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출하기 직전 막간에 지난주 한겨레21(설 합본 특대호)에서 '신형철의 문학사용법'을 읽었다(http://h21.hani.co.kr/arti/culture/culture_general/33895.html). '정확하게 사랑하기 위하여'는 그 연재에 붙은 제목이다. 장승리 시인의 시집 <무표정>(문예중앙, 2012)에 실린 시 '말'에 대해 적으면서 동시에 어떤 비평가가 되고 싶은지에 대한 물음에 답하고 있다. "정확하게 칭찬하는 비평가"가 그가 내세운 모토다.

 

 

첫째, 왜 칭찬인가. 어떤 텍스트건 칭찬만 하겠다는 뜻이 아니라, 칭찬할 수밖에 없는 텍스트에 대해서만 쓰겠다는 뜻이다. 그런 글을 쓰고 나면 내 삶이 조금은 더 가치 있어졌다는 생각이 들기 때문이다. 내 노트북에는 쓰고 싶은 글의 제목과 개요만 적어놓은 파일이 수두룩한데 이 파일의 수는 자꾸만 늘어난다. 누구에게나 그렇겠지만, 도대체가 시간이 너무 없다. 이것은 인생의 근본 문제다. 비판이 비평의 사명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비판은, 비판을 할 때 만족감을 느끼는 비평가들의, 사명이다.

둘째, 왜 정확한 칭찬인가. 비판이 다 무익한 것이 아니듯 칭찬이 늘 값있는 것은 아니다. 부정확한 비판은 분노를 낳지만 부정확한 칭찬은 조롱을 산다. 어설픈 예술가만이 정확하지 않은 칭찬에도 웃는다. 진지한 예술가들은 정확하지 않은 칭찬을 받는 순간 자신이 실패했다고 느낄 것이다. 정확한 칭찬은 자신이 칭찬한 작품과 한 몸이 되어 함께 세월의 풍파를 뚫고 나아간다. 그런 칭찬은 작품의 육체에 가장 깊숙이 새겨지는 문신이 된다. 지워지지도 않고 지울 필요도 없다.

 이러한 비평관에 잘 부합하는 시를 그는 장승리의 시집에서 발견한다. 이런 시다.

정확하게 말하고 싶었어
했던 말을 또 했어
채찍질
채찍질
꿈쩍 않는 말
말의 목에 팔을 두르고
니체는 울었어
혓바닥에서 혓바닥이 벗겨졌어
두 개의 혓바닥
하나는 울며
하나는 내리치며
정확하게 사랑받고 싶었어
부족한 알몸이 부끄러웠어
안을까 봐
안길까 봐
했던 말을 또 했어
꿈쩍 않는 말발굽 소리
정확한 죽음은
불가능한 선물 같았어
혓바닥에서 혓바닥이 벗겨졌어
잘못했어
잘못했어
두 개의 혓바닥을 비벼가며
누구에게 잘못을 빌어야 하나
-「말」 전문

이 시에 대해 평론가는 정확한 설명을 붙인다, 이렇게.

화자는 세 개의 소망을 말했다. 정확하게 말하고 싶고, 정확하게 사랑받고 싶고, 정확하게 죽고 싶다는 것. 이 모든 것의 출발은 우선 말이다. 그녀는 정확하게 말하고 싶었으나 말을 하고 나면 그것은 늘 부정확한 것처럼 여겨졌고 그래서 했던 말을 또 해야만 했다. 니체는 채찍질당하는 말(馬)을 끌어안고 울었지만, 그녀는 자신의 말(言)이 정확해지길 바라며 채찍질하는 사람이기도 하고 그것이 고통스러워 우는 사람이기도 하다. 그래서 그녀에게는 “두 개의 혓바닥”이 있다. 하나는 때리고, 하나는 운다.

정확하게 말하고 싶다는 욕망은 정확하게 사랑받고 싶다는 욕망과 연결돼 있다. 나는 “부족한 알몸”이 부끄럽다. 그런데 네가 나를 안으려 들까봐, 혹은 내가 너에게 안기고 말까봐, 했던 말을 하고 또 하면서 딴청을 부려야 했다. 내 알몸을 부끄러워할 필요가 없도록, 네가 있는 그대로의 나를 사랑해주면 좋겠다. 그때 나는 ‘정확하게 사랑받고 있다’는 느낌을 받겠지. 어쩌면 그것은 정확한 죽음만큼이나 “불가능한 선물”일까. 비평가인 나는 세상의 모든 훌륭한 작가와 시인들에게 바로 그 ‘불가능한 선물’을 주고 싶은 것이다. 정확한 칭찬이라는 정확한 사랑을.

더는 보탤 것도 없어서, 나는 시인의 시집 두 권을 장바구니에 넣어두었다. 신형철 평론가에 대해서 섬세하다거나 명민하다거나 하는 인상을 갖고 있었는데, 부정확했다. 그는 '정확한 비평가'다. '정확한 비평가'이고자 한다... 음, 외출시간이 다 됐다. 시간 맞춰서 나가봐야겠다...

 

13. 02. 1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