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홍규(李弘規)가 왕에게 말하였다. "진왕은 하(河, 황하)를 끼고 피나는 싸움을 하며, 바람으로 빗질하고 비로 목욕하고 친히 시석(矢石)을 무릅쓰고 있는데, 왕께서는 오로지 군대에 공급할 물자를 가지고 위급하지 않은 비용으로 쓰고 있습니다. 또 때는 바야흐로 어려워서 인심을 헤아리기 어려운데 왕께서는 오랫동안 부제(府第)를 비우고 멀리 나가서 놀기를 좇다가 만의 하나라도 간사한 사람이 있어 변고를 일으켜서 관문을 닫고 서로 거리를 두면 장차 이를 어떻게 하시겠습니까?"

비단을 엮어서 산을 만들고 그 위에다 궁전 누관(樓觀)을 만들고 혹시 비바람에 무너지게 되면 다시 새로운 것으로써 그것을 바꾸었다. 때로는 비단으로 만든 산에서 즐겁게 술을 마시면서 열흘이 지나도 내려오지 않은 적도 있었다. 산 앞에서 해자를 파서 금중(禁中)과 통하게 하여 혹은 배를 타고 밤중에 돌아오면서 궁녀들로 하여금 밀초 1천여 개를 들고 앞에 가는 배에 있게 하고 뒤의 배에 서서 그곳을 비치게 하니 수면(水面)이 마치 낮과 같았다. 혹은 금중(禁中)에서 술을 마시어 취하면 북을 치고 악기를 불며 비등하여 새벽까지 이르렀다. 이것을 가지고 일상으로 삼았다.

오의 서온(徐溫)이 오왕에게 권고하여 남교(南郊)에서 제사를 지내게 하였는데, 어떤 사람이 말하였다. "예의와 음악이 아직 갖추어지지 않았으며, 또 당이 남교에서 제사를 지낼 적마다 그 경비는 거만(巨萬)이었는데, 지금은 아직 처리할 수가 없습니다."
서온이 말하였다. "어찌 제왕이 된 사람이 있는데 하늘을 섬기지 아니하겠는가? 내가 듣건대 하늘 섬기는 것은 진실한 것을 귀히 여긴다고 하니 많은 비용을 써서 무엇 하겠는가? 당에서는 매번 교서(郊祀)를 지낼 때마다 남문(南門)을 열고 그 돌쩌귀에 기름을 치는데, 기름 100곡을 사용하였다. 이것은 바로 말세에 대단히 사치하였던 폐단인데, 또한 어찌 충분히 본받을 만하겠는가?"

이사소가 노주(潞州, 산서성 장치시)에서 도착하여 역시 말하였다. "지금 강한 적이 앞에 있으니 우리에게는 전진은 있으되 후퇴할 수는 없고, 가볍게 움직여서 인심을 동요시킬 수 없습니다."
진왕이 말하였다. "제왕(帝王)이 일어나는 것은 스스로 천명(天命)을 가지고 있는 것인데, 거란이 나를 어찌 하겠는가? 내가 수만의 무리를 데리고 산동(山東, 태행산 동쪽)을 평정하였고, 지금 이 작은 야만인을 만났는데 이들을 피한다면 무슨 면목으로 사해(四海)에 다가갈 수 있겠는가?"

마침 폭설이 열흘 동안 내려서 평지에 수 척(尺)이 쌓였고 거란의 사람들과 군마가 먹을 것이 없어 죽은 사람들이 길에 서로 줄을 이었다. 거란주가 손을 들어 하늘을 가리키며 노문진(盧文進)에게 말하였다.
"하늘이 아직 나로 하여금 이곳에 이르지 못하게 하는구나!" 마침내 북쪽으로 돌아갔다.
진왕이 군사를 이끌고 그들을 뒤밟아 그들이 가다가 머무는 대로 따르다가 그들이 들판에 유숙하던 곳을 보니, 땅바닥에 볏짚을 깔고 있는데 빙 둘러있는 것이 바야흐로 네모반듯하여 모두가 잘라서 엮은 것 같았으며, 비록 떠나면서도 한 나뭇가지라도 어지럽힌 것이 없었으니, 탄식하며 말하였다. "야만인이 법을 엄격하게 적용하여 마침내 이와 같을 수 있었는데, 중국에서는 미치지 못하는 것이구나!"

