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주 '프레시안 books'에 실린'3인 1책 수다'를 옮겨놓는다(전문은 http://www.pressian.com/article/article.asp?article_num=50130809150602§ion=04 참조). '납량특집'으로 다루게 된 작품이 제임스 엘로이의 (알에이치코리아, 2013)이다. 영화는 흥미롭게 봤지만 하드보일드 느와르 장르에 대해선 과문하다 보니 김용언 기자의 설명을 듣는 청문회 형식이 됐다. 김용언 기자는 <범죄소설>(강, 2012)의 저자이기도 하다...

 

 

 

프레시안(13. 08. 09) 천사들이 노래하는 '죽음의 도시', 연쇄 살인마 알고 보니… 

 

김용언 : 예전에 무척 재밌게 읽었던 소설이고 현대 하드보일드 누아르 소설에서 손꼽히는 작품이기 때문에 주저 없이 을 8월의 '납량 특집' 책으로 골랐습니다. 그런데 일단 분량이 어마어마하고 워낙 장대한 세월에 무수히 많은 인물이 등장하는 책인지라, 제임스 엘로이를 처음 접하는 독자들에게는 별로 좋은 선택은 아니었을 거라는 생각이 뒤늦게 들더라고요. 아무래도 오늘은 미스터리 장르의 팬인 제가 말을 많이 해야만 할 것 같습니다. 이 소설에 대한 선생님들의 첫인상이 어떠셨는지 궁금합니다.

이현우 : 예전에 봤던 커티스 핸슨 감독의 동명 영화만 믿고 골랐다가….(웃음)

이권우 : 전 그나마도 다른 영화와 착각했었습니다. <유주얼 서스펙트>의 원작인 줄 알았거든요.(웃음)

 



김용언 : 커티스 핸슨 감독의 영화는 소설에서 굉장히 많은 부분을 덜어낸 버전인데요, 이 영화는 1998년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각색상을 받았지요. 이 정도 분량의 소설을 2시간 20분짜리로 깔끔하게 정리했다는 점에서 당연히 탈 만하다고 생각했습니다. 지금까지도 각색의 모범으로 불리는 작품이에요. 그에 비해 제임스 엘로이의 또 다른 대표작 <블랙 달리아> 같은 경우, 브라이언 드 팔마 감독이 2006년 영화화했지만 설득력 있는 각색에 완전히 실패한 경우입니다.

은 제임스 엘로이의 'L.A. 4부작' 중 한 편입니다. <블랙 달리아>가 1편, 이 작품은 3편이에요.

 

 

이권우 : 2편은 뭐에요?

김용언 : 이건 번역이 안 되었는데요. <빅 노웨어(The Big Nowhere>라는 작품이고, 4편이 <화이트 재즈(White Jazz)>입니다. 1940년대 말에서 50년대 말의 L.A.를 배경으로 한 범죄소설 시리즈입니다.

이권우 : 연작은 아니겠군요.

김용언 : 예, 그런데 살짝 겹치는 인물은 있어요. 예를 들어 <블랙 달리아>에 나오는 경찰 고위 간부 밀러드가 에도 등장합니다. 부패한 경찰 더들리 스미스와 대립각을 세우다 심장마비로 죽는 강직한 경찰이지요. 또 의 에드먼드 엑슬리와 더들리 스미스는 <화이트 재즈>에도 등장한다고 해요. 이들 작품은 모두 제2차 세계대전 이후 1950년대 L.A.가 어떤 지옥도였는지를 가감 없이 보여줍니다.

이권우 : 로스앤젤레스는 도시 이름을 잘못 정한 것 같아요. 아니, 잘 정한 건가?(웃음)

김용언 : 천사들의 도시라니, 무척 역설적인 이름이죠.

살해당한 어머니를 위한 글쓰기
이권우 : 그러니까 에서 어머니의 죽음 이후 여성들이 폭력에 노출되는 걸 견디지 못하는 경찰 버드가 엘로이 자신의 모습인 거지요? 실제 작가가 10살 때 어머니가 살해당했는데 미제 사건으로 남은 걸 비춰봐선 그런 느낌이 강하게 드네요.


