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를 넘기기 전에 '이주의 저자'를 골라놓는다. 몇 가지 선택지가 있었지만 역사학자 3인을 선택했다. 먼저 <북한 현대사 산책>(전5권, 인물과사상사, 2016)을 펴낸 안문석 교수. 권별 제목으로는 '해방과 김일성 체제'부터 '김정은과 북핵 위기'까지다(알라딘에서는 4권의 이미지가 1권 이미지로 잘못 떠 있다).
"전북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안문석 교수가 원고지 5,500매 분량으로 북한 현대사를 전5권으로 집필했다. 국내 최초로 북한 현대사를 사건과 사실과 기록을 바탕으로 가장 객관적으로 집필한 것이다. 수많은 자료에서 사실(史實)을 찾아내서 기자의 눈과 학자의 눈으로 북한 현대사를 꿰뚫고 있다. 북한의 대표적인 역사서인 <조선통사>, <조선전사> 등과 <김일성 선집>, <김일성 저작 선집>, <인민의 지도자>, <김정일 위인상> 등 북한 자료의 진위를 정밀하게 파악하고 통찰력 있게 북한 현대사를 분석했다. 또한 남한의 학자들의 논문과 단행본, 조선인민군의 수기를 통해 균형 잡힌 시각과 안목으로 왜곡되고 잘못된 사실들을 바로잡기도 했다."
저자는 KBS 기자로 재직하다가 늦은 유학길에 올라 국제정치학을 전공하고 대학에 재직중이다. <대통령과 골프>(인물과사상사, 2015) 같은 책이 나왔을 때는 이런 주제도 책이 되나, 의구심이 들었는데 북한 현대사에 관한 규모 있는 책을 따로 준비해온 모양이다. 강준만 교수의 <한국 현대사 산책>처럼 속도감 있게 읽히지 않을까 싶다.
서양사학자 임지현 교수가 오랜만에 책을 펴냈다. <우리 안의 파시즘>(삼인, 2016)처럼 재출간된 공저를 제외하면 <새로운 세대를 위한 세계사 편지>(휴머니스트, 2016) 이후인 듯싶다. <역사를 어떻게 할 것인가>(소나무, 2016). '어느 사학자의 에고 히스토리'가 부제. 역사학자 혹은 '기억활동가'로서 저자가 자신의 학문을 회고하고 있는 특이한 종류의 책이다.
"이 책은, 임지현이라는 기억 활동가가 지금껏 꾸불꾸불 걸어온 학문 여정을 기록한 자신의 에고 히스토리(ego-history)이자 퍼블릭 히스토리(public history)이다. 이 책이 지향하는 에고 히스토리는, '임지현이 만든 역사'에 대한 성찰과 '임지현을 만든 역사'에 대한 분석이 씨줄과 날줄로 얽혀 있는 역사이다. 그리고 임지현이라는 한 역사가가 역사적 행위자로서 어떻게 역사 지식의 생산과 소비, 유통에 참여해 왔는가에 대한 지성사적 고찰을 요구한다."
내가 기억하는 임지현은 <바르샤바에서 보낸 편지>(강, 1998), <민족주의는 반역이다>(소나무, 1999)의 저자로서인데, 어느덧 20년이 되어 간다. 요즘처럼 빛의 속도로 나이를 먹어 가는 시대에는 바로 엊그제 일인지도 모르겠지만 감회가 없지 않다. 하기야 지난 세기가 아니었던가 말이다!..
국사편찬위원회 위원장을 역인한 바 있는 국사학자 정옥자 교수(현재는 서울대 명예교수)도 신간을 펴냈다. <사임당전>(민음사, 2016). 날짜로는 한달 전이다.
"이 책은 후세 사람들에 의해 사임당에게 덧씌워진 여러 이미지에 대한 논란은 접어 두고 사임당의 실제 삶에 초점을 두어 살펴본다. 사임당이라는 인물이 실제 어떤 사람인지, 어떻게 살았는지 일생을 알아보고 사임당이 남긴 작품들을 면밀하게 들여다본다. 이 책의 저자 정옥자는 여성으로서는 처음으로 서울대 국사학과 교수로 임용되었고 규장각 관장을 지냈으며, 2016년 현재는 서울대학교 명예교수로 있다. 우리나라 역사학계에서 '최초 여성'이었던 저자가 그려 내는 조선 시대 여성 선비의 전범(典範), 사임당의 진정한 모습을 <사임당전>에서 만나 본다."
신사임당 평전이 그간에 없지 않았지만(주로 어린이용이 많았다) 조선 후기사 권위자의 저작인 만큼 신뢰감을 갖게 된다.
올해 사임당 관련서가 몇 권 나왔는데, 같이 모아서 읽어봐도 좋겠다...
16. 12.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