대봉왕(大封王) 궁예(躬乂)는 성격이 잔인하였는데, 해군(海軍)통수인 왕건(王建)이 그를 죽이고 자립하여 다시 고려왕(高麗王)이라 칭하고 개주(開州)를 동경(東京)이라 하고 평양(平壤)을 서경(西京)이라 하였다. 왕건은 검소하고 절약하며 너그럽고 온후하여 그 나라의 사람들이 이를 편안해 하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산으로 떠나는 명빈의 병든 몰골을 보면서 명희는 이들 세대의 종언을 강하게 느꼈던 것이다. 감옥에 유폐되었거나, 친일파로 전락되었거나 해외로 탈출했거나 혹은 낙향하여 숨어버렸거나 아니면 칼끝 같은 정세를 관망하며 불안하게 사업체를 붙들고 있거나, 어쨌거나 뿔뿔이 흩어지고 만 이들의 세대, 젊었던 한철 의기양양했으며 비분강개하고 3.1운동의 중추세력이었던 이들의 세대, 무너지고 산산조각이 난 것을 명희는 새삼스럽게 실감하는 것이었다.(p184)... 하기는 무위하게 보낸 세월이 임명빈의 것만은 아니었을 것이다. 무능했던 것도 어디 임명빈만의 몫이겠는가. 조선의 세월 그 자체가 무위했으며 무능했던 것이 아니었겠는가. 소리 지를 땅은 어디 있었으며 주장할 연단은 어디 있었으며 터전에다 말뚝 박고 줄 쳐서 내 것 만들 권리는 없었다. _ 박경리, <토지 18> , p185/672


 <토지> 독서챌린지 35주차. <토지 18>에서 명희는 오빠 명빈의 쇠약해진 모습에서 한 세대의 퇴장을 읽는다. 일제의 무단통치 하에서 제1차 세계대전의 끝을 보고, 1919년 3.1운동을 주도하며 독립을 꿈꾸었던 세대. 그렇지만, 기대가 큰 만큼 좌절에 대한 실망도 컸기에 이들 세대는 저마다의 방식으로 다음 10년을 살아갔다. 누군가는 독립투자로 누군가는 친일파로. 명희는 쇠약해진 오빠를 통해 잃어버린 자신의 세대의 모습을 발견한다. 그렇지만, 그녀가 본 것이 과연 세대의 모습이었을까. 


 여기서 한 가지 물음을 던지게 된다. 명희가 명빈의 모습에서 발견한 좌절한 세대의 모습은 그 세대의 모습이 아니라, 좌절한 명희의 눈에 비춰진 한 세대의 모습은 아니었을까. 명희 개인의 경험 - 조용하와의 이혼과 용하의 죽음이라는 상황 - 이 좌절된 삶이었기에 그의 눈에 비친 세대의 종언은 사실 명희 자신의 삶 목적 상실은 아니었는지.


 '세대위치 Generationslagerung'는 '실제세대 Generationzusammenhang'와 동일하지 않다. 단순한 계급 지위가 스스로 의식적으로 구성된 계급과 동일하지 못한 것과 꼭 마찬가지로, 실제세대는 단순한 세대위치보다 훨씬 더 많은 어떤 것을 뜻한다 _ 카를 만하임, <세대문제> , p93/254


