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차 오랜만에 에드거 앨런 포의 작품들을 읽다보니 자연스레 포가 건드린 다양한 형태의 미스터리물들에도 관심을 갖게 됐다. 이럴 땐 일차적으로 관련서를 모두 모아놓는 게 상투적으로 하는 일인데 '미국추리작가협회 지음'으로 돼 있는 <미스터리를 쓰는 방법>(모비딕, 2013)도 관련서의 하나다. 아직 '미스터리 걸작선'들에까지 손을 댄 건 아니지만 경험상 '작법'은 언제나 '독법'으로도 유용하기 때문이다.

 

 

곧 <미스터리를 쓰는 방법>은 거꾸로 <미스터리를 읽는 방법>으로 읽을 수 있다. 급수를 맞춘다고 할까. 추리소설 작가에게는 <현대범죄수사> 같은 범죄 수사 교과서나 <법의학, 병리학, 독극물학> 같은 법의학 교과서, 그리고 <범죄학 개론> 같은 경찰학 교과서들이 그것도 최신판으로 필요하다고 하는 대목에선 잠시 머뭇거릴 수밖에 없지만, 그래도 검색은 해봤다.

 

 

 

'교과서'인지는 모르겠지만 표창원 전 경찰대 교수의 <한국의 연쇄살인>(랜덤하우스코리아, 2005), <한국의 CSI>(북라이프, 2011)가 많이 팔린 책이고, 전대양의 <범죄수사>(21세기사, 2013)는 거의 안 팔리는 책이지만 두툼한 대학 교재다. 경찰행정학과 같은 곳에서 교과서로 쓰는지 모르겠다. 한국의 추리소설 작가들도 이런 류의 책들을 여럿 구비하고 있을 터이다.

 

 

 

검색하다가 알게 된 저자는 독일의 법의곤충학자이자 과학수사 전문가 마크 베네케인데, 의 <모든 범죄는 흔적을 남긴다>(알마, 2008), <연쇄살인범의 고백>(알마, 2008), <살인본능>(알마, 2009) 등의 책이 눈에 띈다. 이 정도면 추리소설 작가뿐 아니라 독자들도 눈여겨볼 만한 것 같다.

 

 

국내 법의학자가 쓴 책으론 이윤성의 <법의학의 세계>(살림, 2003)이 소개서이고 '대한민국 최초 법의학자' 문국진의 <법의관이 도끼에 맞아죽을 뻔했다>(알마, 2011), <죽은 자의 권리를 말하다>(글로세움, 2012) 등이 읽어볼 만하겠다. 이 역시 독자들에게도.

 

 

범죄학 개론서는 국내서도 좀 나와 있는데, 번역서 가운데서는 Larry J. Siegel의 <범죄학>(Cengage Learning Korea, 2012)이 최신판이다. (그린, 2012)도 무게감이 있는 책인데, 책에 관한 정보는 올라와 있지 않다. 앨런 군의 <범죄수사를 위한 필수 법생물학>(월드사이언스, 2011)도 2판인 걸로 보아 이 분야에서는 읽히는 책인 모양이다. 

 

물론 미스터리를 위해서라면 그밖에 많은 미스터리물에 대한 독서도 필수이겠지만 이런 류의 참고도서도 기본적으로 소장하고 있어야 한다는 말씀. <미스터리 쓰는 방법>은 이런 충고까지 보탠다.

이미 우리 주변에는 법률, 법의학, 탄도학, 지문과 음성인식 등 범죄와 관련된 분야를 다루는 정보가 엄청나게 많으며, 새로운 과학기술은 지금 이 순간에도 끊임없이 개발되고 있다. 따라서 항상 가까운 도서관에 가 필요한 책을 찾아보길 권한다.(10쪽)

우리의 '가까운 도서관'에 '필요한 책'이 꽂혀 있을지는 심히 의문스럽지만, 여하튼 미스터리 소설을 쓰기 위해서도, 그리고 읽기 위해서도 우리는 항상 도서관을 애용하도록 해야겠다. 아, '범죄도서관'이라는 게 있다면 딱 좋을 듯하군...

 

13. 03. 1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