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Book] 그리스인 조르바 열린책들 세계문학 21
니코스 카잔차키스 지음 / 열린책들 / 2011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 혼자만 발기 불능의, 이성을 갖춘 인간이었다. 내 피는 끓어오르지도, 정열적으로 사랑하지도, 미워하지도 못했다. 나는 비겁하게 모든 것을 운명의 탓으로 돌리고서 할 일을 다했다고 믿고 싶어 했다. _ 니코스 카잔차키스, <그리스인 조르바>, p82

니코스 카잔자키스 (Nikos Kazantzakis, 1883 ~ 1957)의 <그리스인 조르바 Zorba the Greek>의 '나'는 꿈과 이상에 가득찬 이성(理性)의 인간이다. 삼단논법의 논리학과 함께 불교의 자비심을 가지고, 갈탄 사업으로 새로운 공동체를 건설하기를 갈망하는 근대의 인간이다. 그런 근대 인간의 전형인 '나'는 자신과는 전혀 다른 인물인 조르바를 만나면서 새로운 충격에 빠지고, 자신이 믿어왔던 것들에 대해 새롭게 인식하게 된다는 것이 <그리스 조르바>의 큰 줄기다.

조르바야말로 내가 오랫동안 찾아다녔으나 만날 수 없었던 바로 그 사람이었다. 그는 살아 있는 가슴과 커다랗고 푸짐한 언어를 쏟아 내는 입과 위대한 야성의 영혼을 가진 사나이, 아직 모태(母胎)인 대지에서 탯줄이 떨어지지 않은 사나이였다. _ 니코스 카잔차키스, <그리스인 조르바>, p11

이 크레타 해안에서 나는 처음으로 먹는다는 게 얼마나 즐거운 것인가를 깨달았다. 조르바는 두 개의 바위 사이에다 불을 피우고 음식을 장만했다. 먹고 마시면서 대화는 생기를 더해 갔다. 마침내 나는 먹는다는 것은 숭고한 의식이며, 고기, 빵, 포도주는 정신을 만드는 원료임을 깨달았다. _ 니코스 카잔차키스, <그리스인 조르바>, p36

많은 이들이 <그리스인 조르바>를 통해 '절대 자유', '영혼의 투쟁'을 말한다. 그렇지만, 개인적으로 몸에 맞지 않은 옷을 걸친 듯 어색하게 되버린 '나'의 변화에 더 눈이 간다. 조르바와 함께 지내며 새로운 충격을 받지만, <어린 왕자>에서 어린 왕자와 사막 여우와의 만남처럼 각자의 삶을 바꿀 정도로 이르지는 못한다. 영화를 통해 유명해진 '조르바의 춤 zorba dance'을 '나'는 배우려고 했지만, 결코 조르바에게서 그 의미까지 배우지 못한 것은 아니었을까. 아니면, 그 의미를 깨달았지만 선택하지 못한 쪽이었을까.

"두목, 이런 말을 해서 어떨지는 모르지만 당신은 가망 없는 펜대 운전사올시다. 평생에 한 번이라도 그 아름다운 녹암을 봐야 하는 건데, 당신은 보지 않았어요."_ 니코스 카잔차키스, <그리스인 조르바>, p149

원래 까마귀는 까마귀답게 점잖고 당당하게 걸을 줄 알았어요. 그런데 어느 날 이 까마귀에게 비둘기처럼 거들먹거려 보겠다는 생각이 난 거지요. 그 이후로 이 가엾은 까마귀는 제 보법(步法)을 몽땅 까먹어 버렸다지 뭡니까. 뒤죽박죽이 된 거예요. 기껏해야 절뚝절뚝 걸을 수밖에는 없었으니까 말이요. _ 니코스 카잔차키스, <그리스인 조르바>, p37