 카를 만하임(Karl Mannheim, 1893~1947)은 <세대문제 Das Problem der Generationen>에서 '실제세대'와 '세대위치'를 구분한다. 하나의 역사적 사건을 경험하는 '실제세대'들은 여러 '세대단위'로 나뉘어지는데, 각 세대단위들은 저마다의 고유한 경험(엔텔레키 Entelechie)을 가지고 그들만의 통일성을 갖게 된다. 최근 20대 대통령선거에서 유권자들이 자신들의 가치관에 우선순위를 두고 투표에 임했고, 이를 성별, 연령별로 구조화시켜 분석한 것이 여기에 해당될 것이다. 연령별, 성별, 지역별 유권자의 투표성향이 어느 정도 경향성을 띄었다는 점에서 카를 만하임의 분석틀의 유효성을 확인하게 된다. 


 세대단위들은 다양한 개인들이 공통적인 사건들에 느슨하게 참여하기는 하지만, 주어진 사건 관계를 다르게 해석하며, 통일적인 반응, 즉 특정한 세대위치에서 결합한 개인들이 상술한 의미에서 형성했던 표현과 형상을 받아들인다. 따라서 동일한 실제 세대라는 범주 안의 양극에서 적대적으로 다투고 있는 다수의 세대단위들이 형성될 수 있다. 이들이 서로 다투면서도 조화를 이루기 때문에, 여러 세대단위들은 하나의 

'실제세대'를 구성한다. _ 카를 만하임, <세대문제> , p103/254


  1970년대와 1980년대의 군사정권 시기, 1990년대 3저 호황과 IMF, 2000년대 초반 신용카드 위기와 글로벌 외환위기를 모두 경험한 세대와 부분적으로 경험한 세대. 이들이 세상을 바라보는 시각이 다를 것은 어쩌면 당연할 것이다. 서로 다른 경험으로 부터 얻어진 신념. 그것이 가치관이 되고 개인의 가치관이 집단의 시대정신으로 나타난다고 했을 때, 명희가 읽어낸 '세대의 종언'은 과연 있는 것일까. 


 새로운 청년세대가 사소한 변화를 새롭고 중요한 것으로 경험하면 할수록, 새로운 자극으로 무장한 더 많은 매개자들이 가장 나이 많은 세대의 가치체계와 가장 나이 어린 세대의 가치체계 사이에 슬며시 끼어들게 된다. 변동들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 생명적 반응의 기초 자산은 그 자체로 남아 있다. 청년세대와 나이 든 세대가 끊임없이 상호작용을 하면 차이가 줄어드는 반면, 전이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면 안정적인 시기에는 변화가 마찰 없이 행해진다. _ 카를 만하임, <세대문제> , p92/254


 유기체와 세포들. 유기체를 구성하는 수많은 세포들은 일정 시간이 흐른 후 소멸되지만, 유기체 자체의 생명은 지속되는 것을 보면서 어쩌면'세대의 종언'은 처음부터 없는 것은 아닐까를 생각해본다. 마치 처음부터 없었던 것처럼 다른 세대로 자연스럽게 대체되며 사라지기에 우리는 종언 자체를 볼 수 없는 것은 아닐까. 한 세대가 다른 세대로 자연스럽게 대체되는 것을 종언 또는 죽음이라고 한다면, 개인적으로 <토지18>에서 또다른 죽음의 모습에서 세대의 종언을 발견한다. 바로 조준구의 죽음이다.


