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량 정체로 평소보다 늦게 귀가해서 밤참을 먹으니 어느덧 자정을 넘긴 시각이다. 종종 그러듯이 군만두를 먹으며 오늘 배송받은 책의 책장을 넘겼는데, 함정임 작가의 <무엇보다 소설을>(예담)이다. 문학에세이, 특히 소설만을 다루고 있으니 소설(에 관한)에세이로 분류할 수 있는데 저자가 직접 소설의 배경이 되는 장소를 직접 발로 찾아가 찍은 시진들이 곁들여져 있다. 여행에세이이기도 한 것.
미처 의도하지는 않았는데 책장을 넘기다 보니 문학기행 거리를 구상하는 데도 도움이 된다(당장 일본문학기행이 하루 앞으로 다가왔다). 예컨대 맨 첫 장에 나오는 쿠바 아바나의 코히마루 포구만 하더라도 그렇다. 헤밍웨이의 <노인과 바다>(1952)를 수차례 강의했지만(바로 지난주에도!) 그 무대라는 코히마르를 찾아볼 생각은 하지 못했다. 그저 ‘쿠바의 아바나‘ 정도로 충분했던 것. 하지만 쿠바로 헤밍웨이의 자취를 찾아 떠난다면 이런 풍광과 맞닥뜨리게 된다는 걸 저자는 알려준다.
‘코히마르‘는 ‘전망 좋은 곳‘이란 뜻이라고 한다. 아바나 도심에서 카리브해 연안을 차를 타고 20여분 달리면 헤밍웨이의 단골식당 ‘라 테라사‘에 도착하고 마을 안길을 걸어 바닷가로 향하게 되면 만나게 되는 풍경이다. 작가는 그곳에서 현지의 노인과 소년을 마주치면서 무척 반가워 한다. ˝노인이, 그리고 소년이 함께 있는 바닷가 포구에는 그들과 나, 그리고 하늘과 바다뿐이었다. 나는 행운의 여행자였고, 나는 그 행운을 사랑했다.˝
물론 이런 여정과 감회를 낳은 것은 <노인과 바다>이고 작품이 빚어낸 환영이다. ˝만약 헤밍웨이의 <노인과 바다>가 없었다면, 그리하여 태평양을 건너, 멀고 다양한 경로를 밟아 이곳까지 오는 동안 그의 소설과 함께하지 않았다면, 나는 그들을 보는 순간 감지하지 못했을 것이다. 그들이 누구이고 어떤 관계인지를 떠나 그들이 자신만큼, 혹은 그 이상 서로를 얼마나 사랑하고 있는지를.˝
그렇게 문학기행은 발견의 여정, 사랑의 여정이 된다. 문학을 향유하는 또 한 가지 방식이 된다...
![](http://image.aladin.co.kr/product/10363/92/cover150/8959134740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1460/9/cover150/8954617298_2.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1514/61/cover150/8932911983_1.jpg)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8/0123/pimg_7537481531824512.jpg)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8/0123/pimg_7537481531824513.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