'내'가 조르바에게서 배운 것은 '절대 자유'지만, 절대 자유를 느끼는 영혼은 육체안에 갇혀있기 때문에 불확실해질 수 밖에 없었고, 불안함을 싫어하는 인간의 본성에 따라 안정감을 위해 나는 이성으로 돌아가는 선택을 할 수밖에 없었던 것은 아닐까. 자신의 동경하는 삶을 눈 앞에서 보면서도 그것을 선택할 수 없는 나. 사실 이것은 소설 속의 이야기가 아니라 지금도 우리에게 유효한 인생의 문제라는 점과 운명이 던져주는 문제에 좌절하는 개인의 모습을 그렸다는 점에서 <그리스인 조르바>와 선조 격인 그리스 비극(悲劇)의 연관성을 떠올리게 된다.

생명이란 모든 사람에게 오직 일회적인 것, 즐기려면 바로 이 세상에서 즐길 수밖에 없다는 경고였다. 영원히 다른 기회는 주어지지 않을 것이다. _ 니코스 카잔차키스, <그리스인 조르바>, p85

인간의 영혼은 육체라는 뻘 속에 갇혀 있어서 무디고 둔한 것이다. 영혼의 지각 능력이란 조잡하고 불확실한 법이다. 그래서 영혼은 아무것도 분명하고 확실하게는 예견할 수 없다. _ 니코스 카잔차키스, <그리스인 조르바>, p9

우리는 이제 우리의 영혼을 신뢰하지 않는다. 영원한 구멍가게 주인인 이성이 영혼을 비웃고 있다. _ 니코스 카잔차키스, <그리스인 조르바>, p148

우리에게 영화로도 널리 알려진 <그리스인 조르바>지만, 영화에서는 깊이 생각하지 못했던 부분을 책을 통해 발견하게 된다. 그건 안소니 퀸(Anthony Quinn, 1915 ~ 2001)이라는 배우의 압도적 연기에 몰입되었기 때문이었을까... 사실, <그리스인 조르바>를 읽으면서 느꼈던 것은 별도로 있지만, 내용이 길어질 듯하니 이는 다른 페이퍼를 통해 풀어가도록 하고 일단은 주제 정도로 정리하자...

댓글(7) 먼댓글(0) 좋아요(4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하나 2020-09-21 18:04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인간이라니, 무슨 뜻이지요?˝
˝자유라는 거지.”

저는 이 대목을 오래 좋아했는데, 겨울호랑이님의 리뷰를 읽으니 “나”에 대해 생각해보게 되네요. ^^

겨울호랑이 2020-09-21 18:10   좋아요 1 | URL
제가 원하는 것을 많이 선택하지 못해서 그 부분이 더 크게 보인듯 합니다. 감사합니다, 하나님... 마지막은 신앙 고백이 되버리네요. ㅋ

하나 2020-09-21 18:13   좋아요 1 | URL
(저도 그렇고요. 그래서 계속 조르바 좋아하는 거 같고요. ㅋㅋ) 겨울호랑이 님도 웃기셔 ㅋㅋㅋ 요즘 북플 지성과 유머감각 필수인가 봐요! (분발해야지 🔥)

겨울호랑이 2020-09-21 18:17   좋아요 1 | URL
제가 보기엔 하나님(?)의 작명 센스가... 즐거운 저녁 되세요! 감사합니다. ^^:)

하나 2020-09-21 18:19   좋아요 1 | URL
겨울호랑이님도 좋은 저녁 되세요! 용기가 필요한 시점에 조르바 생각나게 해주셔서 감사해요 ^^

막시무스 2020-09-21 18:06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조르바 너무 조아합니다!ㅎ
다음 페이퍼도 기대잔뜩 모드로 기다릴께요!ㅎ 즐건 저녁시간되십시요!

겨울호랑이 2020-09-21 18:13   좋아요 1 | URL
감사합니다. 막시무스님... 기대에 부응하기에는 어려운 페이퍼가 될 듯 하니 마음을 비워주심이.... 행복한 저녁 되세요! ^^:)
 
호메로스의 『일리아스』 읽기 강대진의 고전 산책 3
강대진 지음 / 그린비 / 2019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분노를 노래하소서, 여신이여, 펠레우스의 아들 아킬레우스의 파괴적인 분노를.

