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의 저자'를 골라놓는다. 밀린 일들이 남아 있지만 금요일 밤은 그래도 휴식 같은 느낌을 준다. 지방에 다녀오면서 내내 잔 덕분에 덜 피로한 것인지도 모르겠다. 이번 주는 해마다 책을 내는 '단골 저자'들이다. 책이 나올 때마다 언급하게 되는 듯싶다.

 

 

먼저, '재일' 강상중. 소개를 보니 직함이 바뀌었다. 도쿄대 교수에서 세익쿠인 대학 학장으로. 이번에 나온 책은 <사랑할 것>(지식의숲, 2014).'혼돈의 시대를 어떻게 살아갈 것인가'가 부제다. "<고민하는 힘>과 <살아야 하는 이유> 이후, 더 많이 단단해진 강상중이 현대 사회의 다양한 문제와 에피소드를 통해 이 시대가 안고 있는 고민과 어려움, 아픔, 과제를 이야기하고 있다." 작년엔 <도쿄 산책자>(사계절, 2013), 그리고 재작년엔 <살아야 하는 이유>(사계절, 2012)가 있었다면 올해는 <사랑할 것>이다(출판사는 바뀌었군). 재외 학자로 이렇게 꾸준이 소개되는 경우는 <피로사회> 이후의 한병철 교수와 함께 손에 꼽을 만하다(더 꼽자면 서경식 교수 정도).

 

 

그리고 강신주. <매달린 절벽에서 손을 뗄 수 있는가?>(동녘, 2014)에 연이어서 <강신주의 노자 혹은 장자>(오월의봄, 2014)가 나왔는데, 구간 두 권을 합본한 책이다. 박사학위논문을 근간으로 한 <장자: 타자와의 소통과 주체의 변형>(태학사, 2003)과 그와 짝이 되는 <노자: 국가의 발견과 제국의 형이상학>(태학사, 2004)가 그 두 권이다. 아직 강신주라는 이름이 대중에게 널리 알려지기 이전에 나온 책이고, 나는 노자에 관한 책들을 읽을 무렵에 구해서 읽은 기억이 난다.

 

목차를 보니 출간순서와는 반대로 노자-장자 순으로 돼 있다. 통상 노장사상, 노장철학이라고 묶여서 언급되지만 강신주의 기본 입장은 노자와 장자의 철학이 전혀 다르다는 것이다. 그러면서 노자를 제국의 형이상학이라고 부정적으로 자리매김하고 장자는 그와 다르게 소통의 철학으로 높이 평가한다. "기존 동양철학 연구자들이 주장하는 것과는 아주 딴판이며 그래서 상당히 논쟁적이다. 거침이 없이 발언하는 그의 기질이 잘 반영되어 있는 책이라고 할 수 있다." 그냥 강신주 철학이라고 해도 무방하리라.

 

 

그리고 동양철학자로서 장자 전공자인 최진석 교수. 그의 노장철학 독법이 <저것을 버리고 이것을>(소나무, 2014)이란 제목으로 나왔다. "최진석의 노장 철학 독법. 서강대 철학과 최진석 교수가 최근 15년간 발표한 논문과 비평문 등 17편의 글을 골라서 수록한 것으로, 이전 책 <인간이 그리는 무늬>에서 유려하고 맹렬하게 펼쳐졌던 최진석 사유의 뿌리를 만져 볼 수 있다." 노장철학 독법이라는 점에서는 강신주의 책과 비교해서 읽어봐도 좋겠다...

 

14. 07. 2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