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의 저자'를 골라놓는다. 새롭게 소개된 저자들이 여럿 눈에 띄지만, 이미 세 권 정도는 책을 펴낸 저자들 가운데 고르는 것이어서 후보가 많지는 않다. 소설가 두 명과 일문학자 한 명을 이주의 저자로 꼽는다.

 

  

 

먼저, 편혜영. 네번째 소설집 <밤이 지나간다>(창비, 2013)가 출간됐다. 첫 소설집 <아오이가든>(문학과지성사, 2005) 이후, <사육장 쪽으로>(문학동네, 2007), <저녁의 구애>(문학과지성사, 2011)에 이어진 것이다. 거기에 장편 <재와 빨강>(창비, 2010)과 <서쪽 숲에 갔다>(문학과지성사, 2012)가 더 보태진다. 2000년에 데뷔하여 13년차에 6권의 책을 펴냈으니 다작도 과작도 아니다. 지속적인 꾸준함에서 '프로의식'이 느껴진다. 책소개도 그렇게 돼 있다.  

편혜영은 평단과 독자들의 뜨거운 관심에 보답하듯 꾸준히 작품을 발표하고 있다. 이번 소설집은 2010년부터 2013년 현재까지 발표한 단편을 묶었다. 세번째 소설집 <저녁의 구애>에서 사회의 부조리를 폭로함과 더불어 현대인의 일반적인 불안과 고독을 이야기하며 그 어둠의 내막을 드러냈다면 이번에는 조금 다른 양상의 이야기를 선보인다.

 

 

두번째 저자는 오현종. 데뷔는 1999년으로 편혜영 작가보다 1년 빠르다. 첫 소설집 <세이렌>(자음과모음, 2004)도 진즉 나왔다. 하지만 나는 <본드걸 미미양의 모험>(문학동네, 2007)에서야 이름을 알게 됐다. 이후에 소설집 <사과의 맛>(문학동네, 2007), 장편소설 <외국어를 공부하는 시간>(문학동네, 2009), <거룩한 속물들>(뿔, 2010)을 펴냈다. 이번에 낸 책이 경장편 <달고 차가운>(민음사, 2013)이다. '민음 경장편' 시리즈가 5권까지 나오다가 '오늘의 젊은 작가'로 이름을 바꾸었는데, 그 두번째 책이다. 이런 줄거리로 시작한다고...

재수생 강지용은 같은 학원에서 알게 된 민신혜와 부드럽고 달콤한 첫사랑에 빠져든다. 그러나 신혜가 지용에게 들려준 자신의 이야기는 지옥의 풍경과도 같은 것이다. 10년 전 열한 살의 어린 딸 신혜에게 성매매를 강요했던 엄마는 이제 열한 살이 되는 신혜의 동생에게 다시 한 번 성매매를 강요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세번째는 일문학자 박유하 교수. 가라티니 고진의 <일본 근대문학의 기원> 번역자로 처음 이름을 익히게 됐는데, 그간에 한일 사이의 민감한 역사적 이슈들에 관한 책들을 지속적으로 펴내왔다. 이번에 나온 <제국의 위안부>(뿌리와이파리, 2013)는 <누가 일본을 왜곡하는가>(사회평론, 2000)부터 <반일 민족주의를 넘어서>(사회평론, 2004), <화해를 위해서>(뿌리와이파리, 2005)에 이어지는 책이다(먼저 나온 세 권은 모두 절판됐다). 부제는 '식민지지배와 기억의 투쟁'. '지일파' 학자가 교착상태에 빠져 있는 '위안부 문제'의 해법을 제시한다. 소개는 이렇다.

한국인이 갖고 있는 위안부의 이미지는 위안부들의 ‘기억과 경험’의 반쪽에 불과하다. 그런 식의 ‘위안부’ 자체에 대한 불충분한 이해와 일본의 ‘사죄와 보상’을 둘러싼 ‘오해’, 그리고 현실 정치와 엮이고 현실 정치에 이용된 것이 20년이 넘도록 위안부 문제가 풀리지 못한 가장 큰 이유였다. 이 책은 그런 인식을 바탕으로 20년을 끌어온 ‘위안부 문제’의 복잡한 구조를 해부하고, 제국-식민지와 냉전을 넘어선 동아시아의 미래를 향해 한국과 일본이 어떻게 문제를 풀어가야 할지를 고찰한다.

 

13. 08. 1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