지금껏 호메로스의 <일리아스>을 읽으며 부끄럽게도 저 문장 너머를 바라볼 수 없었다. 그렇지만, 아킬레우스는 전체 24권 중 1권에서 아가멤논에게 화를 내고 자기 진영에 틀어박힌 후 제16권 파트클로스가 죽은 후에서야 싸울 준비를 하고 제20권에 이르러서야 겨우 자신의 분노를 표현한다. 그런 점에서 본다면 <일리아스>의 주인공은 아킬레우스가 아니다. 그보다 절대적인 용맹을 지닌 아킬레우스의 빈 자리를 메꾸는 인물들 - 불멸의 신들마저 격퇴한 디오메데스, 자신의 한계를 알면서도 트로이아를 위해 묵묵히 헌신하는 헥토르이며, 복수를 위해 모든 것을 건 메넬라오스와 겁에 질려 헬레네 곁으로 도망치는 파리스, 아가멤논과 아이아스 등 -의 공동주연이라고 보는 편이 더 타당하게 느껴진다.

이들을 주인공으로 바라보면 작품이 전혀 다르게 다가온다. 이들은 필멸의 인간이기에 각자 한계를 갖고 있으며, 이러한 한계가 저마다 죽음의 원인이 된다. 죽음은 제약 조건으로 작용한다.

‘어둠이 눈 앞을 가리면‘ 인간들은 더이상 전장에 나설 수 없다. 때문에 항상 죽음을 걱정해야 하는 인간의 영웅들은 신들은 물론 반신반인의 아킬레우스에 비해서도 한없이 미약한 존재에 불과하고 끊임없이 감정에 휩쓸린다. 그렇지만, 역설적으로 그들은 자신이 가진 인간적인 한계로 인해 불멸의 삶을 부여받는데, 그것은 각자의 삶을 배경으로 한 작품(그리스 비극)안에서다.

<호메로스의 <일리아스> 읽기>는 영웅 아킬레우스가 아닌 필멸의 인간들이 불멸의 인간으로 우리 곁에 남을 수 있는 이유를 작품 해설을 통해 친절하게 알려준다. 그리고, 그 설명을 통해 우리는 영화 <트로이>의 왜곡된 이미지가 아닌 호메로스 작품 안에서 살아 있는 인물의 모습을 온전히 찾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프랑켄슈타인 (무선) 문학동네 세계문학전집 94
메리 셸리 지음, 김선형 옮김 / 문학동네 / 201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과학자 프랑켄슈타인의 손에 의해 태어난 괴물. 유명한 공포소설 <프랑켄슈타인>은 과학기술에 대한 지나친 맹신에 대한 경고로 흔히 해석된다. 그렇지만, 작가인 메리 셀리와 어머니 이자 초기 여권운동가인 메리 울스턴크래프트의 관계를 고려한다면 조금 다르게 읽혀야 되지 않을까. 로고스(Logos)가 만들어 낸 뮈토스(Mytos), 역사 속에서 타자로서, 역사 속에서 어둠에 쌓인 괴물(Monster)로, ‘~이 아닌‘ 존재로 설정된 여성에 대한 이야기라는 관점에서 바라본다면 무리가 있을까. 조금 다른 관점에서 이야기를 들여다 본다면, 이제까지 알던 것과는 다른 낯선 세계가 눈 앞에 펼쳐진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3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20-07-26 11:10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0-07-26 11:28   URL
비밀 댓글입니다.
 
주석 달린 드라큘라
브램 스토커 지음, 레슬리 S. 클링거 엮음, 김일영 옮김 / 황금가지 / 201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주석달린 드라큘라 The New Annotated Dracula>는 제목 그대로 브램 스토커(Bram Stoker, 1847 ~ 1912) 의 <드라큘라 Dracula>에 주석을 단 책으로, 필자의 세세한 주석들은 시대적으로 낯선 약 120년 전의 빅토리아 시대(Victorian era)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하여 독자들로 하여금 생생하게 당시를 느낄 수 있게 한다.  


