 어느 쪽도 선택할 수 없는 딜레마에 처해 있다고 느낀다. 며칠 동안 글을 열심히 쓰고 나면 몸이 피로해져서 몸 건강이 걱정되고 그래서 글을 얼마간 쓰지 말아야겠다고 결정하고 나면 삶의 즐거움이 다 증발해 버린 듯해서 우울증에 걸릴까 봐 정신 건강이 걱정된다. 글에 몰두하자니 몸 건강이 걱정되고 글을 아예 안 쓰자니 정신 건강이 걱정되니 어떻게 해야 좋을지 알 수가 없다.
이런 내게 혹자는 중용의 자세를 가지라고 조언하고 싶을지 모르겠다. 나도 어느 한쪽에 치우지지 않고 중용을 견지하는 게 좋다는 것은 안다. 그러나 글을 쓰다 보면 잠잘 시간까지 쓰려고 하게 되어 휴식 시간을 챙기게 되지 않는다. 또 책을 읽게 되면 쉽게 놓아지질 않는다. 그러니 중용을 견지한다는 게 어려운 일 같다.
숙제처럼 꼭 해야 할 일, 집안일, 친정 일, 독서, 발레, 걷기 운동 등 많은 일들이 줄지어 있어서 그것만으로도 일정이 꽉 차 있는 인생을 살면서 지금부터 글을 쓸 것인가, 아니면 지금부터 푹 쉬어야 할 것인가로 갈등을 겪는 날들이 생긴다. 도대체 어떻게 해야 잘 사는 것인지 모르겠다.
(저만 겪는 일인가요? 여러분은 어떠하신지요?)
2. 책 사랑 :
딜레마에 빠져 있으면서도 사고 싶은 책은 얼마나 많은지...
요즘 단편 소설집에 매료되어 사고 싶은 단편집이 많아졌다.
<기 드 모파상>, 현대문학, 806쪽.
<모파상 단편선>, 문예출판사, 253쪽.
두 책 다 모파상의 소설 단편집이다. 현대문학에서 출간된 책은 8백 쪽이 넘어서 부담스러워 253쪽인 문예출판사의 것으로 구입하기로 결정했다. 또 많은 단편 중에서 좋은 것만 골라 실었을 것이라고 예측하기 때문인 것도 쪽수가 적은 책을 고른 이유다.
모파상에 대해 관심을 갖게 된 것은 내가 좋아하는 작가인 서머싯 몸이 모파상을 사숙했다는 글을 읽어서다. 나도 모파상 단편집을 읽은 적이 있고 집에 책이 있긴 하다. 그런데 너무 오래된 책이라서 누런색으로 변해 버렸고 각기 다른 작품이 담겨 있을 테니까 살 만하다고 생각.
글쓰기를 좋아하지만 글쓰기와 독서 중에서 하나만 택하라면 난 고민하다가 독서를 택할 것 같다. 전체를 100퍼센트로 잡을 때 좋아하는 정도를 숫자로 말한다면 글쓰기를 좋아하는 마음이 49프로, 독서를 좋아하는 마음이 51프로, 라고 말할 수 있다. 마치 독서에 중독이라도 된 듯 책이 없는 삶을 상상할 수 없으니.
안톤 체호프의 <사랑에 관하여>라는 책에 ‘산딸기’라는 단편 소설이 있는데 이런 글이 있다.
...............
그런데 말입니다, 평생 단 한 번이라도 농어를 잡아봤거나 가을에 이동하는 개똥지빠귀들, 그러니까 맑고 신선한 날 시골 마을 위로 떼 지어 날아가는 개똥지빠귀를 본 사람은 말이죠, 절대 도시 사람이 될 수가 없어요. 죽을 때까지 자유로운 생활을 원하죠.(176쪽, 산딸기)
- 안톤 체호프, <사랑에 관하여>에서.
...............
이 글에 공감한다. 무엇을 경험하면서 깊은 맛을 느껴 본 사람은 평생 그것을 잊지 못하기 때문에 그것에 대한 그리움을 끊어 버릴 수가 없다는 뜻의 글이다. 글쓰기도, 독서도 마찬가지라고 생각한다. 글쓰기로 또는 독서로 최고의 즐거움을 한껏 맛본 사람은 그것 없이 산다는 게 불가능하게 된다. 마치 커피의 깊은 맛을 잊을 수 없어 커피를 끊고 사는 게 불가능하게 되듯이.
결국 글쓰기의 재미를 아는 사람은 끝까지 글을 쓰게 되고, 독서광이었던 사람은 끝까지 책을 읽으며 사는 게 일반적이라고 본다.
관심을 가진 책들
서머싯 몸에 따르면 유명 인사들은 세상으로부터 그들 자신을 보호하거나 세상의 환심을 얻기 위해서 가면을 쓰고 다닐 필요가 있지만, 평범한 사람들은 대중 앞에 나설 일이 없기 때문에 그들 자신의 어떤 부분을 감춰야 한다고 생각하지 않아서 가면을 쓰지 않고 있는 그대로 드러내 보인다고 한다.
...............
그들은 자신의 기이한 점을 기이하다고 생각하지 않기 때문에 그것을 있는 그대로 드러내 보인다. 결국 우리 작가들은 이런 평범한 사람들을 다루어야 한다. 왕, 독재자, 재계의 거물 등은 우리 관점에서 보자면 아주 장사가 안 되는 인물이다.(15쪽)
평범한 사람들은 서로 갈등하는 사항들이 다양하게 뒤섞여 있는 모순의 보따리이다. 보통 사람은 탕진 불가능한 무궁무진의 소재이다. 그는 작가에게 한없는 놀라움을 선사한다. 그래서 나는 무인도에서 한 달 동안 단 한 명의 친구와 보내야 한다면 국무총리보다는 수의사를 선택하고 싶다.(15쪽)
- 서머싯 몸, <서밍 업>에서.
...............
내가 잡지사 기자, 자유기고가, 조선일보 리포터, 칼럼니스트, 블로거로 글을 써 온 오랜 경험을 통해 깨달은 게 하나 있다. ‘딱 자기가 아는 만큼만 글을 쓴다는 것.’이다. 그 이상의 글을 쓸 수 없다는 뜻이다. 조금 아는 사람이 글을 잘 쓸 수 없다는 뜻이기도 하다.
많이 알려면 통로는 두 가지다. 체험과 독서.
우리가 노력할 수 있는 건 간접 경험으로서의 독서뿐이다.
우리는 독서하면서 생각하게 되고 독서하면서 간접 경험을 한다.
정리하자면 다음과 같다.
독서의 양이 사색의 양이고, 경험의 양이다. 독서한 만큼 딱 그만큼만 글을 쓴다는 것이다. 물론 사견임에 불과하지만.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9/0112/pimg_7179641832097466.jpg)
3. 자랑질 :
매주 발레를 했더니 키가 1센티미터 자랐다. 거짓말이 아니다.
원래 내 키는 163.1센티미터인데 지난해 12월에 건강 검진을 받을 때 키가 164.1센티미터였다. 2년 만에 1센티미터가 자랐다.
깜짝 놀랐다.
발레에 스트레칭 동작이 많아서 그런 것 같다.
(여러분도 틈틈이 스트레칭을 하시길 권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