김용언 : 네, 맞습니다. 제임스 엘로이의 자전적 논픽션 <내 어둠의 근원>(이원열 옮김, 시작 펴냄)을 보면 그의 과거가 생생하게 드러납니다. 1958년 엘로이의 어머니가 끔찍하게 살해당했을 무렵, 어차피 별 볼일 없는 서민이었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또한 비슷한 시기 유명한 갱스터의 살인사건이 터지는 바람에 아예 주목을 받질 못했어요. 그 갱스터는 에도 등장하는 실존 인물인데요, 배우 라나 터너와 사귀는 이탈리안 갱스터 자니 스톰파나토를 기억하실 겁니다. 라나 터너의 딸이 그를 죽여 버리는 바람에 미국 전체가 들썩거렸고, 그 때문에 엘로이의 어머니 사건은 사람들의 뇌리에서 잊혔지요.

어머니와 그런 식으로 헤어지고 난 경험이 소년에게 어떤 영향을 미쳤을지는 뻔합니다. 엘로이는 심각한 트라우마에 시달렸고, 고등학교를 중퇴한 뒤 술과 마약에 절어 청년기를 보냈어요. 결국 재활에 성공한 뒤 독학으로 베스트셀러 작가가 됐죠. 그는 일생 내내 자신을 괴롭힌 사건을 직접 해결하기 위해 어머니 사건을 몇 십 년 만에 다시 들춰보며 마치 자신의 소설 속 탐정처럼 치열하게 추적해갑니다. 그 내용이 <내 어둠의 근원>에 자세하게 기술되어 있어요.

<블랙 달리아> 역시 어머니 사건과 깊은 관련을 맺고 있습니다. 이 소설은 1947년 벌어진 무명배우 엘리자베스 쇼트 살인사건을 모델로 하고 있어요. 어머니가 죽기 10년 전 쯤 벌어진 이 사건에 엘로이는 어린 시절부터 끈질긴 집착을 보였다고 합니다. 말할 수 없이 잔혹한 방식으로 살해당한 엘리자베스 쇼트 역시 엘로이의 어머니처럼 복잡한 남자관계 때문에 오히려 용의자를 찾기 어려웠고 호기심 어린 스캔들의 대상으로만 떠돌았지요. 엘로이는 <블랙 달리아>에서 극화한 엘리자베스 쇼트 사건을 통해 자신의 어머니를 되살려낸 것이나 다름없습니다. <블랙 달리아>의 서문에는 아예 "어머니, 스물아홉 해가 지난 지금에야 이 피 묻은 고별사를 바칩니다"라고 쓰기도 했어요.

이권우 : 제임스 엘로이의 소설을 이번에 처음 접했는데, 원래 이렇게 길고 복잡한 스타일인가요?

김용언 : 네.(웃음) <블랙 달리아>도 수많은 주인공들이 복잡하게 얽힌 사건을 이해하려면 상당한 두뇌 회전이 필요한 작품입니다.

이현우 : 이게 제임스 엘로이만의 특징인지, 아니면 하드보일드 누아르 장르가 일반적으로 이런 스타일인지 궁금하네요.

 

 

김용언 : 하드보일드가 대체로 이런 스타일이긴 한데, 엘로이가 또 강박적으로 핍진성을 따지면서 무척 자세하게 모든 것을 역사지리학적으로 기술하려는 작가인 것도 맞아요. 아마 똑같이 로스앤젤레스를 배경으로 다룬 작가로는 <안녕, 내 사랑><빅 슬립>(박현주 옮김, 북하우스 펴냄)의 레이먼드 챈들러가 원조 격일 텐데, 엘로이 소설은 챈들러 소설보다 서너 배는 더 복잡한 것 같아요.

이현우 : 엘로이가 챈들러를 깎아내렸던데요.(웃음) 본인이 훨씬 더 잘 쓴다고 자부하면서.

김용언 : 하지만 제 생각엔 챈들러를 깎아내릴 이유가 전혀 없었어요.(웃음) 두 사람 스타일이 굉장히 비슷하거든요.

L.A.의 폭력의 역사
이권우 : 지나치게 꼬이고 복잡한 소설인데, 이 장르를 좋아하는 팬들에게마저 너무 불친절한 건 아닌가요?

