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권의 다시 나온 책 얘기다. 빅터 J. 스탠저의 <신 없는 우주>(바다출판사, 2013)와 오스카 루이스의 <산체스네 아이들>(이매진, 2013). 먼저 <신 없는 우주>는 <물리학의 세계에 신의 공간은 없다>(서커스, 2010)가 다시 나온 것이다. 원제는 <신(God)>.

 

 

책소개는 이렇다. "세계적인 천체물리학자 빅터 스텐저가 물리학적 관점에서 지적설계론의 허구성을 파헤쳤다. ‘신은 존재한다’는 기독교 창조론자들의 주장을 과학적 사실을 근거로 제시하면서 통쾌하게 반박한다. 특히 이 책은 종교와 과학 논쟁의 전선을 기존의 생물진화학에서 물리학으로 넓혔다는 점에서 빛난다." 비슷한 주제의 책을 쓴 저자들을 떠올리지 않을 수 없는데, 리처드 도킨스, 크리스토퍼 히친스, 샘 해리스 등이 그들이다. 도킨스는 이렇게 말했다.

 

 

다윈이 생물학이라는 오랜 서식지로부터 신을 몰아내자, 쫓겨난 신은 물리학이라는 토끼굴로 허둥지둥 피신했다. 그들은 우주의 법칙과 상수들은 사실이기엔 지나치게 훌륭하며, 생명이 진화하도록 세심하게 조율된 계획의 산물이라고 주장한다. 우리에게는 그 망상을 파헤쳐 줄 훌륭한 물리학자가 필요했고, 빅터 스텐저가 그 일을 완성했다.

 

참고로 지적 설계론 논쟁과 관련해서는 <왜 종교는 과학이 되려 하는가>(바다출판사, 2012), <다윈주의와 지적 설계론>(인간사랑, 2009) 등의 논문모음집과 필립 E. 존슨의 <심판대의 다윈>(까치, 2006) 등을 참고할 수 있다.

 

 

이어서 <산체스네 아이들>. '빈곤의 문화와 어느 멕시코 가족에 관한 인류학적 르포르타주'란 부제가 어떤 내용의 책인지 말해준다. 원저는 1961년에 나왔고, 지난 2011년에 50주년 기념판이 다시 출간됐다. 이번에 나온 책은 그 기념판을 옮긴 것. 한국어판이 나온 것도 35년 전이라고 하니까 초판을 갖고 있는 독자라면 감회를 느낄 만하다. 최근에 나온 건 3권짜리 <산체스네 아이들>(지식공작소, 1997)이었다(16년 전에 나온 셈이군).  

 

 

사실 이름만 귀에 익을 뿐, 읽어보진 못한 책인데, 다시금 번듯하게 출간돼 반갑다. 개정판의 의의는 이렇게 소개된다.

인류학자 오스카 루이스는 아내 루스 루이스와 함께 멕시코시티의 베씬다드(빈민가) 까사그란데에서 살아가는 어느 가족의 생애사를 4년에 걸쳐 치밀하게 인터뷰하고 세세하게 기록했다. 그리고 다섯 명 가족의 날것의 목소리를 있는 그대로, 1인칭 서사로 옮겨냈다. 그 결과물은 방대한 양의 “소설과 인류학 논문의 중간 형태”라 부를 만한 독특한 책으로 탄생했다. 특히 50주년 기념판에는 인류학자 마거릿 미드가 책에 관해 보낸 편지와 나중에 오스카 루이스의 공동 연구자가 되는 수전 M. 릭든이 쓴 개정판 서문과 후기가 더해졌다. 릭든의 글은 <산체스네 아이들>의 작업 과정, 출간 과정과 ‘빈곤의 문화’ 개념을 둘러싼 격렬한 논쟁, 그리고 산체스네 가족의 후일담을 자세히 담고 있다.

책은 1978년, 앤소니 퀸 주연의 영화로도 만들어졌다. 그러고 보니 척 멘지오니의 테마 음악으로도 잘 알려진 영화다... 

 

 

13. 08. 1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