 몽치는 부릅뜬 조준구의 눈을 쓸어서 감겨주었다. 끔찍했을 뿐만 아니라 삶의 기능, 존재했던 육체의 마지막 한 오리 한 방울까지 훑어내고 짜내버린 종말의 모습은 너무나 처참했고 머리끝이 치솟는 것 같은 공포감을 안겨주었지만 한편으로는 깊은 연민을 느끼게 했다. 생명에 대한, 인생의 덧없음에 대한 연민이었다. 호박덩이 같았던 두상은 쪼그라져서 조그맣게 돼 있었다. 몸도 줄어들어서 아주 작아져 있었다. 손가락은 모두 펴진 채, 그 다섯 손가락은 갈고리처럼 굽어져 있었다. 삼 년을 넘게 병상에 있었는데 어쩌면 조준구의 마지막 일 년은 살아 있었다기보다 죽음을 살았는지 모른다. 죽은 후의 과정이 살아 있는 상태에서 진행되었으니 말이다. 시신을 씻을 때 욕창으로 탈저(脫疽)된 부분이 문적문적 떨어져나왔고 썩은 냄새가 코를 찔렀다. 수의를 입히고 갈고리같이 된 손가락을 펴고 두 팔을 가지런히 한 뒤 염포(殮布)로 묶고, 그러는 동안 몽치는 땀을 많이 흘렸다... 곡성은 마치 한 줄기 빛이 되어 시공을 뚫고 저 머나먼 저승의 나라, 명부(冥府)의 캄캄한 삼도천까지 울리어 가고 있는 듯 이상하고도 이상한 귀기를 자아내고 있었다. _ 박경리, <토지 18> , p212/562


  사실 <토지>에서 조준구는 이미 서희가 용정에서 진주로 내려온 <토지> 중반 이후부터 거의 죽은 인물과 다름 없었다. 평사리 집을 오천원에 넘기고 그 돈으로 재기에 성공한 조준구지만, 이와는 별개로 그는 이미 잊혀진 인물이었다. 이 잊혀진 악한의 생물학적인 죽음은 작품의 막바지인 <토지 18>에서 비로소 이루어지는데, 조준구의 죽음은 생물학적인 죽음 이전에 평사리에서 떠난 시점에서 실제적으로 이뤄졌던 것은 아닐까. 조준구의 두 죽음 - 실제적인 죽음과 생물학적인 죽음 - 이야말로 한 세대의 종말을 잘 설명한다는 생각이 든다.


 이번 주 토지독서챌린지를 통해 한 세대의 종언과 세대 문제를 떠올리게 된다. 세대 종언이 세대의 완전한 퇴장이 아닌 '자연스러운 물러남'이라면, 우리는 '청년-노년'의 단절적 구분 대신 이들이 만들어내는 '시대'로 시선을 돌릴 수 있을 것이다. 서로 다른 경험으로 만들어진 각각의 세대들이 만들어가는 한 시대. 시대를 구성하는 세대가 이질적이라면 헤겔(Georg Wilhelm Friedrich Hegel, 1770~1831)이 말한 '시대정신 Zeitgeist' 역시 그 시대를 살아가는 이들에게는 다르게 표상되는 것이 아닐까. 그리고, 이러한 상대성을 인정했을 때 세대갈등의 문제에 좀 더 유연한 자세로 접근할 수 있는 것은 아닐까.


  페이퍼의 마지막은 모리스 블랑쇼(Maurice Blanchot, 1907 ~ 2003)의 <죽음의 선고>로 끝내려 한다. '죽음'을 소재로 한 다소 몽환적인 이 작품에서 '세대갈등'을 떠올린다면 다소 엉뚱할 수도 있겠다. '나'와 '그녀'의 부름과 다가옴이라는 사건에서 개인적으로  서로 다른 경험으로 만들어진 각 세대들의 절대세계가 하나의 사건을 통해 접점이 만들어는 과정이 연상된다. 이처럼 서로 다름을 확인한다면, 이러한 멀티 유니버스(Multiverse)에서 다양한 가치의 공존은 어떻게 가능할 것인지에 대한 고민은 문제 해결을 위한 출발점이 될 수 있을까.



