솔제니친(솔제니찐)의 <수용수군도>(전6권)가 리커버판으로 재출간되었다. 오래 고대한던 일이라 반갑기 짝이 없다. 추천사 요청에 망설임 없이 응한 이유다. 알라딘의 이벤트 페이지에 실은 추천사를 여기에도 옮겨놓는다...

러시아혁명 100주년을 기념하는 책들이 올해 다수 출간되었고. 나대로는 <로쟈의 러시아문학 강의 20세기>를 통해서 내 몫의 입막음은 했다고 자부한다. 20세기 러시아문학 소개서를 쓰면서 내가 그린 그림은 ‘고리키에서 솔제니찐까지’라는 것이었다. 고리키의 <밑바닥에서>(1902)부터 솔제니찐의 <수용소군도>(1973)까지. 그러면서 유감스러워 한 것은 한때 완역되었던 전6권 가운데 1권만이 겨우 출간돼 있는 사실이었다.

언젠가 대학에서 이 작품을 강의하면서도 1권만을 읽힐 수밖에 없었는데, 딴은 학생들에게 다행스러운 일이었는지 모르겠지만 나로선 뭔가 부족하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었다. 그러나 갈망하면 이루어진다던가. 무려 22년만에 전6권이 새로운 장정으로 다시 출간된다. ‘서프라이즈’한 일이자 러시아혁명 100주년을 마무리하는 멋진 피날레라고 생각한다. 더불어 내년에 탄생 100주년이 되는 작가 솔제니찐의 위업을 미리 기념하는 의미도 갖겠다. 

솔제니찐은 다른 어떤 작품보다도 중편 <이반 데니소비치의 하루>(1962)로 기억된다. 주인공 이반 데니소비치 수호프가 수용소에서 보낸 하루, 심지어 아주 행복하기까지 한 하루를 정밀하게 묘사하고 있는 이 데뷔작으로 솔제니찐은 당시 소련사회에 큰 충격을 던졌다. 겉으로는 사회주의 유토피아를 표방했지만 실제는 거대한 수용소 국가라고 폭로한 이 단 한 작품만으로 솔제니찐은 20세기의 가장 중요한 작가 중 한 명으로 부상한다.

그렇지만 <이반 데니소비치의 하루>는 일종의 맛보기였다. 솔제니찐은 이 문제작을 발표하기 전부터 ‘수용소의 하루’가 아니라 ‘수용소의 모든 것’을 집약하는 대작을 준비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1973년 프랑스의 파리에서 처음 출간되지만 실제로는 1958년부터 68년 사이에 집필한 <수용소군도>가 그것이다. 이 작품의 해외 출간이 결정타가 되어 솔제니찐은 결국 소련에서 추방당한다.

<이반 데니소비치의 하루>가 솔제니찐 문학의 선발대였다면, <수용소군도>는 바야흐로 본진에 해당한다. 실제로 2차세계대전이 끝나갈 무렵 사소한 빌미로 체포되어 8년간 수용소 생활을 했던 솔제니찐은 이 부조리하고 야만적인 체제의 알파와 오메가를 모두 기록하기로 작정한다. 당대 사회의 거대한 벽화를 그리고자 했던 발자크적 기획의 솔제니찐판이라고 할까.

1917년 러시아혁명으로 탄생했다가 1991년 역사의 무대에서 퇴장한 소련은 어떤 국가였던가. 누군가 내게 묻는다면, 나는 두 권의 소설(이라기보다는 논픽션)을 지목하고 싶다. 솔제니찐의 <수용소군도>와 알렉시예비치의 <세컨드핸드 타임>이다. 현실 사회주의, 곧 실제로 존재했던 사회주의 체제의 실상을 그 두 작품은 여실히 증언한다. 문학이 언제 위대질 수 있는가. 나는 이런 작품들과 함께할 때라고 생각한다. 위대한 기록, 위대한 증언, 위대한 고투를 읽는 시간은 우리에게도 결코 사소할 수 없는 시간이다. 바야흐로 우리에게도 <수용소군도>를 읽는 시간이 오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