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여름에는 실내온도가 26도만 돼도 좋겠다 싶었는데 막상 26도까지 내려가니 2도쯤 더 내려가야 쾌적할 것 같다. 분명 그 이하로 내려가서 추위에 난방을 궁리할 때도 올 것이다. 그럼 겨울을 맞이하고 한해가 끝날 터이다. 그 전에 두어 권의 책이 더 나왔으면 하는데, 결과는 두고봐야겠다(그런 식으로 계산하니 앞으로 20권 정도의 책을 더 내면 노년으로 접어들겠다 싶다. 그중에는 역작이라고 할 만한 책도 포함돼 있는데 어제는 ‘인생의 책‘을 쓰고 난 뒤에 어떤 심정이 될까 궁금했다. 보통 40년 가량의 직장생활을 하다가 퇴직하는 기분 같을까? 보람과 만감이 교차하는?).

<마의 산> 강의를 앞두고 안진태 교수의 <토마스 만 문학론>(열린책들, 2009)을 펼쳐놓고 있다. 내일은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도 종강이다. 괴테부터 시작한 상반기 독일문학 강의가 그렇게 일단락된다. 가을에는 러시아문학 강의를 하며 다시 힘을 비축할 참이다. 지난해 프랑스문학에 이어서 올해 독일문학 ‘일주‘를 하며 세계문학의 지형을 숙지하게 된 것이 나로선 성과이다. 그래서 어떤 문학이론서이든 막힘없이 읽을 수 있겠다 싶다(궁극적으로는 나대로의 문학론을 한권 쓰는 것도 계획하고 있다).

문제는 그렇게 많은 책을 읽고 강의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읽지 않은 작품이 많은데다가 새로운 책은 또 끊임없이 쏟아져 나온다는 것. 그래서 든 생각은 미래의 서평가에게는 읽을 책을 알려주는 게 아니라 안 읽어도 되는 책을 일러주는 게 더 중요한 노릇일지도 모른다는 것. 알아서들 안 읽고 있으니 상관없다? 중요한 건 읽을 책은 읽고 안 읽어도 되는 책은 내버려두는 것이다. 말은 그렇지만 그걸 가려내는 건 만만치 않다.

할일이 많은 틈에 엉뚱한 고민인 것도 같다. 서평가의 사소한 고민이라고 해두자. 앞서 두권의 서평집을 냈고 올해 안으로 (마지막이기 쉬운) 세번째 서평집을 내려고 한다(내년에는 강의형식의 서평을 모은 강의서평집을 내려고 한다). 누구를 위한 서평(집)인가 궁리하다 보니 요즘은 점점 회의적이게 된다. 하기야 현역에서 물러났으면 근심은 접어두는 게 옳을지도 모른다. 다른 이들이 알아서들 잘할 테니까. 진퇴를 잘 하는 것도 처세술의 필수다. 그저 날이 조금만 더 선선하면 책읽기가 수월하겠다는 말을 나는 적으려던 것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