 "이제 그것이 여기 있고 당신이 열어 보았고, 그것을 보았기 때문에 당신이 당신의 영원과 나의 영원을 위해 영원히 살아 있는 것을 정면으로 보았다는 것! 그렇소, 알아요. 알아. 나는 벌써 알고 있었소." 나는 이 말들이나 다른 비슷한 말들이 그녀의 귀까지 도달하기는 하였는지, 어떤 정신으로 내가 그 말들을 그녀에게 듣게 만들었는지 정확하게 말할 수는 없다. 그것은 부차적인 문제다. 마찬가지로 그 일들이 정말 그렇게 일어났는지를 아는 것도 무의미했다(p100)... 그리하여 이 너무 큰 힘, 그 무엇으로도 무너뜨릴 수 없는 힘이 우리를 어쩌면 한없는 불행으로 몰아넣을 수도 있다. 그러나 만일 그렇다면 이 불행, 나는 그것을 기꺼이 짋어지고 무한히 그것을 즐기며, 그녀에게 나는 영원히 말한다. "이리 와." 그리고 영원히 그녀는 여기에 있다. _ 모리스 블랑쇼, <죽음의 선고>, p102


 <죽음의 선고>의 유일한 사건은 "이리 와"라는 부름과 그에 답하는 다가옴이다. 내가 그녀에게 "이리 와"라고 말하고 그녀가 다가오는 그 사건은 금기를 위반하게 반드는 열망이 없으면 불가능한 두 절대적 세계의 만남이다... 경계와 한계 너머로 건너오라는 부름에 몸을 던져 무한한 움직임으로 답하는 만남의 사건은 모든 이야기의 유일한 사건이다. 블랑쇼는 만남이란 죽음을 건너야 하는 위험한 사건임을 상기시킨다.. _ 모리스 블랑쇼, <죽음의 선고> - 옮긴이 후기 - ,  p10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신이 듣건대 이아자(李亞子, 이존욱)가 자리를 계승한 이래로 지금까지 10년 동안 성을 공격하고 들판에서 싸우면서 친히 화살이나 돌과 맞서지 않은 적이 없었지만 최근에는 양유(楊劉, 산동성 동아현 동북쪽, 옛 황하 남쪽 기슭 나루)를 공격하면서 몸소 땔나무를 짊어지고 사졸보다 앞장을 서서 한 번 북을 두드리고서 그곳을 뽑았습니다.

폐하께서는 부드럽고 고아하여 학문을 지키며 편안히 만족해하시면서 하괴(賀?)의 무리로 하여금 그들을 대적하게 하여 노략질하는 원수를 물리치기를 희망하고 있지만 신이 알 바가 아닙니다. 폐하께서는 의당 많은 노인들에게 자문하여 다른 대책을 강구하십시오.

애초에, 촉주가 비록 당의 제도를 이어받아 추밀사를 두고 오로지 사인(士人)을 기용하였지만 당문의가 죄를 짓게 되자 촉주는 제장들이 대부분 허주(許州, 하남성 허창시)의 옛 사람들이었기 때문에 그들이 어린 주군을 위하여 쓰이지 않을까를 두려워하였으니, 그러므로 송광사에게 이를 대신하게 하였다. 이로부터 환자(宦者)들이 용사(用事)하게 되었다.

조왕(趙王) 왕용(王鎔)과 왕처직(王處直)이 모두 사자를 파견하여 편지를 보내어 말하였다. "원원(元元, 백성)의 목숨은 왕에게 달려 있고 본 조정[당]의 중흥도 왕께 달려 있는데, 어찌하여 스스로 가볍게 이와 같이 하십니까?" 왕이 웃으면서 사자에게 말하였다. "천하를 평정하는 사람이 백번 싸우지 않고서 어느 곳으로부터 그것을 얻겠는가? 어떻게 깊은 유방(?房)에 살면서 스스로 살을 찌우겠는가?"

엄가구가 이미 명령을 받고 나서 금릉(金陵, 남경시)에 도착하자 서온을 만나서 그에게 유세하였다. "우리는 당의 정삭(正朔)을 받들고서 항상 부흥할 것을 말거리로 삼았습니다. 지금 주(朱)와 이(李)가 바야흐로 다투다가 주씨가 날로 쇠퇴하고 있으며 이씨는 날로 솟고 있습니다. 어느 날 아침에 이씨가 천하를 소유하게 되면 우리가 북쪽으로 얼굴을 돌리고 그의 신하가 될 수 있겠습니까? 먼저 오를 건설하여 백성들의 희망을 묶는 것만 같지 못합니다."

