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의 마술사
앤드루 제프리 지음, 베블링 북스 옮김 / 새터 / 2011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수학 하면 나는 머리부터 지근거린다. 게산하는 것도 싫고 따지는 것도 싫은 나는 수학과 관련된 건 무조건 노노노노.  

그런데 수학의 마술사라는 책을 읽으면서 수학이 이렇게 흥미진진할 수 있구나 라는 생각을 갖게 되었다. 

첫 페이지에 나는 나 자신을 반성할만한 문구가 나온다.  

수를 있는 그대로 바라보기 

헉 내가 과연 그런 적이 있었나? 한 때 나는 주산 1급에 암산 2급까지 한적도 있었다. 그러나 그런 건 아무짝에도 쓸모 없다고 생각하는 나다. 어릴 적 그걸 배워서 나는 계산하는 방식을 소홀히 했고 잊어버렸고 결국 할줄 모르게 되었다. 아이들이 열심히 공식을  쓸대 머릿속에 주판알을 그려 답을 적어 내고 정답을 맞혀 주위 아이들은 우아 했지만 정작 나는 계산 할줄 모르고 답만 적어내는 계산기에 불과했던 거다. 

수를 있는 그대로. 

맞다 어렵고 복잡하다 생각하면 기피하게 되니 그럴 수 없었을 것이다. 

 아주 신기한 숫자 놀이가 소개된다. 전화번호 놀이 전화번호 숫자를 마음대로 더해보면 무조건 9의 배수가 나온다고 한다. 오 이럴수가.  

가장 신기한 것은 마음을 읽어내는 마술이다. 사실을 마음을 읽어내는 것은 아니나 수학의 원리를 잘만 이용하면 마음을 읽는 것처럼 보인다는 것. 

친구들은 보지 못하게 하고 종이에 37을 써 놓은 다음 숫자가 아래로 가게 뒤집어 놓는다. 그러고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따르게 한다. 

. 계산기에서 한 숫자를 골라 세번 누르게 한다.  

. 세 숫자의 합을 구하게 한다 

. 세 자리의 수를 위의 값으로 나누게 한다.  

친구들에게 종이에 쓴 수를 보여준다.  

친구들은 놀랄까? 당연히 놀란다. 37과 같으니까. 그 이유에 대한 설명이 29p~30p에 나온다. 놀라운 일은 정확성에서 벌어진다는 걸 알려준다. 

책 속에는 수학을 쉽게 하는 여러 방법들이 소개된다, 

머리아프다고 흔들며 보면서도 내심 놀라게 하는 것들이 많다.  

이 책은 수학을 더 빨리, 더 재미나게, 더 정확하게 더 신나게 하는 비법이 들어있다. 

여러분은 어느 쪽 뇌가 더 발달했을까? 

이 역시 재미난 팁이다. 

두손을 깍지 꼈을 때 위에 올라오는 엄지 손가락이 왼손이면 우뇌, 오른손이면 좌뇌가 더 발달한 사람이다. 해보니 난 역시 우뇌 발달. 그러니 수학을 잘 못했지. 우뇌는 수학이나 과학보다는 예술, 음악, 언어 영역을 담당한다고 한다. 

대수, 진법, 꼭 알아야 할 수학자들, 그리고 일 상 속에 수학들. 신기하게도 아 정말 하며 입벌어지는 이야기가 가득하다. 

수가 없는 세상 역시 수가 존재한다. 

이제 수 자체를 복잡한이 아닌 신기한 재미난의 눈으로 봐야할 듯하다

 

양 옆에 tip을 주었는데 여러가지 상식이었다, 나라별 행운의 숫자는 참고로 우리나라는 3이라고 한다. 3이 정말 행운을 줄까 하는 의구심이 살짝 들지만~ 

 


댓글(4)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잘잘라 2011-10-10 15:4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놀라운 일은 정확성에서 벌어진다' 의미심장합니다.
그리구 진짜 신기한데요? ㅎㅎ 계산기 놓고 해봤는데 진짜 37 나와요. 설명이 궁금하네요.

마녀고양이 2011-10-10 23:3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알라딘에서 보내준 숫자 시계있잖아요..
그걸 거실에 놓았는데, 코알라가 맨날 시와 분으로 약분을 해서 얘기해줘요.
아주 재미 들였더라구요.

숫자를 있는 그대로 보기라,,,
세상을 있는 그대로 보기, 나를 있는 그대로 보기, 사실을 있는 그대로 보기...
거의 철학인걸요. ^^

하늘바람 2011-10-11 00:40   좋아요 0 | URL
전 그래도 머리 아팠어요 지근지근
님이 철학적이셔서 그런거 아닐까요

하양물감 2011-10-11 14:2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수학만 그럴까요? 요즘 한솔이 가르치다보면, 내가 학생 때, 아니 어렸을 때 요만큼만 했어도 지금 내 인생이 달라졋을거란 생각을 하는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