 여름날 무더위나 식힐 요량으로 <주석달린 드라큘라>를 꺼내들고 읽었지만, 주석달린 책 덕분에 무더위에 땀을 뻘뻘 흘려야 했다. 예를 들면, 작품 내에 '코레아 Korea'라는 단어를 설명하는 문장을 살펴보자.


 한 사람 더 올 걸세. '코레아 Korea'(50)에서 만난 우리의 오랜 친구 잭 수어드 말이야. 우리 둘은 술 한잔 하면서 같이 눈물도 흘리고, 하나님이 만드신 가장 고귀한 마음을 가진 어떤 여인, 가장 얻을 만한 가치가 있는 어떤 여인을 얻은 이 세상에서 가장 행복한 친구의 건강을 진심으로 기원하며 술도 한잔 할 걸세.(p175) <주석 달린 드라큘라> 中


 주석없이 읽을 경우 우리는 19세기 후반에 이미 우리나라가 유럽에 널리 알려져 있으리라고 넘겨짚기 쉽지만, 엮은이의 주석은 이러한 오해로부터 우리를 구해준다. 덕분에 우리는 작품에 대한 이해도를 높일 수 있지만, 이와 비례하여 책진도에도 과부하가 걸림을 실감하게 된다. 


 (50) 여기서 모리스가 말한 코레아(Korea)가 어느 나라를 가리키는지는 모호하다. 이는 빅토리아 시대에 '코레아 Corea'로 더 잘 알려져 있던 한국(Korea)를 지칭할 수도 있었다. 하지만 19세기 후반에 리버풀에서 풀항해 아시아로 항해했던 코레아(Corea)라는 배도 있었다. 레더데일은 이 명칭이 어떤 선술집이나 남자들이 모이는 클럽을 지칭할 수도 있다고 말한다.(p176) <주석 달린 드라큘라> 中 


 또한, 주석은 문학작품에 몰입 대신 분석적으로 접근하게 만든다. 이 때문일까. 공포문학의 선조(先祖)라 할 수 있는 <드라큘라>지만, 생각만큼 무섭지 않다. 책의 내용을 영화화한 프란시스 포드 코폴라(Francis Ford Coppola, 1939 ~ )의 <드라큘라 Bram Stocker's Dracula>을 최근에 봤을 때에도, 생각만큼 무섭지 않았다. 아무래도 시각적으로 더 자극적인 공포물들을 손쉽게 접할 수 있는 환경으로 변화해서 그런것이겠지만, 이들 작품에는 후대 작품이 따라갈 수 없는 아우라(Aura)가 존재하는 것 또한 사실이다. 영화의 경우 게리 올드만(Gary Leonard Oldman, 1958 ~ ), 앤소니 홉킨스( Sir Philip Anthony Hopkins, 1937 ~ )가 펼치는 연기는 지금봐도 관객을 압도하고, 다른 색깔의 공포를 선사한다. 


 [그림] Bram Stoker's Dracula(출처 : https://www.pinterest.es/pin/398498267010086356/)


  공포문학으로서 <드라큘라>는 어떨까. 개인적으로 <드라큘라>가 주는 공포는 치밀한 묘사나 빠른 전개보다는 작품 내용 전달에서 느껴진다. 책에서는 내용이 등장인물들의 일기, 편지, 축음기에 남긴 메세지 등으로 전달된다. 이로 인해 독자들은 마치, 소극장에서 드라이 아이스가 놓여진 캄캄한 무대 위에서 등장인물들이 한 줄로 앉아 한 명씩 일어나 자신의 관점에서 이야기를 들려주는 느낌을 받는다. 이들은 서로 대화를 하지 않고 각자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이야기한다. 각자 자신의 이야기를 하기에 서로 충돌되는 내용도 많지만, 정리하는 것은 오로지 독자들의 몫이다. 