주덕위가 말하였다. "적이 두 배나 빠르게 왔고 아직 거처할 곳이 없으며 우리 군영의 목책은 이미 견고하니 지키고 준비하는데도 여유가 있으며, 이미 적의 경계로 깊이 들어왔으니 행동에는 반드시 만전을 기하고 가볍게 출동해서는 안 됩니다. 이곳은 대량과의 거리가 지극히 가까워서 양의 군사들이 각기 그의 가족을 생각하고 마음속으로 분노를 품고 격노하면 방략(方略)을 가지고서 그들을 제압하지 못하면 뜻을 얻기가 어려울까 두렵습니다. 왕께서는 의당 군사들을 억눌러서 싸우지 말게 하고, 저 주덕위가 청컨대 기병을 데리고 그들을 어지럽게 하여 저들로 하여금 휴식을 하지 못하게 하고, 저물 때까지 군영과 보루를 아직 세워지지 못하게 하고, 땔나무와 불 땔 준비가 갖추어지지 않게 하여, 그들이 피곤하고 지친 것을 이용하면 한 번에 멸망시킬 수 있습니다."

무릇 승부를 결정지으면서 적을 헤아리는 것은 오직 정세만을 관망하여야 하는데, 정세가 이미 얻어진다면 결단코 의심하지 않는데 있습니다. 왕의 성패는 이 한 번의 전투에 달려 있으니, 만약 결심하고 힘써서 승리를 빼앗지 아니하면 나머지 무리를 마음대로 거두어 북쪽으로 돌아간들 하삭(河朔, 화북대평원)은 왕의 소유가 아닙니다."

서온이 탄식하며 말하였다. "천하가 흩어지고 혼란한 지가 오래되어 백성들의 곤핍함이 이미 심한데, 전공(錢公)도 역시 아직은 쉽게 가벼이 할 수 없으며, 만약 계속되는 전쟁이 해결되지 않으면 바야흐로 여러분의 걱정거리가 될 것이오. 지금 전쟁에서 승리하여서 그들을 두렵게 하고 있는데, 전쟁을 그치고 그들을 품어서 두 지역의 백성들로 하여금 각기 그들의 직업에서 편안히 하고, 임금과 신하들은 베개를 높이 베게 한다면 어찌 기쁘지 않겠소? 많이 죽여서 무엇을 한단 말이오!" 드디어 이끌고 돌아갔다.

애초에, 당이 고려[고구려]를 멸망시키고 천우(天祐)초에 고구려의 석굴사(石窟寺)의 애꾸눈 승려인 궁예(躬乂)가 무리를 모아서 개주(開州, 개성시)를 점거하고 왕이라 칭하고 대봉국(大封國)이라 불렀는데, 이에 이르러 좌량위(佐良尉)인 김입기(金立奇)를 파견하여 오에 들어가서 공물을 바쳤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진왕이 역루(驛樓)에 올라가서 그에게 말하였다. "너는 주군인 우두머리를 능멸하고 위협하였으며, 백성들에게 잔혹하고 포학하여 며칠 사이에 말머리에 와서 원통함을 호소하는 사람이 100여 무리였다. 나는 지금 군사를 일으켜 와서 백성을 편안히 하는 것이지 남의 토지를 탐하는 것이 아니다. 너는 비록 나에게 공로가 있다고는 하나 나는 하는 수 없이 너를 죽여서 위주의 사람들에게 사죄해야 한다."

드디어 장언과 그의 패거리 7명의 목을 베자 나머지 무리는 두려워서 떨었다. 왕이 그들을 불러 달래며 말하였다. "죄를 주는 것은 여덟 명에 그치고 나머지에게는 물을 것이 없다. 지금으로부터 마땅히 힘을 다하여 나의 조아(爪牙)가 되어 달라." 무리가 모두 엎드려 절하며 만세를 불렀다.

