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윈의 대표작 두 권의 제목을 차례로 적은 것은 예기치 않게도 <종의 기원>(한길사, 2014) 새 번역판이 나왔기 때문이다. 과학계에서 인정하는 '정본' 번역본이 나오길 기대하고 있었는데, 이에 준하는 판본이 될지 궁금하다. 역자는 <인간의 유래>(한길사, 2006)를 먼저 옮긴 바 있는 김관선 교수다. 덧붙이자면 마크 리들리의 <HOW TO READ 다윈>(웅진지식하우스, 2007) 번역자이기도 하다. 새 번역본의 의의는 어떤 것인가.

 

<종의 기원>은 다윈 생전에 모두 여섯 개의 판이 출간되었다. 대부분의 연구서는 판을 거듭할수록 새로운 내용이 첨가되거나 이전 내용에 수정이 가해지게 마련이다. 그런데 <종의 기원>은 당시 워낙 논란의 중심에 있었기 때문에 다윈은 판을 거듭하면서 자신의 견해를 조금 더 부드럽게 표현하려고 했고, 일부 내용은 삭제했다. 한길사에서 다윈의 <인간의 유래>를 번역 출간하기도 한 역자 김관선(페어리디킨슨 대학교 강사· 생물학)은 <종의 기원>의 초판본이 다윈의 의견을 가장 잘 반영한 것으로 보고 이를 한길그레이트북스 133권 <종의 기원>으로 펴냈다. 또 과학적 전문 지식이 없어도 누구나 쉽게 읽고 정확히 이해하도록 최대한 잘 읽히는 우리말 번역본을 내놓으려 노력했다.    

 

현재 시중에 나와 있는 완역본은 송철용 교수가 옮긴 동서문화사판 <종의 기원> 정도다(왜 그런지는 모르겠지만 여러 버전의 표지로 출간됐다). 그리고 가이드북으로는 재닛 브라운의 <종의 기원 이펙트>(세종서적, 2012)와 박성관의 <종의 기원, 생명의 다양성과 인간 소멸의 자연학>(그린비, 2010), 그리고 청소년용으로는 심원의 <청소년을 위한 종의 기원>(두리미디어, 2010), 윤소영이 풀어쓴 <종의 기원>(사계절, 2004) 등을 참고할 수 있다.

 

사실 자연과학의 고전은 인문고전과는 달리, 한 문장 한 문장 꼼꼼히 따져가며 읽어야 하는 건 아니다. 전체적인 대의를 간취했다면, 나머지 대목에선 편안하게 책장을 넘겨도 좋은 것. 장서용의 의미가 크다는 것이다. 더 바란다면 다윈에 관한 이차문헌에서 인용할 만한 번역본이 나왔기를 기대한다...

 

14. 12. 2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