 때문에, 우리는 안정적으로 작품 내용을 들여다 보는 대신 혼란에 빠진 이들의 어지러운 증언만으로 내용을 짐작해야 한다. 이로 인해 우리는 어두운 방안에서 흐릿한 랜턴을 이리저리 비추는 불빛 속에서 어지럽게 날아다니는 박쥐로 변한 드라큘라 백작을 찾기에 억지로 동참한다. 어느 누구도 드라큘라가 무엇을 할 수 있으며, 그의 한계가 무엇인지를 알지 못한다. 다만, 그가 보여주는 힘을 통해 어렴풋하게 그에 대해 정리해 나갈 뿐이다. 


 이로부터 우리는 작품 안에서 전해지는 공포가 드라큘라의 날카로운 이빨이나 기괴한 모습이 공포의 근원이 아니라, 보이지 않는 곳에 무언가가 있다는 사실이 진정한 공포임을 느끼게 된다. 영화에서는 이를 3인칭으로 객관화하여 보여준다면, 문학에서는 그렇지 않고 상상력을 자극하면서 다른 의미에서의 공포를 보여준다. 보이지 않는 곳에서 한계를 알 수 없는 존재가 주는 공포. 이러한 부분이 문학작품이 주는 독특한 매력이 아닐까 한다.  비슷한 종류의 공포로는 내기 볼링을 칠때 상대가 터키(Turkey)나 파이브배가(5 Begger)를 쳐서 점수가 아직 나타나지 않았을 때의 심정이 있지 않을까.  


 또한, <주석달린 드라큘라>는 작품 해설을 통해 <드라큘라>에 대한 여러 해석들도 함께 제시한다. 작품에 담겨진 숨겨진 의미를 찾는 것도 문학만이 갖는 멋진 매력일 것이다.


 스토커의 이야기는 여러 이론으로 분석할 만한 광범위한 자료를 제공한다. 켄 젤더(Ken Gelder)가 <뱀파이어 읽기 Reading the Vampire>에서 밝혔듯이, 시점이 자주 전환되는 이 작품에는, "민족학, 제국주의, 의학, 생물학적 퇴화(그리고 반대로 진화)에 대한 담론, 관상학, ...  여성주의, ... 남성주의, 신비주의 등의 다양한 분야의 담론과 함께 여러 비평 주제와 비평적 접근의 예가 나오기 때문이다.(p714) <주석 달린 드라큘라> 中


 당초 리뷰에서 해당 내용을 정리해보려 했으나, 막상 해보니 일이 걷잡을 수 없을만큼 커져 별도로 정리하는 것으로 계획을 수정한다. 다만, <드라큘라>가 단순한 고전 문학 작품이 아니라 19세기 말 제국주의 시대 절정기에 당대의 갈등과 대립, 그리고 당시 싹트고 있던 새로운 사상의 관점에서도 해석이 가능한 작품이라는 것을 정리하고 마무리한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20-07-26 11:21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0-07-26 11:39   URL
비밀 댓글입니다.
 
주석 달린 드라큘라
브램 스토커 지음, 레슬리 S. 클링거 엮음, 김일영 옮김 / 황금가지 / 201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조너선 하커가 처음 언데드(Undead)를 보고 느낀 낯설음, 두려움과 관능욕의 복합적 감정은 독자들에게 ‘뜨거운 얼음‘으로 다가온다. 두려움과 흥분의 뒤섞인 감정이 무더운 여름날 우리를 시원하게 이끄는 것이리라.

세 여인은 모두 관능적인 붉은 입술과 진주처럼 눈부신 흰 이빨을 갖고 있었다. 그들의 모습에는 날 불안하게 하는 뭔가가, 욕망과 동시에 어떤 섬뜩한 두려움을 불러일으키는 뭔가가 있었다. 난 마음속으로 그들이 저 붉은 입술로 내게 키스해 주기를 바라는 사악하고도 불타는 욕망을 느꼈다.(p13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