유심이 낙평(樂平, 산서성 석양현)에 도착하였는데 구량(?糧)이 또 다 떨어졌으며, 또 듣기로는 진이 대비하고 있고 추격하는 군사가 뒤에 있다고 하자 무리들이 두려워하여 곧 무너지려고 하니 유심이 그들을 달래며 말하였다.

"지금 집에까지의 거리는 1천 리이며 적의 경계로 깊이 들어와서 앞뒤로 군사가 있고 산과 골짜기는 높고 깊어 마치 우물 속으로 떨어지는 것과 같은데, 떠나간들 장차 어디를 가겠는가? 오직 힘써 싸워야만 거의 벗어날 수 있으며 그렇지 않으면 죽음으로써 임금과 어버이에게 보답할 뿐이다." 무리들이 울음을 멈추었다.

신은 지금 물러나 신현(莘縣, 산동성 신현)을 지키면서 병사들을 먹이고 군사들을 훈련시키면서 나아가 빼앗을 날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보건대 그들의 군사 수는 매우 많고 말 타기와 활쏘기를 잘 익혔으니 진실로 강한 적이 되어 쉽게 가벼이 여겨서는 아니 됩니다. 진실로 틈이 있으면 올라탈 수 있는 것이지 신이 어찌 감히 안일함을 도둑질하다가 적구(敵寇)를 기르겠습니까?"

거란왕(契丹王) 야율아보기(耶律阿保機)는 여러 부의 군사 30만을 인솔하고 ‘백만 명’이라고 부르면서 인(麟, 섬서성 신목현)과 승(勝, 내몽고 탁극탁현)에서부터 진의 울주(蔚州)를 공격하여 그곳을 함락시키고 진무(振武, 치소는 삭주)절도사 이사본(李嗣本)을 사로잡았다

매년 일찍이 수확하여 청야(淸野)하고 성벽을 견고하게 하고서 거란을 기다렸는데, 거란이 도착하면 번번이 성벽을 폐쇄하고 싸우지 아니하고 그들이 떠나가기를 기다렸다가 날쌔고 용감한 사람을 뽑아서 좁은 곳을 점거하고 그들을 맞게 하여 거란이 항상 이로움을 잃고 도주하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황제는 이사안(李思安, 상주 자사)이 지난해 공궤하는 일에서 부족하였던 것이 있었음을 미루어 생각하여 유주(柳州, 광서성 유주현)사호(司戶)로 깎고 헤어지는 인사말에서 단명원의 능력을 칭찬하여 말하였다.
"단명원이 충성스럽고 근면한 것이 이와 같은 것을 보니, 이사안이 패려하고 오만함이 어떠하였는지를 알겠다."

어떤 사졸이 분발하여 말하였다.
"적은 백향(柏鄕, 하북성 백향현)에서 죽고 패배한 이래
로 우리 진주(鎭州, 하북성 정정현) 사람 보기를 성이 나서 흘겨보듯 하는데, 지금 가서 그들에게 귀부하는 것은 스스로를 호랑이나 이리의 입 속으로 던져 넣는 것과 같을 뿐입니다. 곤궁(困窮)함이 이와 같으니, 어디에다 몸을 쓰겠습니까? 제가 청컨대 가서 이를 시험해 보겠습니다."

당시에 여러 주의 장리(長吏)들이 대부분 무부(武夫)였는데, 오로지 군사업무에만 힘쓰게 되고 백성들의 일에는 근심하지 않았지만, 서지고는 승주에 있으면서 홀로 청렴한 관리를 선발하여 등용하고 정치와 교육을 닦아서 밝혔으며, 사방의 사대부들을 불러들이고 가산(家産)을 기울여 아끼는 바를 없이 하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