이현우 : 리뷰를 몇 개 찾아보니까 은 한 달 동안 읽는 소설이라는 표현이 있더군요. 하지만 그 동안 내내 즐겁게 몰입하며 읽는다고 합니다. 이건 태도 문제인 듯 싶어요. 복잡하기 때문에 책장을 덮는 게 아니라, 복잡하기 때문에 아주 꼼꼼하고 주의 깊게 읽게 되는 거지요. 충성도가 높은 독자를 위한 소설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이권우 : 워낙 등장인물이 많고 긴 시간 동안 벌어지는 얘기다보니, 아예 계보도를 그려서 책 앞에 붙였다면 도움이 되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워낙 작가가 인물을 생생하게 묘사하기 때문에, 그 특징을 기억할 수 있다면 어떻게든 흐름을 따라갈 순 있더라고요. 하지만 결코 편한 스타일은 아니지요. 장르소설 독자가 아닌 입장에선 책을 읽는 내내 방해물이 많다는 느낌이었어요. 미스터리 장르 팬들은 이런 소설에 왜 호감을 갖는지 궁금합니다.

김용언 : 특히 현대 하드보일드 미스터리가 대체로 방대한 인물과 사건을 다루는 경향은 분명히 있습니다. 범죄를 통해 어떤 사회의 초상화를 완성하려다보니, 현대사회의 복잡한 측면을 의도적으로 자세하게 묘사하는 특징은 공통적이에요.

제 생각엔 이렇습니다. 의 세 주인공, 다혈질의 버드와 부잣집 도련님 에드먼드, 할리우드와 친밀한 잭 모두에게는 숨기고 싶은 비밀과 상처가 있습니다. 같은 L.A. 경찰국에 근무하지만 물과 기름처럼 겉돌기만 하던 이 세 사람이 '밤부엉이 커피숍' 살인사건을 계기로 어쩔 수 없이 결합합니다. 각기 다른 목적이 있었지만, 몇 년 동안 '밤부엉이 커피숍' 이면의 거대한 음모를 추적하다보니 인정하고 싶지 않던 상처를 서로에게 노출시키고, 결국 어떻게든 극복하게 되지요.

그 방식이 사실 되게 폭력적입니다. '악에는 악으로'의 공식인데, 그런 폭력적 희생제의를 통해 사건 해결과 스스로의 상처 치유를 동시에 성취합니다. 그 결말이 아주 깨끗하고 정의로운 해결이 아니고, 심지어 경찰 내부의 근본적인 부패의 핵심을 제거하는 데에는 실패하기까지 하죠. 그런데 제 생각엔, 그런 개운하지 못한 결말마저도 작가가 집요하게 추구하는 핍진성의 측면과도 잘 맞는 것 같아요.

 



사회학자 마이크 데이비스 같은 경우 L.A.의 역사를 기술한 책 <수정의 도시(City of Quartz)>에서 L.A.의 본질을 가장 잘 보여주는 작가로 제임스 엘로이를 꼽은 적이 있습니다. 그는 엘로이가 'L.A. 4부작'을 통해 "현대 L.A.의 역사를 성범죄와 악마적인 음모, 정치적 스캔들의 연속체로서, 하나의 지도로 완성시킨다"라고 평가하면서 "여기서 L.A.는 어떤 희망이나 빛도 남아있지 않고, 악은 법의학적인 진부함이 되어버렸다"고 썼어요. 그러니까 결말에 이르러서는 어떤 분노조차 일으키지 못할 정도로 과도한 부패가 로스앤젤레스 이곳저곳에 만연해 있다는 점을 적시한 작가라는 거지요. 게다가 80년대 말에 처음 등장한 'L.A. 4부작'이 1950년대 L.A.를 배경으로 하는데, 80년대 레이건 시대의 부패에 대한 작가의 환멸이 고스란히 반영되어있다는 지적도 해요.


에서도 디즈니랜드적인 공간이 계속 강조가 되잖아요. 에드먼드의 아버지 프레스톤과 월트 디즈니 같은 인물인 레이먼드 디털링이 건설한 꿈과 환상의 놀이공원 '드림 어 드림랜드'가 마지막에 이르러 무너지고, 아버지들은 전부 자살하며 끝장나지요. L.A.가 서부의 사막 위에 지어진 환상의 결정체 같은 도시라는 점을 상기해보면, 이 소설 속 디즈니랜드적인 공간이 부서지는 건 그런 환상의 파멸에 대한 명징한 비유였다는 생각이 듭니다. 개인적으로는 마지막 부분의 집단 자살에는 비판의 여지가 있다고 생각합니다만….(웃음)


(...)

 

13. 08. 1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